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S3

검색결과 1,081건 처리시간 0.048초

양액과 SCB액비 처리에 미량요소 첨가가 방울토마토의 미네랄 함량과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Mixed Treatment of Electrolyzed Micronutrients with Nutrient Solution and SCB Slurry on Mineral Content and Growth of Cherry Tomatoes (Lycopersicon esculentum))

  • 류종원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385-397
    • /
    • 2012
  • 식물미네랄(phyto-minerals) 함량을 높인 미네랄강화 농작물(biofortification foods)을 개발하기 위하여 전기분해를 이용하여 10종(Co, Fe, Mg, Mn, Sr, Zn, Li, Sn, V, Ti, Se, S)의 미량요소를 함유하는 복합미네랄액을 조제하였다. 양액과 SCB 액비에 복합미량요소액을 방울토마토 처리한 결과 양액+복합미량요소액 처리구는 Li, Zn, Sr, Se, Ti이 증가되었고, SCB+복합미량요소액 처리구는 Li, Zn, Se, Co, Sr, Ti 함량이 유의성있게 증가하였다. 양액+SCB+복합미량요소액 처리구는 SCB액비, NS액비 처리구보다 Li, Zn, Se, Co, Ti 함량이 유의성 있게 증가하였다. 토마토의 생육과 수량은 양액처리구에서 가장 높았고, 복합 미량요소액 처리로 감소하였다. 토마토의 수량은 표준양액처리구와 비교할때 NS+복합미량요소액 처리구와 SCB+양액+복합 미량요소액 혼합시용구는 각각 97%와 94%의 토마토 과실 수량를 나타내었으나 미량요소 강화효과가 있었으므로 혼합용액을 조제하면 토마토 재배용 양액으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SCR, MVSCR, LVTSCR의 Turn-on time 및 전기적 특성에 관한 연구 (Analysis of SCR, MVSCR, LVTSCR With I-V Characteristic and Turn-On-Time)

  • 이주영
    • 전기전자학회논문지
    • /
    • 제20권3호
    • /
    • pp.295-298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기존 ESD 보호소자인 SCR과 MVSCR, LVTSCR의 Turn-on-Time 및 전기적 특성을 시놉시스사의 T-Cad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세 소자 모두 대략 2V 에서 3V 내외의 홀딩전압 특성을 보였으며, SCR은 약 20V의, MVSCR은 약 12V, LVTSCR은 9V로 순차적으로 개선된 트리거 특성을 보였다. 턴-온타임 시뮬레이션 결과는 SCR이 2.8ns, MVSCR과 LVTSCR은 각각 2.2ns, 2.0ns로 LVTSCR이 가장 짧은 턴-온 특성을 보였다. 반면 IT2 는 SCR이 약 7.7A, MVSCR은 5.5A LVTSCR은 4A의 특성을 보였으므로 I/O 및 파워 클램프 단에 적용 시 동작전압에 따른 최적화된 소자를 선택해야 한다.

섬광등 펌프형 100 W급 4 중통과 Nd:YAG 증폭기 시스템의 증폭특성 (100 W class flash lamp pumped single stage Nd:YAG Amplifier)

  • 고광훈;정도영;김재우;박상언;임창환;김철중
    • 한국광학회지
    • /
    • 제14권5호
    • /
    • pp.515-520
    • /
    • 2003
  • 수 KHz의 반복율로 발진하는 레이저광을 증폭하는 증폭기를 제작하고, 특성을 조사하였다. 증폭기로는 연속 방전하는 섬광등으로 펌핑되는 Nd:YAG 헤드를 사용하였고, 레이저 매질에서 발생하는 열 복굴절을 보상하여 이중통과 증폭기를 구성한 경우, 복굴절에 의한 레이저광 손실을 5%로 감소시켰다. 4 중통과 증폭기를 구성을 하였을 때, 반복율 5-10 KHz에서 이득은 약 3.2이었고, 펄스폭은 40 ns에서 48 ns로. 20%증가하였다.

Parallel Hybrid Particle-Continuum (DSMC-NS) Flow Simulations Using 3-D Unstructured Mesh

  • Wu J.S.;Lian Y.Y.;Cheng G.;Chen Y.S.
    • 한국전산유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산유체공학회 2006년도 PARALLEL CFD 2006
    • /
    • pp.27-34
    • /
    • 2006
  • In this paper, a recently proposed parallel hybrid particle-continuum (DSMC-NS) scheme employing 3D unstructured grid for solving steady-state gas flows involving continuum and rarefied regions is described [1]. Substitution of a density-based NS solver to a pressure-based one that greatly enhances the capability of the proposed hybrid scheme and several practical experiences of implementation learned from the development and verifications are highlighted. At the end, we present some simulation results of a realistic RCS nozzle plume, which is considered very challenging using either a continuum or particle solver alone, to demonstrate the capability of the proposed hybrid DSMC-NS method.

  • PDF

여주 삽목 시 삽수절단 위치와 온도조건이 발근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utting Positions and Temperature on the Rooting of Bitter Gourd)

  • 이희주;이상규;김성겸;최장선;김상범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162-167
    • /
    • 2016
  • 본 실험은 종자 가격이 비싼 여주를 삽목하여 증식하고자 할 때 적절한 줄기 절단위치와 삽목상내 온도를 구명하기 위하여 실험하였다. 시험품종 'NS454'(NS)와 '드레곤'(DR) 품종을 대상으로 삽수 절단 위치를 3번째 잎의 마디를 절단한 처리(I) 와 3번째와 4번째 잎의 중간 부위를 절단한 처리(II)를 하였다. 삽목상내 온도는 18, 23, 28, $35^{\circ}C$ 처리를 하였다. 삽목상내 명기는 16시간유지하였으며, 광합성유효광량자속은 약 $150-200{\mu}mol{\cdot}m^{-2}{\cdot}s^{-1}$ 정도였으며, 상대습도는 85% 이상 유지시켰다. 그 결과 삽목 후 10일에 생존율은 두 품종 모두 $18^{\circ}C$$23^{\circ}C$ 처리구에서는 삽수의 절단 위치와 상관없이 100%의 생존율을 보였지만, $18^{\circ}C$ 처리구의 경우, 뿌리 발근이 되지 않아 많은 개체가 고사하게 되었다. 뿌리 발근율에 있어서는 $28^{\circ}C$ 처리구가 DR과 NS 품종 모두 삽수의 절단위치와 상관없이 100% 새뿌리가 발생하였고, $23^{\circ}C$ 처리구에서는 DR 품종의 경우 마디를 절단한 처리는 90%, 마디 중간지점을 절단한 처리는 40%이었으며 NS 품종의 경우도 마디를 절단한 처리는 50%, 중간지점을 절단한 처리는 40% 로 마디를 절단한 처리구에서 두 품종 모두 발근율이 높았다. 온도 $35^{\circ}C$ 처리구에서는 발근율이 현저하게 낮아졌으며 NS 품종의 경우는 절단위치에 상관없이 발근이 되지 않았다. 뿌리의 개체당 발근수는 DR 품종의 경우, $28^{\circ}C$ 처리구는 마디 중간지점을 절단한 처리구에서 5.3개로 처리구중에서 가장 많았고 마디를 절단한 처리구는 2.7개이었다. 따라서 여주의 삽목시 절단위치는 마디부위를 절단하거나 마디 중간지점을 절단해도 되지만 마디 중간지점을 절단하는 것이 생존율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고, 또한 삽목상내 기온을 $28^{\circ}C$ 정도를 유지해 주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된다.

6FDA-p-TeMPD 폴리이미드 비대칭막 제조에서 용매와 비용매가 막구조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olvent and Nonsolvent on Asymmetric Membrane Structure of 6FDA-p-TeMPD Polyimide)

  • 박노춘;김건중;남세종
    • 멤브레인
    • /
    • 제8권3호
    • /
    • pp.157-169
    • /
    • 1998
  • 폴리이미드(6FDA-p-TeMPD) 비대칭막을 습식 상분리법으로 제조하는데 있어서 그 구조에 미치는 용매 (DMAc, NMP, 1,4-dioxane)와 비용매($H_2O$, Methanol, n-hexane)의 영향을 고찰하였다. 고분자/용매/비용매 분리 속도를 예측함으로써 생성된 비대칭막의 구조를 해석하였다. 용해도 곡선이 용매-고분자 축에 가깝고, 응결값이 작으며, 광투과도가 즉시 감소하고, 용해도 계수차가 $\Delta \delta_{S-NS} > \Delta \delta_{P-NS} > \Delta \delta_{P-S}$ 순이면 생성막은 고분자 결절의 불연속 결집속에 finger-like pore가 형성되었다. 용해도 곡선이 용매-고분자 축에서 멀고, 응결값이 크며, 상분리 시간이 길고, 용해도 계수차 $\Delta \delta_{i-j}$$\Delta \delta_{P-NS} >(\Delta \delta_{S-NS} < > \Delta \delta_{P-S})$ 일때, 생성되는 막은 미소 고분자 결절구가 치밀하게 응집된 표피가 있으며, 고분자 연속상 스폰지층에 macropore가 발달되었다. 용해도 곡선이 용매-고분자 축으로부터 멀리 떨어지고, 응결값이 대단히 크며, 상분리 시간이 길고, 용해도 계수차 $\Delta \delta_{i-j}$$\Delta \delta_{S-NS} > (\Delta \delta_{P-NS}$\lessgtr$)\Delta \delta_{P-S}$인 경우는 고분자 미소 결절의 두터운 응집층과 다음에 성근 결절응집층이 나타났다.

  • PDF

Hepatitis C Virus Nonstructural 5A Protein (HCV-NS5A) Inhibits Hepatocyte Apoptosis through the NF-κb/miR-503/bcl-2 Pathway

  • Xie, Zhengyuan;Xiao, Zhihua;Wang, Fenfen
    • Molecules and Cells
    • /
    • 제40권3호
    • /
    • pp.202-210
    • /
    • 2017
  • The nonstructural protein 5A (NS5A) encoded by the human hepatitis C virus (HCV) RNA genome is a multifunctional phosphoprotein. To analyse the influence of NS5A on apoptosis, we established an Hep-NS5A cell line (HepG2 cells that stably express NS5A) and induced apoptosis using tumour necrosis factor $(TNF)-{\alpha}$. We utilised the MTT assay to detect cell viability, real-time quantitative polymerase chain reaction and Western blot to analyse gene and protein expression, and a luciferase reporter gene experiment to investigate the targeted regulatory relationship. Chromatin immunoprecipitation was used to identify the combination of $NF-{\kappa}B$ and miR-503. We found that overexpression of NS5A inhibited $TNF-{\alpha}$-induced hepatocellular apoptosis via regulating miR-503 expression. The cell viability of the $TNF-{\alpha}$ induced Hep-mock cells was significantly less than the viability of the $TNF-{\alpha}$ induced Hep-NS5A cells, which demonstrates that NS5A inhibited $TNF-{\alpha}$-induced HepG2 cell apoptosis. Under $TNF-{\alpha}$ treatment, miR-503 expression was decreased and cell viability and B-cell lymphoma 2 (bcl-2) expression were increased in the Hep-NS5A cells. Moreover, the luciferase reporter gene experiment verified that bcl-2 was a direct target of miR-503, NS5A inhibited $TNF{\alpha}$-induced $NF-{\kappa}B$ activation and $NF-{\kappa}B$ regulated miR-503 transcription by combining with the miR-503 promoter. After the Hep-NS5A cells were transfected with miR-503 mimics, the data indicated that the mimics could reverse $TNF-{\alpha}$-induced cell apoptosis and blc-2 expression. Collectively, our findings suggest a possible molecular mechanism that may contribute to HCV treatment in which NS5A inhibits $NF-{\kappa}B$ activation to decrease miR-503 expression and increase bcl-2 expression, which leads to a decrease in hepatocellular apoptosis.

개선된 선형성과 해상도를 가진 10비트 전류 출력형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의 설계 (Monolithic and Resolution with design of 10bit Current output Type Digital-to-Analog Converter)

  • 송준계;신건순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7년도 추계종합학술대회
    • /
    • pp.187-191
    • /
    • 2007
  • 본 논문은 상위 7비트와 하위3비트의 binary-thermal decoding 방식과 segmented 전류원 구조로서 전력소모, 선형성 및 글리치 에너지등 주요 사양을 고려하여, 3.3V 10비트 CMOS D/A 변환기를 제안한다. 동적 성능을 향상 시키기위해 출력단에 return-to-zero 회로를 사용하였고, segmented 전류원 구조와 최적화 된 binary-thermal decoding 방식으로 D/A변환기가 가질 수 있는 장점은 디코딩 논리회로의 복잡성을 단순화 함으로 칩면적을 줄일 수 있다. 제안된 변환기는 $0.35{\mu}m$ CMOS n-well 표준공정을 이용한다. 설계된 회로의 상승/하강시간, 정착시간, 및 INL/DNL은 각각 1.90/2.0ns, 12.79ns, ${\pm}2.5/{\pm}0.7$ LSB로 나타난다. 또한 설계된 D/A 변환기는 3.3V의 공급전원에서는 250mW의 전력소모가 측정 된다.

  • PDF

Virtual Screening for Potential Inhibitors of NS3 Protein of Zika Virus

  • Sahoo, Maheswata;Jena, Lingaraja;Daf, Sangeeta;Kumar, Satish
    • Genomics & Informatics
    • /
    • 제14권3호
    • /
    • pp.104-111
    • /
    • 2016
  • Zika virus (ZIKV) is a mosquito borne pathogen, belongs to Flaviviridae family having a positive-sense single-stranded RNA genome, currently known for causing large epidemics in Brazil. Its infection can cause microcephaly, a serious birth defect during pregnancy. The recent outbreak of ZIKV in February 2016 in Brazil realized it as a major health risk, demands an enhanced surveillance and a need to develop novel drugs against ZIKV. Amodiaquine, prochlorperazine, quinacrine, and berberine are few promising drugs approved by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against dengue virus which also belong to Flaviviridae family. In this study, we performed molecular docking analysis of these drugs against nonstructural 3 (NS3) protein of ZIKV. The protease activity of NS3 is necessary for viral replication and its prohibition could be considered as a strategy for treatment of ZIKV infection. Amongst these four drugs, berberine has shown highest binding affinity of -5.8 kcal/mol and it is binding around the active site region of the receptor. Based on the properties of berberine, more similar compounds were retrieved from ZINC database and a structure-based virtual screening was carried out by AutoDock Vina in PyRx 0.8. Best 10 novel drug-like compounds were identified and amongst them ZINC53047591 (2-(benzylsulfanyl)-3-cyclohexyl-3H-spiro[benzo[h]quinazoline-5,1'-cyclopentan]-4(6H)-one) was found to interact with NS3 protein with binding energy of -7.1 kcal/mol and formed H-bonds with Ser135 and Asn152 amino acid residues. Observations made in this study may extend an assuring platform for developing anti-viral competitive inhibitors against ZIKV infection.

고해상도를 위한 DAC 오차 보정법을 가진 10-비트 전류 출력형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 설계 (A Design of 10bit current output Type Digital-to-Analog converter with self-Calibration Techique for high Resolution)

  • 송준계;신건순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2권4호
    • /
    • pp.691-698
    • /
    • 2008
  • 본 논문은 상위 7-비트와 하위3-비트의 binary-thermal decoding 방식과 segmented 전류원 구조로서 전력소모, 선형성 및 글리치 에너지 등 주요 사양을 고려하여, 3.3V 10비트 CMOS D/A 변환기를 제안한다. 동적 성능을 향상 시키기위해 출력단에 return-to-zero 회로를 사용하였고, segmented 전류원 구조와 최적화 된 binary-thermal decoding 방식으로 D/A 변환기가 가질 수 있는 장점은 디코딩 논리 회로의 복잡성을 단순화함으로 칩면적을 줄일 수 있다. 제안된 변환기는 $0.35{\mu}m$ CMOS n-well 표준공정을 이용한다. 설계된 회로의 상승/하강시간, 정착시간, 및 INL/DNL은 각각 1.90/2.0ns, 12.79ns, ${\pm}2.5/{\pm}0.7\;LSB$로 나타난다. 또한 설계된 D/A 변환기는 3.3V의 공급전원에서는 250mW의 전력소모가 측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