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R4A1

검색결과 195건 처리시간 0.034초

Memory-improving effect of formulation-MSS by activation of hippocampal MAPK/ERK signaling pathway in rats

  • Kim, Sang-Won;Ha, Na-Young;Kim, Kyung-In;Park, Jin-Kyu;Lee, Yong-Heun
    • BMB Reports
    • /
    • 제41권3호
    • /
    • pp.242-247
    • /
    • 2008
  • MSS, a comprising mixture of maesil (Prunus mume Sieb. et Zucc) concentrate, disodium succinate and Span80 (3.6 : 4.6 : 1 ratio)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of memory when daily administered (460 mg/kg day, p.o.) into the normal rats for 3 weeks. During the spatial learning of 4 days in Morris water maze test, both working memory and short-term working memory index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when compared to untreated controls. We investigated a molecular signal transduction mechanism of MSS on the behaviors of spatial learning and memory. MSS treatment increased hippocampal mRNA levels of NR2B and TrkB without changes of NR1, NR2A, ERK1, ERK2 and CREB. However, the protein levels of pERK/ERK and pCREB/CREB were all significantly increased to $1.5{\pm}0.17$ tim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improving effect of spatial memory for MSS is linked to MAPK/ERK signaling pathway that ends up in the phosphorylation of CREB through TrkB and/or NR2B of NMDA receptor.

$No_3$-수준이 Oxidative Pentose Phosphate Pathway와 질산동화작용 효소"Nitrate Reductase, Nitrite Reductase, Glutamine Synthetase$_1$" 및 암모늄재동화작용 주요효소"Glutamine Synthetase$_2$"활성도의 상호관계에 미치는 영향 (Interactions between Oxidative Pentose Phosphate Pathway and Enzymes of Nitrate Assimilation "Nitrate Reductase, Nitrite Reductase, Glutamine Synthetase$_1$" and Ammonium Reassimilation "Glutamine Synthetase$_2$" as affected by $No_3$-Concentration)

  • 손상목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7권5호
    • /
    • pp.468-475
    • /
    • 1992
  • 질소시비수준이 Oxidative Pentose Phosphate Pathway (OPPP)와 Nitrate Rdeuctase (NR), Nitrite Rdeuctase(NiR), Glutamine Synthetase$_1$(GS$_1$) 및 Glutamine Synthetase$_2$(GS$_2$) 활성도의 상호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 암조건하에서 6일간 생육시킨 완두의 부위별 또는 crude extract와 순수분리 한 plastid 별 효소 활성도를 분석 검토한 결과, 1. NR의 root부위의 생체 1g당 활성도와 단백질 1mg당 활성도, NiR의 root 및 shoot부위의 생체 1g 당 활성도는 거의 비슷한 반응을 나타내 NO$_3$$^{-}$ 처리농도가 증가할수록 급격히 증가하여 생체 1g당 NR 활성도, NiR의 root 및 shoot부위의 생체 1g당 활성도는 5mM에서, NR의 단백질 1mg당 NR 활성도는 10mM에서 각각 그 최고치에 각각 도달하였다가, 이후 시비수준이 증가할수록 저하하여 50mM 처리구에서는 무처리구와 비슷한 수준을 나타냈다. 2. NR의 shoot부위의 생체 1g당 활성도와 단백질 1mg 당 활성도, NiR의 root 및 shoot부위의 단백질 1mg당 활성도는 시비수준이 증가할수록 그 활성도가 induction되었으며, NR의 생체 1g당 활성도는 50mM에서 무처리구에 비해 4.8배, 단백질 1mg 당 활성도는 25mM 처리구에서 무처리구에 비해 5.0배까지 상승하였다. 3. Crude extract의 총 GS specific activity가 plastids의 GS$_2$ specific activity에 비해 월등히 많았으며, crude extract의 총 GS specific activity 대 plastids의 GS$_2$ specific activity의 비율은 뿌리의 3.0-4.3에 비해 shoot는 3.2-10.6으로 Shoot에서 NO$_3$$^{-}$ 처리농도에 따라 활성도비율의 차이가 더 컸다. 4. 고수준의 NO$_3$$^{-}$ 처리구에서 과다한 NO$_3$$^{-}$ influx에 의한 NR, NiR, GS$_1$, GS$_2$, 등의 효소활성도가 억제되었다. 5. OPPP만을 통해서도 식물체내의 NO$_3$$^{-}$의 환원이나 동화를 위한 NR, NiR, GS$_1$, GS$_2$ 활성도의 발현에 필요한 환원제와 ATP 충분히 공급될수 있었다.

  • PDF

신장 상피세포주 A498을 이용한 대황(Rheum undulatum L.)추출물의 세포독성 (Cytotoxicity of Crude Extracts of Rheum uudulatum L. with Human Kidney Epithelial Cell A498)

  • 나명석;진종언;조남철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3권5호
    • /
    • pp.460-464
    • /
    • 2000
  • 본 연구에서는 전통적으로 담석증, 신장치료 등의 한약제로 많이 사용하는 대왕을 여러 용매를 사용하여 얻은 대왕추출물 분액에 대한 세포독성을 여부를 MTT 정량법, NR 정량법, SRB 정량법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1. 추출 용매 methylene chloride, ethyl acetate, butanol, water로부터 얻은 대왕추출물 모두 처리농도에 따라 세포에 미치는 영향이 증가하였다. 2. Butanol을 용매로 사용하여 얻은 대왕추출물 분액이 다른 3가지 용매로부터 얻은 대왕추출물보다 세포에 미치는 영향이 크게 나타났고 water를 용매로 사용하여 얻은 추출물이 A498 세포주에 미치는 영향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3. Butanol을 추출 용매로 하여 얻은 대왕추출물이 A498 세포주에 미치는 영향이 가장 컸는데 그 추출물에 대한 MTT$_{50}$, NR$_{50}$, SRB$_{50}$값은 각각 0.63mg/ml, 0.65mg/ml, 0.68mg/ml이었고, 가장 영향이 적은 water의 경우 MTT$_{50}$, NR$_{50}$, SRB$_{50}$값은 각각 0.84mg/ml, 0.82mg/ml, 0.80mg/ml이었다. 4. 정량방법 간의 대왕추출물에 대한 반응은 MTT 정량법이 가장 민감하게 나타났다.

  • PDF

Study on Dual-Energy Signal and Noise of Double-Exposure X-Ray Imaging for High Conspicuity

  • Song, Boram;Kim, Changsoo;Kim, Junwoo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46권4호
    • /
    • pp.160-169
    • /
    • 2021
  • Background: Dual-energy X-ray images (DEI) can distinguish or improve materials of interest in a two-dimensional radiographic image, by combining two images obtained from separate low and high energies. The concepts of DEI performance describing the performance of double-exposure DEI systems in the Fourier domain been previously introduced, however, the performance of double-exposure DEI itself in terms of various parameters, has not been reported. Materials and Methods: To investigate the DEI performance, signal-difference-to-noise ratio, modulation transfer function, noise power spectrum, and noise equivalent quanta were used. Low- and high-energy were 60 and 130 kVp with 0.01-0.09 mGy, respectively. The energy-separation filter material and its thicknesses were tin (Sn) and 0.0-1.0 mm, respectively. Noise-reduction (NR) filtering used the Gaussian-filter NR, median-filter NR, and anti-correlated NR. Results and Discussion: DEI performance was affected by Sn-filter thickness, weighting factor, and dose allocation. All NR filtering successfully reduced noise, when compared with the dual-energy (DE) images without any NR filtering. Conclusion: The results indicated the significance of investigating, and evaluating suitable DEI performance, for DE images in chest radiography applications. Additionally, all the NR filtering methods were effective at reducing noise in the resultant DE images.

멸구 매미충의 기생성 천적에 관한 연구 I. Anagrus nr. flaveolus의 멸구류 난기생에 관하여 (Studios on the Parasites of the Rice Planthoppers I. Egg Parasitism Anagrus nr. flaveolus WATERHOUSB (Hymenoptera : Mymmaridae) on the Rice Planthoppers)

  • 김정부;유창영;김창효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87-94
    • /
    • 1982
  • 본 시험은 수도 멸구류의 난기생봉인 Anagrus nr. flaveolus의 월동후 반휴에 있어서 기생활동시기와 맥전에 있어서 기생율, 기주범위 그리고 본답에 있어서 기생활동등에 관하여 1977년부터 1979년까지 경남 진주에 위치한 본 시험국 시험포장을 중심으로 실시한 것으로서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반휴에 있어서 Anagrus nr., flaveolus의 월동후 기생활동은 4월상순에 가장 활발 하였으나 4월중 이후는 맥전으로 이동됨에 따라 현저히 감소되었다. 2. 맥전에 있어서 Anagrus nr. flaveolus의 애멸구 (Laodelphax striatellus F.)의 난에 대한 기생율은 애멸구 산란 최성기인 4월 중하순경에 $47.2\~88\%$였다. 3. 본답에 있어서 A. nr. flaveolus의 기생범위은 애멸구(Laodelphax striatellus F.), 흰등멸구(Segatella furcifera H.) 및 벼멸구(Nilaparvata lugens S.)였으며 그 중에서 애멸구난에 대한 기생율이 가장 높았다. 4. 본답에 있어서 기생활동은 7월상순과 8월하순$\~$9월상순 사이에 가장 활발하였으며 농약을 많이 살포하는 시기인 7월$\~$ 8월은 살충제 무살포답이 살포답에 비하여 기생율이 현저히 높았으며 10월 이후부터 월동전까지는 반휴에서 기생활동이 활발하였다.

  • PDF

Analysis of electrochemical double-layer capacitors using a Natural Rubber-Zn based polymer electrolyte

  • Nanditha Rajapaksha;Kumudu S. Perera;Kamal P. Vidanapathirana
    • Advances in Energy Research
    • /
    • 제8권1호
    • /
    • pp.41-57
    • /
    • 2022
  • Electrochemical double-layer capacitors (EDLCs) based on solid polymer electrolytes (SPEs) have gained an immense recognition in the present world due to their unique properties. This study is about preparing and characterizing EDLCs using a natural rubber (NR) based SPE with natural graphite (NG) electrodes. NR electrolyte was consisted with 49% methyl grafted natural rubber (MG49) and zinc trifluoromethanesulfonate ((Zn(CF3SO3)2-ZnTF). It was characterized using electrochemical impedance spectroscopy (EIS) test, dc polarization test and linear sweep voltammetry (LSV) test. NG electrodes were made using a slurry of NG and acetone. EIS test, cyclic voltammetry (CV) test and galvanostatic charge discharge (GCD) test have been done to characterize the EDLC. Optimized electrolyte composition with NR: 0.6 ZnTF (weight basis) exhibited a conductivity of 0.6 x 10-4 Scm-1 at room temperature. Conductivity was predominantly due to ions. The electrochemical stability window was found to be from 0.25 V to 2.500 V. Electrolyte was sandwiched between two identical NG electrodes to fabricate an EDLC. Single electrode specific capacitance was about 2.26 Fg-1 whereas the single electrode discharge capacitance was about 1.17 Fg-1. The EDLC with this novel NR-ZnTF based SPE evidences its suitability to be used for different applications with further improvement.

Investigation of gene-gene interactions of clock genes for chronotype in a healthy Korean population

  • Park, Mira;Kim, Soon Ae;Shin, Jieun;Joo, Eun-Jeong
    • Genomics & Informatics
    • /
    • 제18권4호
    • /
    • pp.38.1-38.9
    • /
    • 2020
  • Chronotype is an important moderator of psychiatric illnesses, which seems to be controlled in some part by genetic factors. Clock genes are the most relevant genes for chronotype. In addition to the roles of individual genes, gene-gene interactions of clock genes substantially contribute to chronotype. We investigated genetic associations and gene-gene interactions of the clock genes BHLHB2, CLOCK, CSNK1E, NR1D1, PER1, PER2, PER3, and TIMELESS for chronotype in 1,293 healthy Korean individuals.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find associations between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SNP) and chronotype. For gene-gene interaction analyses, the quantitative multifactor dimensionality reduction (QMDR) method, a nonparametric model-free method for quantitative phenotypes, were performed. No individual SNP or haplotype showed a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chronotype by both regression analysis and single-locus model of QMDR. QMDR analysis identified NR1D1 rs2314339 and TIMELESS rs4630333 as the best SNP pairs among two-locus interaction models associated with chronotype (cross-validation consistency [CVC] = 8/10, p = 0.041). For the three-locus interaction model, the SNP combination of NR1D1 rs2314339, TIMELESS rs4630333, and PER3 rs228669 showed the best results (CVC = 4/10, p < 0.001). However, because the mean differences between genotype combinations were minor, the clinical roles of clock gene interactions are unlikely to be critical.

역상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 그래피에 의한 Pd(II) - isonitrosoethylacetoacetate imine 유도체 킬레이트의 용리거동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lution Behavior of Pd-Isonitroso ethylacetoacetate imine Chelates by Reversed-phase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 김현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20-30
    • /
    • 1993
  • 본 연구는 역상 HPLC를 이용하여 Pb(IEAA-NR)2 (R=H, CH3, C3H7, C6H5, C4H9) 킬레이트를 동시 분리하기 위한 최적 분리 조건을 조사하고 이들의 용리거동에 관련된 인자들과의 관계를 검토하였는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각 Pb(IEAA-NR)2 킬레이트의 분리에 대한 기기의 최적 조건을 실험적으로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분리관 : Micropak MCH-5 (4.0 mm I.D. $\times$ 15 cm L, Particle size 5 $\mu\textrm{m}$) 용리액 : MeOH / H20 (73/27) 흐름속도 : 0.7 ${\mu}\ell$/min. 시료주입량 : 4 ${\mu}\ell$ 검출기 : UV 검출기 (254 nm) 2. 용리액의 흐름속도는 0.7${\mu}\ell$/min. 일때 적당한 분리 시간과 좋은 분리도를 나타내었다. 3. 시료 용매가 킬레이트의 머무름 시간에는 큰 영향을 주지 않았으며 금속 킬레이트간의 겸침 현상이 줄어들고 봉우리 면적이 큰 CH3CN을 사용하였다. 4. 용리액의 조성은 MeOH/H2O 의 비가 73/27 으로써 대개의 경우에 lig k' 값이 0$\leq$log k' $\leq$1을 잘 만족하지 않았으며 전체적으로 적당한 분리시간과 좋은 분리도를 나타내었다. 5. Pb(IEAA-NR)2 킬레이트의 log k' 값을 이성분 용매계에서 물의 부피 분율에 대하여 plot한 결과 이들이 직선적인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보아 Pb(IEAA-NR)2 의 머무름은 소수성 효과(Hydrophobic effect)에 크게 기인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NR/CR 라텍스 블렌드 필름의 제조 및 물리적 특성 (Preparation and Physical Properties of Blend Films of Natural Rubber and Chloroprene Rubber Latex)

  • 김공수;박준하;엄주송
    • 공업화학
    • /
    • 제7권4호
    • /
    • pp.691-697
    • /
    • 1996
  • 천연고무 라텍스(NRL)와 각종 첨가제를 배합 숙성하여 NR 필름을 제조하였고, 클로로프렌고무 라텍스 (CRL)를 일정한 비율로 블렌드하여 NR/CR 필름을 제조하였다. 이들 필름의 전가류 시간에 따른 팽윤도와 기계적 성질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 팽윤도 80~85%, 전가류 시간 48~60hrs등에서 가장 우수하였고, CRL의 블렌드 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인장강도는 감소하고 신장율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제조공정을 달리하여 제조한 시편의 기계적특성을 비교한 결과, 1회 디핑법을 사용한 NR/CR 필름의 인장강도, 인열강도는 2회 디핑한 NR-d-CR 필름보다 더 우수하였다. 이들 시편의 표면을 SEM으로 관찰한 결과, CRL의 블렌드 비율이 증가할수록 필름 표면의 벌크한 집합체가 증가되는 것으로 보아 상분리가 일어났음을 관찰할 수 있었다.

  • PDF

신장 상피세포주 A498을 이용한 대황(Rheum undulatum L.)추출물의 세포독성

  • 나명석;진종언;조남철
    • 한국식품영양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식품영양학회 2000년도 정기총회 및 동계학술심포지움
    • /
    • pp.55-55
    • /
    • 2000
  • 본 연구에서는 전통적으로 담석증, 신장치료 등의 한약제로 많이 사용하는 대왕을 여러 용매를 사용하여 얻은 대왕추출물 분액에 대한 세포독성을 여부를 MTT 정량법, NR 정량법, SRB 정량법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1. 추출 용매 methylene chloride, ethyl acetate, butanol, water로부터 얻은 대왕추출물 모두 처리농도에 따라 세포에 미치는 영향이 증가하였다. 2. Butanol을 용매로 사용하여 얻은 대왕추출물 분액이 다른 3가지 용매로부터 얻은 대왕추출물보다 세포에 미치는 영향이 크게 나타났고 water를 용매로 사용하여 얻은 추출물이 A498 세포주에 미치는 영향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3. Butanol을 추출 용매로 하여 얻은 대왕추출물이 A498 세포주에 미치는 영향이 가장 컸는데 그 추출물에 대한 MTT50, NR50, SRB50값은 각각 0.63mg/m1, 0.65mg/ml, 0.68mg/ml이었고, 가장 영향이 적은 water의 경우 MTT50, NR50, SRB50값은 각각 0.84mg/m1, 0.82mg/m1, 0.80mg/ml이었다. 4. 정량방법 간의 대왕추출물에 대한 반응은 MTT 정량법이 가장 민감하게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