• 제목/요약/키워드: Na-CMC

검색결과 106건 처리시간 0.029초

Synthesis and Biocompatibility of PVA/NaCMC Hydrogels Crosslinked by Cyclic Freezing/thawing and Subsequent Gamma-ray Irradiation

  • Shin, Ji-Yeon;Jeong, Heeseok;Lee, Deuk Yong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161-167
    • /
    • 2018
  • Polyvinyl alcohol/sodium carboxymethyl cellulose (PVA/NaCMC) hydrogels were prepared by physical crosslinking (cyclic freezing/thawing) and gamma (${\gamma}$)-ray irradiation to evaluate the effect of NaCMC concentration (2~8 wt%) on the mechanical properties and the biocompatibility of the PVA/NaCMC hydrogels. The swelling rate of PVA/NaCMC hydrogels regardless of irradiation rose with increasing NaCMC content from 2 wt% to 8 wt%, while the gelation rate was the reverse. As the NaCMC content increased from 2 wt% to 6 wt%, the compressive strength of the hydrogels increased dramatically from $8.5{\pm}2.0kPa$ to $52.7{\pm}2.5kPa$ before irradiation and from $13.5{\pm}2.9kPa$ to $65.5{\pm}8.7kPa$ after irradiation. When 8 wt% NaCMC was added afterwards, the compressive strength decreased however. The irradiated PVA/NaCMC hydrogels containing 6 wt% NaCMC exhibited the tailored properties of the swelling rate of $118{\pm}3.7%$, the gelation rate of $71.4{\pm}1.3%$, the strength of $65.5{\pm}8.7kPa$, respectively, and no cytotoxicity was observed.

CMC섬유내의 양이온이 섬유의 흡습성과 인장 성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ations on the Sorption and the Tensile Properties of CMC Fibers)

  • 이미식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13-120
    • /
    • 199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mprove the moisture related properties of viscose rayon fibers. Viscose rayon filament yarns were partially etherified to make CMC fibers. CMC fibers were converted to the sodium, calcium, and ferric salt forms by an ion exchange method. The property changes of ion exchanged CMC fibers were examined. Cation contents of fibers were varied depending on the degree of substitution of CMC fibers. The strength of Na, Ca, Fe-CMC was higher than H-CMC owing to the plasticization by moisture sorption and the crosslinking by cations. The moisture regain was increased by carboxymethylation and that of Fe-CMC showed the highest value. The degree of swelling determined by the water retention value was observed to be Na-CMC > Ca-CMC > H-CMC > Fe-CMC. The solution retention value was decreased in the order . Ca-CMC > Na-CMC > H-CMC > Fe-CMC.

  • PDF

흰쥐에서의 카르복시메칠셀룰로오스나트륨과 겔란검 혼합겔의 유착방지 효과 (Prevention of Postsurgical Adhesions with a Mixed Gel of Sodium Carboxymethyl Cellulose and Gellan Gum in the Rat)

  • 권윤환;이시범;이정권;박용덕;박정숙;황성주
    •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 /
    • 제34권6호
    • /
    • pp.477-482
    • /
    • 2004
  •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icacy of a mixed gel formulation composed of sodium carboxymethyl cellulose and gellan gum (Na-CMC gel) for the prevention of adhesions after laminectomy. The anti-adhesive effect of the Na-CMC gel was tested in a controlled randomized study using an animal model of lumbar laminectomy. The animals (60 female Sprague-Dawley rats) were randomly allocated into two treatment groups to receive the Na-CMC gel on the injured area or no gel (control). The incidence of adhesions and their grade were blindly evaluated at 4, 8 and 12 weeks after surgery. The amount of scar tissue and tenacity were grossly reduced by the Na-CMC gel at postoperative 4, 8, and 12 weeks. The mean adhesion scores were 0.75, 1.25, and 1.38 at 4, 8, and 12 weeks in the gel-treated group, respectively. No significant inflammatory reaction was observed and the healing of wound was not affected by the Na-CMC gel. The Na-CMC gel reduced the amount of scar formation and tenacity in rat laminectomy model without affecting the healing of operation wound and other complications. Therefore, the Na-CMC gel may be the potential to prevent postsurgical adhesions in clinical state.

비만치료식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1. 식물섬유로서의 알긴산의 비만억제효과 (Basic Studies on the Development of Diet for the Treatment of Obesity I. The Inhibitory Effect of Alginic Acid as a Dietary Fiber on Obesity)

  • 최진호;임채환;김재연;양종순;최재수;변대석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303-311
    • /
    • 1986
  • 비만치료식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로서, 해조류, 특히 미역, 다시마 등 갈조류에 $20{\sim}30\%$ 함유하고 있는 알긴산의 비만에 미치는 영향을 이미 연구되어있는 agar, cellulose, CMC, chitin, lignin 등의 식물섬유의 비만억제작용과 비교하기 위하여 margarine으로 비만을 유도시킨 흰쥐를 사용, 이들 식물섬유들의 비만억제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검토하여 몇 가지 유의성있는 결과를 얻었다. 이들 식물섬유첨가($10\%$)의 비만억제효과를 체중증가량으로 보면 lignin이 가장 효과적이었고 (P<0.001). 그다음이 Na-alginate 였으며(P<0.01), 사료효율로 보면 lignin이 가장 효과적이었고, 그 다음이 CMC, Na-alginate의 순이었다(P<0.001). 간장과 부역환 및 난소 주위의 지방조직에 있어서 지방축적억제효과는 lignin이 가장 효과적이었고, 그 다음이 Na-alginate, cellulose, CMC의 순이었다(P<0.001). 또 Lee index에 의한 비만억제효과를 비교하여 보면 Na-alginate>lignin>CMC>chitin>cellulose의 순이었으며(P<0.001), 간장의 지질함양 분석에 의한 지방축적억제효과를 비교하여 보면 agar>CMC>cellulose>Na-alginate>chitin>lignin의 순으로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P<0.001). 식물섬유 첨가에 의한 혈청 glucose 감소효과는CMC가 가장 효과적이었고, 그 다음이 Na-alginate, lignin의 순이었으며(P<0.001), 혈청 cholesterol 저하작용은 Na-alginate가 가장 효과적이었고 그 다음이 lignin, cellulose의 순이었으며 그밖에 chitin을 제외한 대부분이 효과가 있었다. 또한 lipase 활성의 상승작용을 보면 Na-alginate가 가장 효과적이었고 그 다음이 chitin이었다. 따라서 lignin은 목질소로서 나무의 목질부의 주성분이기 때문에 실제 식품으로서 섭취가 쉽지 않기 때문에 미역, 다시마 등 갈조류의 $20-30\%$ 함유하고 있는 알긴산이 비만의 예방과 치료에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첨가제를 병용한 섬유의 물리적 전처리의 효과 (Effect of Papermaking Additives on Fiber Mechanical Pretreatment)

  • 서영범;이민구;하인호;조욱연
    • 펄프종이기술
    • /
    • 제35권4호
    • /
    • pp.1-7
    • /
    • 2003
  • In this study, fiber mechanical pretreatment before refining was executed with the addition of papermaking addiditives to find synergistic effects on fiber property improvement. Three fiber furnishes (SwBKP, KOCC, and BCTMP), and five different additives (CMC, CPAM, PEO, NaOH, $Na_2O_2$) were used. It was confirmed again that fiber mechanical pretreatment using Hobart mixer was a special way to modify fiber properties, where fiber WRV (water retention value) increases without losing fiber length. For SwBKP, addition of small amount of CMC (0.2% OD basis), and for KOCC, PEO (0.2% OD basis) caused additional significant improvement of the fiber furnish properties, respectively. Other additives did not cause adverse effects on the mechanical pretreatment, or better. For BCTMP, NaOH addition followed by mechanical pretreatment caused more than 20% improvement in tensile and tear strength simultaneously, compared to the control. The yellowing caused by the treatment of NaOH on BCTMP could be minimized by using $Na_2O_2$ without losing the positive effect of NaOH.

Studies on the Formation and Stability of Colloids (I): Perturbation of Micelle Formation of Sodium Deoxycholate by Amides

  • Park, Joon-Woo;Chung He-Sson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7권5호
    • /
    • pp.399-402
    • /
    • 1986
  • The critical micelle concentration (CMC) of sodium deoxycholate (NaDC) and the effects of amides on the micellization processes have been studied by fluorometric technique using pyrene as a probe. The addition of amides as cosolvent destabilized the NaDC micelle and increased the CMC. The order of effectiveness for the perturbation of NaDC micelle was N-methylacetamide ${\ge}$ DMF > acetamide > formamide, which is the order of hydrophobicity of the amines. This indicated that the effect of amides on the micellization processes of NaDC arises from diminution of the hydrophobic effect. The electrostatic repulsion between ionic head groups in the NaDC micelle appeared to be much less than that in aliphatic ionic micelle. This was also revealed in the weaker dependence of the CMC on ionic strength. The premicellar association of NaDC was not significantly involved in the micellization processes of the bile salt.

Sodium Dodecyl Sulfate(SDS)와 Tetraethylene Glycol Monododecyl Ether(TGME)의 혼합미셀화에 미치는 NaCl의 효과 (Effect of NaCl on the Mixed Micellar Properties of Sodium Dodecyl Sulfate(SDS) with Tetraethylene Glycol Monododecyl Ether(TGME))

  • 이병환
    • 대한화학회지
    • /
    • 제39권12호
    • /
    • pp.896-901
    • /
    • 1995
  • 순수 물 및 NaCl의 수용액에서 Sodium Dodecyl Sulfate(SDS)와 Tetraethylene glycol monodode-cyl ether(TGME)의 혼합계면활성제가 $25^{\circ}C$에서 나타내는 임계미셀농도값(CMC$^*$)들을 표면장력계로 측정하였으며, 이들 CMC$^*$값들이 음이온 계면활성제인 SDS의 몰분율 조성(${\alpha}_1$)과 첨과제인 NaCl의 농도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조사하였다. 유사상태분리모델을 기초로하는 비이상적 혼합비셀모델을 적용함으로써 측정된 CMC$^*$값들로부터 SDS/TGME 혼합계면활성제의 미셀화에 대한 여러가지 열역학적 함수값들을 계산하여 분석하였다.

  • PDF

Carboxymethylcellulose 제조공정을 이용한 상온에서의 수용성 섬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Water-soluble Fiber at the Room Temperature using Carboxymethylcellulose(CMC) Synthesis)

  • 송호준;최영민;박진원
    • 청정기술
    • /
    • 제11권2호
    • /
    • pp.105-116
    • /
    • 2005
  • 본 연구는 NaOH 용액에 의한 머서화(mercerization) 반응과 모노클로로아세트산에 의한 에테르화 반응에 의해 carboxymethylcellulose(CMC)를 제조하고 각 제조단계에서의 반응시간, 시약 농도, 온도 등을 변수로 설정하여 결과물에 대한 영향을 고찰하였다. 제조된 샘플을 용해도와 카르복실기의 치환도를 통해 분석하였으며 부직포로서의 응용을 위해 제조된 수용성 섬유의 인장강도를 알아보았다. 섬유의 표면 변화는 SEM(scanning electron microscope) 사진을 통해 알아보았다. 제조된 섬유는 30분 이내에 80% 이상 용해되었으며 반응시간이나 반응 온도보다 시약의 농도에 의한 영향이 더욱 컸다. 또한 용해도가 80% 이상이었던 시편은 0.6 ~ 0.7의 치환도를 보였으며 모노클로로아세트산의 농도의 영향이 가장 크며 용해도가 증가할수록 치환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 PDF

혼합 계면활성제에 적용된 각종 첨가제가 토양세척 효율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dditives on Soil Washing Efficiency for Mixed Surfactants)

  • 최상일;장민;황경엽;류두현
    • 한국토양환경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65-74
    • /
    • 1998
  • 계면활성제에 의해 형성되는 미셀의 바깥층에 전기적인 영향을 주는 전해질과 미셀의 구조 자체를 변화시키는 유기물질 단량체를 첨가제로 각종 혼합 계면활성제 용액에 적용함으로써 토양세척 효율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혼합 계면활성제[$POE_5$/SDS] 및 NaCl을 첨가농도를 변화시키면 용액의 표면장력과 CMC 값을 측정하여 세척효율과의 상관 관계를 규명하고, 세척효율이 상승되는 혼합 계면활성제와 NaCl의 최적 혼합조건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실험 결과, 0.01M의 NaCl이 첨가될 때가 NaCl을 넣지 않았을 때보다 $POE_5$의 혼합 농도비가 80%까지 증가됨에 따라 세척효율이 비례적으로 증가하였으며, $POE_5$/SDS(80%/20%) 3%용액 적용시 90%의 높은 세척효율을 나타내었다. 반면 비이온계 계면활성제인 $POE_5$ 단일 성분 수용액에 대한 NaCl의 영향은 극히 미미하였다. SDS 단일 성분 수용액에 대한 CMC값은 0.049% 로 $POE_5$ 단일 성분 수용액에 대한 CMC값인 0.016%보다 높지만, 혼합 게면활성제의 CMC값은 $POE_5$의 혼합 농도비가 증가됨에 따라 감소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유기물질 단량체인 알코올류는 탄화수소 사슬의 길이가 길수록, 직쇄형보다는 가지형이 토양세척용 첨가제로 적합하였다.

  • PDF

PAM과 K-CMC처리가 토양의 이화학성 및 양배추의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olyacrylamide (PAM) and Potassium-Carboxymethylcellulose (K-CMC) on Soil and Yield of Cabbage (Brassica oleracea L. cv. Empire))

  • 김석균;김경제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16권2호
    • /
    • pp.222-225
    • /
    • 1998
  • 천연계 흡수성 고분자 K-CMC (potassium-carboxymethylcellulose)와 합성계인 PAM (polyacrylamide)이 토양의 물리화학적 특성과 양배추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제조한 K-CMC에 친수성인 카르복실기의 도입을 FT-IR로 확인하였고, 부직포를 이용하여 측정한 PAM과 K-CMC의 흡수력은 증류수에서는 PAM이 더 높았으나, 염화나트륨 3% 용액에서는 K-CMC와 PAM이 같아서 비료성분이 많은 토양에서는 K-CMC가 더 효과적인 듯 하다. 토양의 입자크기 1.0mm 이상의 입단율은 K-CMC와 PAM처리에서 각각 9.6%와 16.6%가 증가하였고, 투수속도도 K-CMC와 PAM처리 모두 촉진되어 투수율 또한 증가하였다. 토양의 화학성분에서는 K-CMC처리가 토양의 K 함량을 증가시켰으나, 다른 성분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K-CMC와 PAM처리는 양배추의 초기생육 및 수량, 그리고 비타민C 함량을 증가시켜서 양배추의 수량과 품질의 향상에도 효과적이었다. 그러나, 본 실험에서 제조한 K-CMC의 흡수력이 다소 낮기 때문에 더 높은 흡수력을 가진 천연계 흡수성 고분자의 개발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