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Vivo

검색결과 89건 처리시간 0.033초

대학 자체교육인증제 개선 방안 모색 -A대학 운영 사례를 중심으로 (The Improvements of a College's Internal Accreditation System)

  • 서범종;하정윤;강지연;박태양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12호
    • /
    • pp.368-377
    • /
    • 2017
  • 본 연구는 고등교육기관 평가 인증제와 대학재정지원사업을 중심으로 대학 자체교육인증제의 시행배경을 살펴보고, A대학의 사례를 중심으로 운영상의 문제점을 확인하여 대학 자체교육인증제의 개선 방안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A대학에서 2016년도에 실시한 평가위원 및 인증위원과의 면담자료와 자체교육인증 관련 회의록 등을 Nvivo11을 사용하여 질적 자료 분석의 단계에 따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A대학의 사례를 통해 나타난 자체교육인증제의 운영상 문제점은 첫째, 학과의 과중한 행정업무 부담에 따른 자체인증제 참여 부담, 둘째, 모호한 평가지표로 인한 보고서 작성과 평가의 어려움 등으로 확인되었다. 자체교육인증제의 개선방안으로는 첫째, 충분한 준비기간 제공과 준비자료의 세부 안내, 둘째, 구체적인 피드백과 함께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관리, 셋째, 상시 성과기록 시스템 구축, 넷째, 별도 재인증 기준 마련, 다섯째, 학과 특성을 반영한 평가 기준 설정, 마지막으로 자체평가보고서의 공통 양식 제공 등이 제시되었다.

경호공무원의 근무환경과 교육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Security Officials in the Study of the Working Environment and Education)

  • 조성구;김동제;최종광;박주현
    • 시큐리티연구
    • /
    • 제37호
    • /
    • pp.247-268
    • /
    • 2013
  • 우리나라의 경호기관은 박정희정부의 출범과 함께 "대통령경호실법"이 제정되어 설치된 이래 지금은 대규모국제행사를 성공리에 치루는 전문경호기관으로 거듭나게 되었지만 동북아를 비롯한 북과의 계속된 대립으로 인해 국가적 경호 대상에 대한 위협은 줄어들지 않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위협에 대한 대응책 마련을 위한 노력이 강조되고 있지만 국가 경호기관의 경호공무원의 근무환경과 이들에 대한 교육에 관한 연구가 수행되지 않아 이 연구를 시작하게 되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대통령경호실과 서울지방경찰청에 근무하고 있는 현장 종사자 45명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수행하였고, 최근에 개발된 Nvivo 8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한 결과 근무 환경의 개선은 조직문화 51(78.46%), 이미지 7(10.93%), 체력&정신 6(9.37%) 순으로 범주화되었고, 교육의 방향으로는 경찰경호교육기관 56(76.71%), 심리교육 12(16.43%), 이론교육 5(6.84%)순으로 범주화되었다. 연구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우리 경호공무원들은 경호기관의 권위적인 조직문화로 소속 공무원들이 어려움을 겪고 있어 조직문화의 변화를 유도할 필요가 제기되었으며, 현재의 대통령경호실 뿐만 아니라 경찰조직내의 전문화된 경호교육기관의 마련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초등학교 실과수업 기피요인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causes of the dislik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regarding Practical Arts classes)

  • 유난숙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15
    • /
    • 2012
  • 본 연구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과수업 기피요인을 알아봄으로써 학생들이 실과수업에 보다 적극적이고 즐겁게 참여하게 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초등학생 273명의 개방형질문에 대한 응답과 초등학교 교사 5인을 대상으로 한 면담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NVivo를 이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학생 자료 분석에 초점을 맞추었고, 학생 자료 분석을 통해 얻게된 변수를 중심으로 교사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의 실과수업 기피요인 중 외적 요인에는 수업운영, 수업내용, 교수자료, 교사특성 등이 있었고 그 중 실습기구 부족이나 실과실 관련 문제와 같은 교수자료에 대한 언급이 제일 많았다. 내적 요인에는 기대에 대한 불만, 교과에 대한 부정적 인식, 학생 흥미 및 능력, 불안이 있었다. 둘째, 실과전담교사 유무에 따라 다른 기피요인을 살펴본 결과, 실과전담교사가 있는 학교의 초등학생들은 수업운영 및 내용, 교사특성에 대한 응답을 많이 하였으며, 실과전담교사가 없는 학교의 초등학생들은 실과실이 없기 때문이라는 답변을 많이 하였다. 학생들이 인식하는 기피요인 중에서 실습기구 및 시설 부족, 실습할 기회가 적어서, 불안 등은 교사 면담에서도 공통된 내용과 맥락적인 설명을 찾을 수 있었다.

  • PDF

국내 메이커 운동의 교육 분야 활성화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Measures to Activate Education Field of Maker Movement in Korea)

  • 오수진;백윤철;권지은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11호
    • /
    • pp.483-492
    • /
    • 2019
  • 정부의 메이커 운동(Maker Movement) 형성을 위한 적극적인 정책과 지원으로 관련 문화와 교육이 매우 활성화되고 있다. 본 연구는 최근 증가하고 있는 국내 메이커 운동의 교육 분야의 현황을 파악하고, 긍정적인 방향의 발전을 위한 메이커 교육 활성화 방안을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첫째, 기존의 메이커 교육 운영자와 참여자를 대상으로 하는 심층 인터뷰를 통해 국내 메이커 교육의 현황과 문제점을 도출한다. 둘째, 인터뷰 스크립트 내용을 기반으로 질적 조사 분석 프로그램(NVIVO)을 통한 키워드 분석과 그 특징을 파악한다. 셋째, 분석 결과를 토대로 국내 메이커 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방안과 발전 방향을 제안한다. 메이커 교육을 실행한 교육자와 참여한 학생을 기준으로 분석했을 때, 교육의 전문성을 위해 전문 메이커 교사가 필요했고, 참여한 학생들의 메이커 채널 확장과 전문적인 네트워킹이 요구되었다. 또한, 메이커 교육의 특성을 반영한 전문 프로그램과 적절한 정책 지원이 필요했다. 본 연구는 향후 메이커 교육을 위한 구체적인 지원 방식 및 관련 교육자 양성과 교육 환경 등의 개선에 도움을 주어 메이커 운동의 주요 분야인 메이커 교육의 활성화에 기여하고자 한다.

장르와 배역 크기에 따른 연예인의 구성원 관계 의식 고찰 (Exploring the Genres and Cast Portions' Influences on Broadcasting Entertainers' Relationship Perception)

  • 이인혜;권상집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4권2호
    • /
    • pp.27-40
    • /
    • 2020
  • TV 프로그램의 인기 및 수출에 관해 연예인들이 상당한 기여를 하면서 이들에 대한 관심은 최근 더욱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런 흐름을 감안, 인터뷰 연구를 통해 연예인들의 관계 의식을 심도 있게 살펴봤다. 연예인의 의식 체계는 그들의 행위 및 태도에 다각도로 영향을 주기에 이 부분에 대한 연예인의 의식 고찰 연구는 매우 필요하다. 본 연구는 이를 위해 드라마와 예능으로 장르를 구분하고 주연, 조연, 단역으로 배역의 크기를 구분한 후 48명의 연예인을 대상으로 이들의 관계 의식을 탐색적으로 고찰, Nvivo 11 프로그램을 통해 해당 인터뷰 내용을 분석하였다. 연예인의 관계 의식을 확인하기 위해 그들과 방송 현장에서 가장 많은 시간을 공유하는 PD, 작가, 동료 연예인과의 관계를 중점적으로 고찰했다. 연구 결과, PD와 작가의 권한, 대우, 소통 의식에 관해 장르별, 배역 크기별 중요한 차이가 존재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동료 연예인과의 관계에서는 선·후배의 관계, 그리고 경쟁의식, 소통 의식 등에서 예능과 드라마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연예인들의 관계 의식을 다양한 방면으로 고찰하고 새로운 실무적 시사점을 제안했지만 실제 연예인들이 어떻게 조화로운 관계 의식을 추구해야하는지에 대한 명확한 가이드라인을 제공하지 못 했다. 후속 연구에서는 좀 더 다양한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는 연구를 진행해야 할 것이다.

지역사회 공론장으로서 공공도서관 역할에 대한 연구 - 서울 성북구립도서관 사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Roles of Public Libraries as Community Public Spheres: Focused on the Case of Seongbuk Public Libraries in Seoul)

  • 이연옥;강영아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7권1호
    • /
    • pp.139-160
    • /
    • 2023
  • 본 연구는 지역사회 공론장으로서 공공도서관의 역할을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공공도서관이 운영한 공론장 사례에 대한 분석을 통해 공론장에서 나타나는 도서관 역할의 주요 특징과 의미를 고찰하였다. 데이터 수집은 서울 성북구립도서관의 공론장을 운영한 사서와의 면담을 통해 이루어졌다. 수집된 데이터의 주제별 분석을 위해 NVivo를 사용하여 코딩하였다. 연구 결과, 공론장에서 확인된 도서관 역할의 주요 특징과 의미는 1) 지역 주민의 만남과 소통, 교류의 장, 2) 주제에 대한 정보제공과 토론을 통한 주민의 학습과 성장 지원, 3) 지역사회의 주민 참여를 확대하고 시민으로서의 역량 강화, 4) 지역 주민의 민주주의 경험을 확대, 5) 도서관에 대한 지역 주민의 인식 개선과 주민에 대한 도서관의 영향력 확대라는 다섯 가지 유형으로 나타났다. 특히 이 연구에서는 도서관의 정보서비스를 통해 공론 주제에 대한 시민의 상호작용과 공론 확산이 강화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 연구의 결과는 도서관이 지역사회 공론장으로 개발되고 지원되기 위한 근거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노인의 자원봉사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K시 노인종합사회복지관 노인자원봉사자를 대상으로 (A Qualitative Study about Volunteer Work Experiences of Senior Citizens: On the Subject of Senior Citizen Volunteers in the Welfare Center of K City)

  • 강민연;김춘경
    • 한국노년학
    • /
    • 제30권4호
    • /
    • pp.1409-1427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K지역의 노인복지회관에서 자원봉사활동을 하고 있는 노인자원봉사자의 봉사경험을 내부자적 관점에서 이해하고 그 의미를 파악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노인복지회관에서 자원봉사활동을 하고 있는 노인자원봉사자 15명과 2명의 사회복지사이고, 연구는 2009년 9월 2일부터 10월 21일까지 관찰과 심층면담을 통한 질적 연구방법을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질적 분석 프로그램인 Nvivo 2.0을 활용하였고, 분석된 자료는 Strauss와 Corbin의 근거이론에 따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노인의 자원봉사경험에 대한 의미는 크게 고령화 사회의 노인 정체성, 노인자원봉사를 통한 욕구 충족, 심신 건강을 돕는 다양한 여가활동, 노화에 대한 수용적 태도, 가족으로부터의 정서적 지지, 개인의 적성과 능력에 적합한 활동 찾기, 장애에 대한 인식 변화, 의미 있는 노년기를 보내기 위한 노력 등 8가지 요인으로 도출되었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와 논의를 통해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노인자원봉사에 있어 고령화 사회의 노인 정체성, 노화에 대한 수용적 태도, 가족으로부터의 정서적 지지는 참여 유발 요소이다. 둘째, 노인자원봉사 활성화를 위해 개인의 적성과 능력에 적합한 활동이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노인자원봉사 참여는 노인자원봉사를 통한 욕구충족, 심신건강을 돕는 여가활동, 장애에 대한 인식변화 등의 삶의 변화가 나타난다.

The Pap-Smear Test Experience of Women in Turkey: A Qualitative Study

  • Arabaci, Zeynep;Ozsoy, Suheyla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3권11호
    • /
    • pp.5687-5690
    • /
    • 2012
  • Objective: The study was planned with the purpose of examining the attitude of women who have pap-smear test for the early diagnosis of cervical cancer, factors affecting their decisions and their feelings and experiences during this period. Materials and Methods: A phenomenological method was used. Data were collected between March 2012 and April 2012 using standard and purposive samplings from 17 women. A detailed interview with women were held in their houses and recorded. The data collection tool consisted of two parts, one of which is information form with 17 questions identifying sociodemographic and cervical cancer risk factors of women and the second part is made up of semi-structured interview form with 15 alternative questions taking literature and the pap-smear test into consideration. Collected data were put into a written document. Content analysis was held by loading the documents into NVIVO 8 Statistical Programme. Results: The study comprised themes such as cervical risk factor, decision of taking pap-smear test, taking pap-smear test, knowledge about pap-smear test, relieving factors during pap-smear test, obstructive factors during pap-smear test, gynecological examination and feelings of women during and after pap-smear test while waiting for the results. Conclusions: As women perceive gynaecological examinations differently from other examinations, they have different feelings in each process of the Pap smear test. Medical staff should advise women more clearly on the nature and advantages of the Pap-smear test.

의료급여 수급자가 인식한 의료급여 사례관리 이용 경험 (Medical Aid Beneficiaries' Experiences of Receiving Medical Aid Case Management)

  • 조정현;송명경;정경인;김삼숙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112-124
    • /
    • 2020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perception of medical aid beneficiaries on their experiences of receiving case management. Method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sixteen medical aid beneficiaries who had been receiving medical aid case management from at least one year ago.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NVivo software program for its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Results: Three categories emerged from the data: "not perceived but come into my territory", "realized the necessity of changes and begin to take care of my own health", and "satisfied passively with some of my changes." With respect to these categories, eight sub-categories were ultimately identified. Conclusion: It would be effective if both medical aid beneficiaries and case managers can set the case management goals and management plans together at the beginning of case management. It is also needed to develop a comprehensive case management model tailored to the characteristics and needs of the beneficiaries.

A Study on Application of Web 3.0 Technologies in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of India

  • Potluri, Rajasekhara Mouly;Vajjhala, Narasimha Rao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5권2호
    • /
    • pp.73-79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how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in India has identified the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in adopting the Web 3.0 technologies to improve their productivity and efficiency. After an in-depth literature review, researchers framed a semi-structured questionnaire with open-ended questions for collecting responses from managers working in 40 Indian SME's representing five key economic sectors.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and themes were encoded using the NVivo 11 computer-assisted qualitative data analysis software. Content analysis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collected with the semi-structured interviews. This study identified five key themes and 12 subthemes illustrating the key advantages and challenges as perceived by the managerial leadership of SMEs. The five key themes identified in this study include integration of data and services, the creation of new functionalities, privacy and security, financial and technological challenges, and organizational challeng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nefit the organizational leadership of SMEs in planning and developing their short-term and long-term information systems strategies and will enable SME leaders to make optimal use of their information technology assets, improving the productivity and competitiveness of the firms. Web 3.0 technologies are considered as emerging technologies, so the advantages and challenges of using these technologies for SMEs have not been explored in the context of emerging economies, such as Ind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