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SL-KDD

검색결과 27건 처리시간 0.027초

인공신경망을 통한 KDD CUP 99와 NSL-KDD 데이터 셋 비교 (A Study on comparison of KDD CUP 99 and NSL-KDD using artificial neural network)

  • 지현정;김용현;김동화;신동규;신동일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7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211-213
    • /
    • 2017
  • 최근 컴퓨터 네트워크를 활용하는 다양한 기기들이 개발되고 급격히 확산되면서, 컴퓨터 네크워크는 전보다 많은 보안문제에 직면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네트워크 보안을 위한 침입탐지시스템의 필요성이 대두된다. 침입탐지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한 대표적인 데이터 셋으로는 KDD CUP 99(KDD'99)와 이후 KDD'99의 문제점을 보완하여 공개된 NSL-KDD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KDD'99와 NSL-KDD를 소개하고 인공신경망을 통해 두 데이터 셋을 비교 분석하였다. Multi-Layer Perceptron을 사용해 데이터 셋을 분석해본 결과, KDD'99는 전체 정확도에서 더 높은 결과를 얻은 반면 공격 별 탐지 정확도 면에서는 NSL-KDD에 뒤쳐졌다.

설명변수가 랜덤인 성형 프로파일 연구 (Linear profile monitoring with random covariate)

  • 김다은;이성임;임요한
    • 응용통계연구
    • /
    • 제35권3호
    • /
    • pp.335-346
    • /
    • 2022
  • 통계적 공정관리에서 프로파일 관리도란 다수의 품질 특성치 간 함수관계의 변화를 탐지하는 것을 말한다. 두 변수 간 선형의 관계가 있는 경우, 선형 프로파일을 가정하고 절편과 기울기가 일정한지 모니터링한다. 이때 선형 프로파일에 관한 대부분의 기존 연구에서는 모든 프로파일에서 설명변수의 관측치가 동일하다고 가정한다. 그러나 프로파일마다 설명변수의 값이 랜덤하게 관측되는 경우도 존재한다. 본 논문에서는 단순 선형 프로파일 모니터링에서 설명변수가 프로파일마다 랜덤하게 관측된다는 가정하에 기존의 방법을 확장 적용하고자 한다. 모의실험을 통해 제안한 방법의 탐지 성능을 확인하고 네트워크 침입 탐지 알고리즘 성능을 비교하기 위한 NSL-KDD 데이터를 이용하여 제안된 침입 탐지 결과를 비교해 보았다.

SHAP 기반 NSL-KDD 네트워크 공격 분류의 주요 변수 분석 (Analyzing Key Variables in Network Attack Classification on NSL-KDD Dataset using SHAP)

  • 이상덕;김대규;김창수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9권4호
    • /
    • pp.924-935
    • /
    • 2023
  • Purpose: The central aim of this study is to leverage machine learning techniques for the classification of Intrusion Detection System (IDS) data, with a specific focus on identifying the variables responsible for enhancing overall performance. Method: First, we classified 'R2L(Remote to Local)' and 'U2R (User to Root)' attacks in the NSL-KDD dataset, which are difficult to detect due to class imbalance, using seven machine learning models, including Logistic Regression (LR) and K-Nearest Neighbor (KNN). Next, we use the SHapley Additive exPlanation (SHAP) for two classification models that showed high performance, Random Forest (RF) and Light Gradient-Boosting Machine (LGBM), to check the importance of variables that affect classification for each model. Result: In the case of RF, the 'service' variable and in the case of LGBM, the 'dst_host_srv_count' variable were confirmed to be the most important variables. These pivotal variables serve as key factors capable of enhancing performance in the context of classification for each respective model. Conclusion: In conclusion, this paper successfully identifies the optimal models, RF and LGBM, for classifying 'R2L' and 'U2R' attacks, while elucidating the crucial variables associated with each selected model.

네트워크 비정상 탐지를 위한 속성 축소를 반영한 의사결정나무 기술 (Decision Tree Techniques with Feature Reduction for Network Anomaly Detection)

  • 강구홍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29권4호
    • /
    • pp.795-805
    • /
    • 2019
  • 최근 알려지지 않은 공격에 대처하기 위한 네트워크 비정상(anomaly) 탐지 기술에 대한 관심이 한층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기술 개발을 위해 데이터 마이닝(data mining), 기계학습(machine learning), 그리고 딥러닝(deep learning)등을 활용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분류(classification) 문제를 다루는 데이터 마이닝 기술 중 가장 전통적인 방법 중 하나인 의사결정나무(decision tree)를 이용하여 NSL-KDD 데이터 셋을 대상으로 네트워크 비정상 탐지 가능성을 보여준다. 의사결정나무의 과대적합(over-fitting) 단점을 해소하기 위해 카이-제곱(chi-square) 테스트를 통해 최적의 속성 선택(feature selection)을 수행하고, 선택된 13개의 속성을 사용한 의사결정나무 모델 환경에서 NSL-KDD 시험 데이터 셋 KDDTest+에 대해 84% 그리고 KDDTest-21에 대해 70%의 네트워크 비정상 검출 정확도를 보였다. 제시된 정확도는 기존 의사결정나무 모델 적용 시 이들 시험 데이터 셋을 대상으로 알려진 정확도 81% 그리고 64% 수준과 비교해 약 3% 그리고 6% 각각 향상된 결과다.

실시간 탐지를 위한 인공신경망 기반의 네트워크 침입탐지 시스템 (An Intrusion Detection System based on the Artificial Neural Network for Real Time Detection)

  • 김태희;강승호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17권1호
    • /
    • pp.31-38
    • /
    • 2017
  • 네트워크를 통한 사이버 공격 기법들이 다양화, 고급화 되면서 간단한 규칙 기반의 침입 탐지/방지 시스템으로는 지능형 지속 위협(Advanced Persistent Threat: APT) 공격과 같은 새로운 형태의 공격을 찾아내기가 어렵다. 기존에 알려지지 않은 형태의 공격 방식을 탐지하는 이상행위 탐지(anomaly detection)를 위한 해결책으로 최근 기계학습 기법을 침입탐지 시스템에 도입한 연구들이 많다. 기계학습을 이용하는 경우, 사용하는 특징 집합에 침입탐지 시스템의 효율성과 성능이 크게 좌우된다.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특징이 많을수록 침입탐지 시스템의 정확성은 높아지는 반면 탐지를 위해 소요되는 시간이 많아져 긴급성을 요하는 경우 문제가 된다. 논문은 이러한 두 가지 조건을 동시에 충족하는 특징 집합을 찾고자 다목적 유전자 알고리즘을 제안하고 인공신경망에 기반한 네트워크 침입탐지 시스템을 설계한다. 제안한 방법의 성능 평가를 위해 NSL_KDD 데이터를 대상으로 이전에 제안된 방법들과 비교한다.

실시간 공격 탐지를 위한 Pearson 상관계수 기반 특징 집합 선택 방법 (A Feature Set Selection Approach Based on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for Real Time Attack Detection)

  • 강승호;정인선;임형석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18권5_1호
    • /
    • pp.59-66
    • /
    • 2018
  • 기계학습을 이용하는 침입 탐지 시스템의 성능은 특징 집합의 구성과 크기에 크게 좌우된다. 탐지율과 같은 시스템의 탐지 정확도는 특징 집합의 구성에, 학습 및 탐지 시간은 특징 집합의 크기에 의존한다. 따라서 즉각적인 대응이 필수인 침입 탐지 시스템의 실시간 탐지가 가능하도록 하려면, 특징 집합은 크기가 작으면서도 적절한 특징들로 구성하여야 한다. 본 논문은 실시간 탐지를 위한 특징 집합 선택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용했던 기존의 다목적 유전자 알고리즘에 특징 간의 Pearson 상관계수를 함께 사용하면 탐지율을 거의 낮추지 않으면서도 특징 집합의 크기를 줄일 수 있음을 보인다. 제안한 방법의 성능평가를 위해 NSL_KDD 데이터를 사용하여 10가지 공격 유형과 정상적인 트래픽을 구별하도록 인공신경망을 설계, 구현하여 실험한다.

  • PDF

오토 인코더 기반의 단일 클래스 이상 탐지 모델을 통한 네트워크 침입 탐지 (Network Intrusion Detection with One Class Anomaly Detection Model based on Auto Encoder.)

  • 민병준;유지훈;김상수;신동일;신동규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22권1호
    • /
    • pp.13-22
    • /
    • 2021
  • 최근 네트워크 환경에 대한 공격이 급속도로 고도화 및 지능화 되고 있기에, 기존의 시그니처 기반 침입탐지 시스템은 한계점이 명확해지고 있다. 지능형 지속 위협(Adavanced Persistent Threat; APT)과 같은 새로운 공격에 대해서 시그니처 패턴은 일반화 성능이 떨어지는 문제가 존재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기계학습 기반의 침입 탐지 시스템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실제 네트워크 환경에서 공격 샘플은 정상 샘플에 비해서 매우 적게 수집되어 클래스 불균형(Class Imbalance) 문제를 겪게 된다. 이러한 데이터로 지도 학습 기반의 이상 탐지 모델을 학습시킬 경우 정상 샘플에 편향된 결과를 가지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불균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오토 인코더(Auto Encoder; AE)를 활용해 One-Class Anomaly Detection 을 수행하여 이를 극복한다. 실험은 NSL-KDD 데이터 셋을 통해 진행되었으며, 제안한 방법의 성능 평가를 위해 지도 학습된 모델들과 성능을 비교한다.

Intrusion Detection System Modeling Based on Learning from Network Traffic Data

  • Midzic, Admir;Avdagic, Zikrija;Omanovic, Samir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2권11호
    • /
    • pp.5568-5587
    • /
    • 2018
  • This research uses artificial intelligence methods for computer network intrusion detection system modeling. Primary classification is done using self-organized maps (SOM) in two levels, while the secondary classification of ambiguous data is done using Sugeno type Fuzzy Inference System (FIS). FIS is created by using Adaptive Neuro-Fuzzy Inference System (ANFIS). The main challenge for this system was to successfully detect attacks that are either unknown or that are represented by very small percentage of samples in training dataset. Improved algorithm for SOMs in second layer and for the FIS creation is developed for this purpose. Number of clusters in the second SOM layer is optimized by using our improved algorithm to minimize amount of ambiguous data forwarded to FIS. FIS is created using ANFIS that was built on ambiguous training dataset clustered by another SOM (which size is determined dynamically). Proposed hybrid model is created and tested using NSL KDD dataset. For our research, NSL KDD is especially interesting in terms of class distribution (overlapping). Objectives of this research were: to successfully detect intrusions represented in data with small percentage of the total traffic during early detection stages, to successfully deal with overlapping data (separate ambiguous data), to maximize detection rate (DR) and minimize false alarm rate (FAR). Proposed hybrid model with test data achieved acceptable DR value 0.8883 and FAR value 0.2415. The objectives were successfully achieved as it is presented (compared with the similar researches on NSL KDD dataset). Proposed model can be used not only in further research related to this domain, but also in other research areas.

Comparative Analysis of Machine Learning Techniques for IoT Anomaly Detection Using the NSL-KDD Dataset

  • Zaryn, Good;Waleed, Farag;Xin-Wen, Wu;Soundararajan, Ezekiel;Maria, Balega;Franklin, May;Alicia, Deak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3권1호
    • /
    • pp.46-52
    • /
    • 2023
  • With billions of IoT (Internet of Things) devices populating various emerging applications across the world, detecting anomalies on these devices has become incredibly important. Advanced Intrusion Detection Systems (IDS) are trained to detect abnormal network traffic, and Machine Learning (ML) algorithms are used to create detection models. In this paper, the NSL-KDD dataset was adopted to comparatively study the performance and efficiency of IoT anomaly detection models. The dataset was developed for various research purposes and is especially useful for anomaly detection. This data was used with typical machine learning algorithms including eXtreme Gradient Boosting (XGBoost), Support Vector Machines (SVM), and Deep 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DCNN) to identify and classify any anomalies present within the IoT applications. Our research results show that the XGBoost algorithm outperformed both the SVM and DCNN algorithms achieving the highest accuracy. In our research, each algorithm was assessed based on accuracy, precision, recall, and F1 score. Furthermore, we obtained interesting results on the execution time taken for each algorithm when running the anomaly detection. Precisely, the XGBoost algorithm was 425.53% faster when compared to the SVM algorithm and 2,075.49% faster than the DCNN algorithm. According to our experimental testing, XGBoost is the most accurate and efficient method.

전력망에서의 다양한 서비스 거부 공격 탐지 위한 특징 선택 방법 (A Method to Find Feature Set for Detecting Various Denial Service Attacks in Power Grid)

  • 이동휘;김영대;박우빈;김준석;강승호
    • KEPCO Journal on Electric Power and Energy
    • /
    • 제2권2호
    • /
    • pp.311-316
    • /
    • 2016
  • 인공신경망과 같은 기계학습에 기반한 네트워크 침입탐지/방지시스템은 특징 조합에 따라 탐지의 정확성과 효율성 측면에서 크게 영향을 받는다. 하지만 침입탐지에 사용 가능한 여러개의 특징들 중 정확성과 효율성 측면에서 최적의 특징 조합을 추출하는 특징 선택 문제는 많은 계산량을 요구한다. 본 논문에서는 NSL-KDD 데이터 집합에서 제공하는 6가지 서비스 거부 공격과 정상 트래픽을 구분해 내기 위한 최적 특징 조합 선택 문제를 다룬다. 최적 특징 조합 선택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대표적인 메타 휴리스틱 알고리즘 중 하나인 다중 시작 지역탐색 알고리즘에 기반한 최적 특징 선택 알고리즘을 제시한다. 제안한 특징 선택 알고리즘의 성능 평가를 위해 NSL-KDD 데이터를 상대로 41개의 특징 모두를 사용한 경우와 비교한다. 그리고 선택된 특징 조합을 사용했을 때 가장 높은 성능을 보여주는 기계학습 방법을 찾기위해 3가지 잘 알려진 기계학습 방법들 (베이즈 분류기와 인공신경망, 서포트 벡터 머신)을 사용해 성능을 비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