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YHA class

검색결과 193건 처리시간 0.025초

인공심장판막 재치환술에 대한 수술 위험 인자 및 결과 (Opelative Risk and Results of Reoporation for Heart Valve Prostheses)

  • 김철환;김경훈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0권10호
    • /
    • pp.973-978
    • /
    • 1997
  • 본원에서는 1991년 1월부터 1995년 12월까지 64명의 환자가 인공심장판막의 이상으로 재치환술을 받았다. 주로 판막자체의 기능부전으로 53명(82.8%)이 재수술을 받았으며, 나머지는 판막혈전증으로 6명(9.4%), 판막 주위의 누출로 3명(4.7%), 심내막염으로 2명(3.6%)이 재수술을 받았다. 판막자체의 기능부전(40명, 75%)과 판 막혈전증(4명, 67%)은 주로 승모판막에서 호발하였으며, 판막 주위의 누출(3명, 100%)은 대동맥판막에서 발 생하였다. 가장 긴 적출기간 첫번째 인공심장판막 치환술을 받은 후로부터 재수술을 받기까지의 기간 은 판막자체의 기능부전으로 평균 107.4$\pm$24.6개월이었고, 판막혈전증을 동반한 심내막염(1명)에서 1개월로 가 장 짧았다. 대동맥판막과 승모판막에서 평균 적출기간은 각각 109.5$\pm$10.4, 109.2$\pm$10.7개월이었다. 전체 병원 사망율은 9.38%(6/64), 저심박출증이 4명으로 가장 많았고 기타 출혈 및 중추신경계 손상이 각각 1례씩 있었 다. 독립적인 술후 위 험 인자로는, 술전 MilD class W(P=0.011), 응급 수술(P=0.011), 심내막염(P=0.001) 들이 의미가 있었으며 기타 나이, 성별, 대동맥차단시간, 적출기간, 중복 판막 치환술 2차 재치환술, 판막위치 등 은 술후 위험 인자로서 통계학적 의미가 없었다. 평균 추적기간은 28.8$\pm$17.8개월이었고, 3년 누적 생존율은 92.0$\pm$6.2%, 2년 무합병 생존율은 84.3$\pm$6.1%였다. 인공심장판막 실패로 인하여 재수술을 받아야할 환자에 있어서, 위에서 언급한 위험 인자 술전 miBs class W, 응급 수술, 심내막염의 관점에서 술전 상태를 잘 조절하여 재수술을 시행하여야 한다. 가능한 다른 위험 인자에 대해서도 추후 연구가 필요하다.

  • PDF

대동맥판막 치환술의 임상성적 (Clinical Result of Aortic Valve Replacement)

  • 최순호;양현웅;김은규;최종범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1권6호
    • /
    • pp.591-597
    • /
    • 1998
  • 배경: 이 연구의 목적은 대동맥판막 치환술의 조기 및 중기의 결과를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86년 1월부터 1996년 1월까지 대동맥판막 치환술을 시행한 61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남자가 38명이었고 여자는 28명으로 남녀의 비는 1.7:1로 남자에 많았고 연령분포는 10세에서 71세까지로 평균 40.5$\pm$11.2세이었다. 조기 사망률은 4.9%(3/61)이었다. 전체적인 추적 관찰은 퇴원한 58명의 환자 중 93.1%에서 이루어 졌으며 평균 추적기간은 51.5 환자-달이었다. 결과: 퇴원한 환자 58명 중 3명이 사망하여 만기 사망률은 5.2 %이었다. 5명의 환자에서 항응고제에 관련된 출혈이 있었으나 모두 경미하였고 3명의 환자에서 혈전경색을 보였다. 용혈이나 사용된 판막의 구조적인 실패는 없었고, 생존한 환자 중 NYHA 기능등급은 의의있게 호전되었다. 혈전경색과 항응고제에 관련된 출혈률은 각각 1.58 % 환자-년, 2.0% 환자-년이었다. 10년 생존률은 83.6%를 보였다. 결론 : 조기 및 중기의 추적관찰에서 대동맥판막 치환술에 사용한 기계판막은 낮은 인공판막에 연관된 합병증과 훌륭한 혈역학적 기능을 보이고 신뢰성이 있으면서 내구성이 좋은 인공판막이라 할 수 있었다.

  • PDF

요골동맥를 이용한 관상동맥우회술의 조기성적 (Early Result of Coronary Artery Bypass Grafting Using the Radial Artery)

  • 박진홍;지현근;신윤철;김응중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6권10호
    • /
    • pp.734-740
    • /
    • 2003
  • 관상동맥우회술 시 내흉동맥의 장기개통률이 복재정맥의 경우보다 높은 것으로 보고되면서 동맥이식편에 대한 관심과 사용이 증가되고 있으며 그중의 하나로 요골동맥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저자들은 좌내흉동맥과 요골동맥을 사용하여 시행한 관상동맥우회술의 성적을 좌내흉동맥과 복재정맥만을 사용한 경우와 비교하여 그 조기결과를 분석하였다. ,대상 뜻 방법: 2000년 1월부터 2002년 12월까지 시행한 관상동맥우회술 165예 중 요골동맥군 45예와 나이, 성별, NYHA, 좌심실박출계수, 수술 전 관상동맥조영술 소견이 유사한 복재정맥군을 수술 전 위험인자와 수술결과에 대해 비교분석하였다. 결과: 수술 사망률과 합병증(중풍, IABP삽입, 수술 중 심근경색) 각각의 발생률은 두군 간에 통계학적 차이가 없었으나 이들의 총발생률은 요골동맥군에서 복재정맥군보다 적었으며(p<0.05), 중환자실 재원기간은 요골동맥군이 2.93$\pm$0.62일로 복재정맥군의 3.55$\pm$0.95일에 비해 더 짧았다(p<0.001). 수술 후 7∼14일 사이에 요골동맥군에서 시행한 관상동맥조영술상 좌내흉동맥과 요골동맥의 개통률은 100%, 복재정맥은 94.9%였다. 걸론: 관상동맥우회술 시 내흉동맥과 요골동맥을 사용한 군에서 내흉동맥과 복재정맥만을 사용한 군보다 우수한 조기 수술 성적을 얻었다.

삼첨판막 대치술의 장기간 임상성적 (Long-Term Clinical Results of Tricuspid Valve Replacement)

  • 임상현;홍유선;유경종;강면식;김치영;조범구;장병철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7권4호
    • /
    • pp.328-334
    • /
    • 2004
  • 삼첨판막대치술의 장기 결과에 대한 연구결과는 보고된 바가 많지 않다. 이에 저자들은 삼첨판막대치술의 위험인자를 분석해 보고, 삼첨판막대치술의 장기 결과를 알고자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대상 환자들은 1978년 10월부터 1996년 12월까지 삼첨판막대치술을 시행 받은 환자 70명을 대상으로 후향적인 연구를 진행하였는데, 7명의 환자들은 2차례의 삼첨판막대치술을 시행 받아 총 77예의 삼첨판막대치슬을 시행하였다. 환자들의 평균 나이는 38.8$\pm$15.9세였으며, 26예에서는 조직판막을, 51예에서는 기계판막을 이식하였다. 결과: 수술 사망률은 15.6%였고, 만기 사망률은 12.3%였다. 5년, 10년 그리고 13년에서의 생존율은 조직판막과 기계판막이 각각 81.3% vs. 100%, 66.1% vs. 100%, 60.6% vs. 100%였다(p=0.0175).판막과 관련된 재수술이 없을 확률은 5년, 10년 그리고 13년에서 조직판막과 기계판막이 각각 100% vs. 93.9, 100% vs. 93.9% 그리고 58.3% vs. 93.9%였다(p=0,3274). 판막과 관련된 재수술을 시행할 확률은 조직판막이 2.27%/환자-년이었고, 기계판막이 1.10%/환자-년이었다. 수술 사망과 관련된 위험인자 분석상, 수술 전 복수, 간비대, NYHA class가 나쁠수록, 그리고 삼첨판막대치술을 여러 번 받는 경우가 유의한 위험인자로 분석되었고, 조직판막의 사용과 심장수술을 여러 번 받는 경우가 만기 사망과 관련된 유의한 위험인자로 분석되었다. 걸론: 기계판막을 이용하여 삼첨판막대치술을 시행한 환자들의 장기간 생존율이 조직판막을 이용한 환자들보다 우수하였다. 따라서 수술 후에 적절한 추적관찰이 가능하다면, 기계판막을 이용하여 삼첨판막대치술을 시행하는 것이 필요하리라 생각한다.

St.Jude 기계판막을 이용한 인공심장판막 치환의 외과적 고찰 (Clinical Evaluation of St.Jude Medical Valve Replacement)

  • 진웅;나석주;조규도;김치경;조건현;왕영필;이선희;곽문섭;김세화;이홍균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7권4호
    • /
    • pp.272-280
    • /
    • 1994
  • Total 400 St.Jude Medical Bileaflet Valves were implanted in 336 pts from January 1983 to June 1993; 64 were aortic, 205 were mitral, 64 were double valve and 3 were tricuspid position. The follow up period extended from 6 months to 10 years[mean 24.3 months]. Male to female ratio was 1:1.7. There were total 27 deaths[cardiac related 20, cardiac non-related 7]. Overall mortality was 2.9%/pt-yr. There were 10 early deaths[3.0%] and 10 late cardiac related deaths [3.0%]. Prosthetic valve related complications occurred in 19 patients[5.7%] and among them, seven died; four died of thromboembolic events, two died of anticoagulants therapy related hemorrhagic complications and one died of bacterial endocarditis. NYHA class improved significantly especially in aortic valve replacement and double valve replacement. In AVR cases, the mean NYHA was 2.8 preoperatively and 1.3 postoperatively. And in DVR cases, 3.3 preoperatively and 2.2 postoperatively. The decision to employ a particular prosthesis was made according to the anticipated or known complications of the valve. The St.Jude Medical Valve retains all the hazards of other mechanical valves, most notably, thromboembolism. But the hemodynamic performance of St.Jude Medical Valve compared most favorably with other substitute valves in many reports. 0ur experience didn`t show any differences compared other authors in terms of valve related complication. So we concluded St. Jude Medical Valve can be primarily considered in the selection of artificial valve except in the patients when the usage of anticoagulant therapy is contraindicated.

  • PDF

기계판막을 이용한 판막치환술 후 재수술에 대한 경험 -8예 보고- (Experience of Reoperation after Valve Replacement Using Mechanical Heart Valve -8 cases -)

  • 김혁;이형창;위장섭;강정호;정원상;전순호;이철범;김영학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8권11호
    • /
    • pp.783-787
    • /
    • 2005
  • 1992년 1월부터 2003년 12월까지 8명의 환자에서 기계판막을 사용한 판막치환술 후 재수술이 시행되었다. 판막주위누출이 원인인 4예에서는 누출부 재봉합술 3예, 판막재치환술 1예가 시행되었다 판막의 혈전에 의한 폐쇄가 원인인 3예에서는 판막재치환술 2예, 혈전제거술 1예가 시행되었다. 1명의 환자는 판막기능은 정상이었으나 환자의 성장에 따른 협착소견으로 123개월 후 재치환술을 시행하였다. 수술과 관련된 사망이나 합병증은 발생하지 않았으며 평균 51.0 $(2\~134)$개월의 추적관찰에서 NYHA 기능성분류 I 또는 II로 양호한 경과를 나타내었다 수술방법으로써 판막의 재치환 또는 기존판막을 보존하는 방법을 시행할지의 여부는 병변의 종류와 해부학적 구조에 따라 선택적으로 시행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승모판막 치환술에 있어 건삭 보존의 효과 (The Effect of Chordae Preservation in Mitral Valve Replacement)

  • 김공수;조중구;구자홍;김태호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2권4호
    • /
    • pp.353-357
    • /
    • 1999
  • 배경: 건삭보존 승모판 치환술이 승모판막질환에 있어서 좌심실 기능의 보존 및 술후 합병증을 줄일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대상 및 방법: 1995년 1월부터 1996년 7월까지 전북대학교 병원 흉부외과학 교실에서 승모판 치환술시 건삭을 절제한 20예(기존치환군)와 건삭을 보존한 10예(보존치환군)의 술후 단기성적을 비교하였다. 결과: 술 전 두 그룹간의 성별, 나이, NYHA 기능적 분류, 심흉비 및 심전도 소견, 심초음파 소견 및 관류량, 대동맥 차단시간등의 차이는 없었다. 술 전 심흉비에 대한 술 후 1개월 심흉비 비교에 있어서 두 그룹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감소를 보였으나 두 그룹 사이의 통계적 차이는 없었다. 술 전 심흉비에 대한 술 후 3개월 심흉비 감소는 두 그룹 모두 통계적인 의미는 없었다. 술 전 심전도 소견상 대부분 심방세동이 동반되고 있었으며 심방세동이 술 후에 동성 리듬으로 변화된 경우가 기존치환군에서 2예 있었다. 심초음파에 의한 좌심실의 기능 비교에 있어서 보존치환군은 술전에비해 구혈분획(Ejection Fraction) 및, 단축분획률(Fractional Shortening)의 감소가 심하지 않았으나(p =0.47, p= 0.12), 기존치환군에서는 구혈분획 및, 단축분획률의 감소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감소를 보였으며(p=0.03, p=0.04), 두 그룹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3, p=0.02). 또한 보존치환군에 비해 기존치환군에서 월등히 높은 합병증 발생률을 보였다. 결론: 승모판막 질환에 있어서 건삭 보존 승모판막 치환술이 기존 승모판 치환술에 비해 수술 후 좌심실 기능을 보존하는데 효과가 있으며, 낮은 합병증 발생률을 보였다.

  • PDF

Atrial Septal Defect Closure: Comparison of Vertical Axillary Minithoracotomy and Median Sternotomy

  • Poyrazoglu, Huseyin Hakan;Avsar, Mustafa Kemal;Demir, Serafettin;Karakaya, Zeynep;Guler, Tayfun;Tor, Funda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6권5호
    • /
    • pp.340-345
    • /
    • 2013
  • Background: This study aims to evaluate whether or not the method of right vertical axillary minithoracotomy (RVAM) is preferable to and as reliable as conventional sternotomy surgery, and also assesses its cosmetic results. Methods: Thirty-three patients (7 males, 26 females) with atrial septal defect were admitted to the Cardiovascular Surgery Clinic of Cukurova University from December 2005 until January 2010. The patients' ages ranged from 3 to 22. Patients who underwent vertical axillary minithracotomy were assigned to group I, and those undergoing conventional sternotomy, to group II. Group I and group II were compared with regard to the preoperative, perioperative and postoperative variables. Group I included 12 females and 4 males with an average age of $16.5{\pm}9.7$. Group II comprised 14 female and 3 male patients with an average age of $18.5{\pm}9.8$ showing similar features and pathologies. The cases were in Class I-II according to the New York Heart Association (NYHA) Classification, and patients with other cardiac and systemic problems were not included in the study. The ratio of the systemic blood flow to the pulmonary blood flow (Qp/Qs) was $1.8{\pm}0.2$. The average pulmonary artery pressure was $35{\pm}10$ mmHg. Following the diagnosis, performing elective surgery was planned. Results: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detected in the average time of the patients' extraportal circulation, cross-clamp and surgery (p>0.05). In the early postoperative period of the cases, the duration of mechanical ventilator support, the drainage volume in the first 24 hours, and the hospitalization time in the intensive care unit were similar (p>0.05). Postoperative pains were evaluated together with narcotic analgesics taken intravenously or orally. While 7 cases (43.7%) in group I needed postoperative analgesics, 12 cases (70.6%) in group II needed them. No mortality or major morbidity has occurred in the patients. The incision style and sizes in all of the patients undergoing RVAM were preserved as they were at the beginning. Furthermore, the patients of group I were mobilized more quickly than the patients of group II. The patients of group I were quite pleased with the psychological and cosmetic results. No residual defects have been found in the early postoperative period and after the end of the follow-up periods. All of the patients achieved functional capacity per NYHA. No deformation of breast growth has been detected during 18 months of follow-up for the group I patients, who underwent RVAM. Conclusion: To conclude, the repair of atrial septal defect by RVAM, apart from the limited working zone for the surgeon in these pathologies as compared to sternotomymay be considered in terms of the outcomes, and early and late complications. And this has accounted for less need of analgesics and better cosmetic results in recent years.

승모판막수술에 있어서 확장된 경중격절개술의 평가 (Evaluation on the Extended Transseptal Approachin Mitral Valvular Operations)

  • 나명훈;박상순;윤수영;황의두;황경환;유재현;임승평;이영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1권9호
    • /
    • pp.855-860
    • /
    • 1998
  • 배경: 판막성형술을 포함한 승모판막 수술에 있어서 충분한 승모판의 노출은 필수적이다. 최근 확장된 경중격 절개술은 수술 후 동결절동맥의 손상에 기인한 율동이상의 가능성에도 불구하고 특히 재수술이거나 좌심방 크기가 작을 때 유리한 술식으로 알려져 있다. 대상 및 방법: 저자등은 중격절개만 시행한 10례 (I 군)와 절개를 확장한 25례(II 군)를 대상으로 수술 전후의 조건 및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양 군의 나이, 성별, 그리고 수술 전후의 NYHA 기능적 분류, 좌심방 크기, 좌심실 기능의 변화는 차이가 없었다. II 군에서 과거 개심술을 시행 했던 환자의 재수술 빈도가 높았고 나중에 회복된 수술 후 조기 율동 이상이 3명의 환자에서 나타났으나, I군에서는 없었다. 결론: 따라서 확장된 경중격절개술은 수기상 동결절 동맥의 손상에 기인한 술 후 조기 이상 율동이 나타날 수 있으나 나중의 결과에는 차이가 없으므로 경중격절개술로 시야 확보가 불충분한 경우에 언제라도 적용할 수 있으리라 판단된다.

  • PDF

폰탄 수술에서의 부정맥수술 (Arrhythmia Surgery in Fontan Operation)

  • 임홍국;한국남;김웅한;이정렬;노준량;김용진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7권8호
    • /
    • pp.644-651
    • /
    • 2004
  • 배경: 폰탄 술식 후 추적과정 동안 혈역학적 이상에 부정맥이 발생하는 경우 예후 및 사망률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폰탄 술식 후 발생한 부정맥의 종류 및 빈도에 대하여 평가하고, 폰탄 술식과 관련하여 부정맥수술을 시행한 환자들에 대한 후향적 임상분석을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86년 6월부터 2004년 3월까지 폰탄 수술을 받고 조기 생존한 275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고, 폰탄 수술과 관련하여 부정맥수술을 한 환자는 46명이었다. 폰탄 수술 후 재수술 시 시행한 부정맥수술이 14예였으며, 재수술 당시 평균 연령은 16.8$\pm$7.1 (범위 4.5∼30.6)세였다. 부정맥은 심방 조동이 8예였으며, 심방세동이 2예였다. 부정맥수술은 냉동소작술에 의한 협부차단이 12예였고, 우측maze 술식이 2예였다. 첫 폰탄 수술 시 동반 술식으로 예방적 냉동소작술에 의한 협부 차단을 32예에서 시행하였다. 결과: 폰탄 술식 후 추적관찰 동안에 부정맥의 발생은 조기 생존한 275명 중 68명(24.7%)에서 발생하였다. 폰탄 수술과 관련하여 시행한 부정맥 수술 후 조기 및 만기 사망은 없었다. 폰탄 수술 후 재수술 시 시행한 부정맥수술 후 평균 26.5$\pm$29.1 (범위: 2∼73)개월 동안의 추적 관찰 기간 중 14명의 환자에서 정상동율동을 보이고 있다. 3예에서 일시적 심방 조동이 재발하여 항부정맥 약물 투여 후 정상 동율동을 보였으며, 7명은 영구형 심박조율기가 필요하였다. 환자의 증상은 수술 전 NYHA 기능분류 IV (2예), III (8예), II (4예)에서 수술 후 I (11예), II (3예)로 호전되었다. 첫 폰탄 수술 시 동반 술식으로 예방적 냉동소작슬을 시행한 환자에서는 평균 51.3$\pm$19.8 (범위: 4∼80)개월 동안의 추적 관찰 기간 중 28명(90.3%)의 환자에서 정상동율동을 보이고 있으며, 심실성기외수축과 접합부성 빈맥이 1예, 동기능장애가 1예, 방실전도차단이 1예로 3명에서 부정맥이 발생하였다. 결론: 폰탄 환자에 대한 적절한 부정맥수술로 동율동 유지를 통한 증상의 완화 및 기능적 분류의 호전을 볼 수 있어 임상 경과와 예후에 도움이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