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ORMAL OCCLUSION

검색결과 639건 처리시간 0.028초

과도한 마모를 보이는 환자에서 완전도재관을 이용한 구강회복 증례 (Full-mouth rehabilitation of the patient with severe tooth wear using all ceramic restorations)

  • 김태수;이재현;이철원;이원섭;이수영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4권3호
    • /
    • pp.306-313
    • /
    • 2016
  • 치아의 마모는 점진적으로 발생하는 생리적인 현상으로 알려져 있다. 생리적 마모는 그 정도가 적고 치조골의 보상성 성장과 치아의 정출에 의해 수직고경이 유지된다고 보고되고 있다. 하지만 과도한 병적마모는 병적인 치수상태, 교합부조화, 기능장애와 심미적인 문제를 야기하여 완전 구강회복술을 요하는 경우가 많다. 수복 시에는 기능과 심미를 회복할 수 있는 적절한 수직고경의 변경이 필요하며 근신경계와 조화를 이루는 고경의 결정이 중요하다. 본 증례는 36세 여성으로, 전반적인 치아마모와 심미적 불만족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마모된 정도와 심미를 고려하여 상악 전치부 절단면 기준으로 감소한 수직고경을 2 mm 회복하고 완전도재관을 이용하여 수복하였다. 이에 적절한 심미적, 기능적 결과를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Fisher's Angle에 관한 연구 (A STUDY OF FISHER'S ANGLE)

  • 김영수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7-21
    • /
    • 1979
  • This investigation was to analyse normal protrusive and lateral condylar pantographic records written on the sagittal plane and to study components of Fisher's angle and their interrelat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limited to (1) discussing the significance of sagittal pantographic record in diagnosis of occlusal disease and(2) basing for reasoning validity of measuring Fisher's angle which has been reported so far. As a result followings were concluded. 1. In each protrusive and lateral condylar movement path, five complicate factors such as initial straightness, distributed simple sigmoid type, simple curvature, initial tiny protruding convexity and tiny repeated sigmoid patterns were noted. Generally each condylar movement path was composed of two to three of these factors. 2. The distribution of positional interrelations of protrusive and lateral condylar paths could be divided into five categories; (a) protrusive-upper, (b) completely coinciding, (c) partially initial coinciding, (d) partially inverted crossing, and (e) completely inverting. Among these, protrusive path-upper positioned condyles were prevailed (79.2%). 3. The distribution of interrelations of protrusive and lateral condylar paths could be devided into five categories according to their distances in the course of movement. Among these, opening (95.8%) and paralleling (66.7%) were prevailing. 4. The involved number of characteristic heterogenous patterns of five categories in protrusive and lateral condylar movement recording relations at one simultaneous recordings was limited to three. However, in case of homogeneous patterns were repeated, usually three to four were included. 5. The maximum distance between protrusive and lateral condylar paths was 1.45mm at the location of 4mm advanced position from centric relation point and 3.90mm at the location of protrusive movement terminal. 6. It seemed to be that ,pantographic records should be consulted other clinical symptoms in order to make certain occlusion diagnosis. 7. At the present moment of investigation, expressing Fisher's angle as a degree revealed a lack due to inherent complexity of protrusive and lateral condylar movement paths. 8. The typical pattern of protrusive and lateral condylar paths written on a pantographic sagittal plate might be described as follows; (a) protrusive condylar path should be positioned upwardly, (b) both mainly be simple curvature, (c) interrelations mainly be opening or paralleling. 9. The mean amounts of separation between protrusive and lateral condylar movement path were $0.75{\pm}0.46$ at 4mm advanced location from centric relation and $1.74{\pm}0.64mm$ at the location of protrusive path terminal.

  • PDF

전산화단층사진을 이용한 하악골 3차원 영상에서 비대칭진단 계측항목의 재현도에 관한 연구 (Reproducibility of asymmetry measurements of the mandible in three-dimensional CT imaging)

  • 김고운;김재형;이기헌;황현식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8권5호
    • /
    • pp.314-327
    • /
    • 2008
  • 본 연구는 하악골 3차원 입체영상에서 비대칭계측항목들의 재현도 비교를 통하여 안면비대칭 진단 시 유용한 계측점 설정에 도움이 되고자 시행되었다. 40명의 두경부 전산화단층사진을 이용하여 생성한 3차원 영상에서 하악골 형태를 결정짓는 부위로 하악과두, 하악우각부, 하악정중부를 선택하고 각 부위의 세부위치에 따라, 그리고 측정 시 보는 각도에 따라 구분하여 하악과두의 경우 $Cd_{sup}_{-}_{sup}$ 등 6개, 하악우각부의 경우 $Go_{inf}_{-}_{lat}$ 등 10개, 하악정중부의 경우 $Me_{-}_{ant},\;Me_{-}_{inf}$ 등 총 18개의 계측점을 설정한 후 이를 이용하여 하악골 비대칭 시 좌우 차이를 보일 수 있는 25개의 계측항목을 설정 및 계측한 후 조사자간 및 조사자내의 재현도를 비교 평가하였다. 조사자간 재현도의 경우 25개의 계측항목 중 3개를 제외한 모든 계측항목에서, 조사자내 재현도의 경우 2개 항목을 제외한 모든 계측항목에서 높은 재현도를 보였다. 아울러 본 연구에서 설정한 18개의 계측점 중 $Go_{mid}_{-}_{lat},\;Go_{mid}_{-}_{obl}$가 포함된 계측항목이 조사자간 및 조사자내 재현도가 떨어지는 경향을 보였다. 이상의 면구 결과 본 연구에서 사용된 18개의 계측점 중 16개의 계측점 (과두를 나타내는 $Cd_{sup}_{-}_{sup},\;Cd_{lat}_{-}_{ant},\;Cd_{lat}_{-}_{lat},\;Cd_{post}_{-}_{lat},\;Cd_{post}_{-}_{post},\;S$, 하악우각부를 나타내는 $Go_{int}_{-}_{lat},\;Go_{inf}_{-}_{inf},\;Go_{lat}_{-}_{ant},\;Go_{lat}_{-}_{lat},\;Go_{post}_{-}_{lat},\;Go_{post}_{-}_{post},\;Ag_{-}_{lat},\;Ag_{-}_{inf}$, 하악정중부를 나타내는 $Me_{-}_{ant},\;M_{-}_{inf}$)은 높은 재현도를 보이므로 전산화단층사진을 이용한 하악골 3차원 영상에서 안면비대칭 환자의 진단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개인용 컴퓨터에서 재구성한 3차원 전산화단층영상의 두부계측 재현성 (Reproducibilities of cephalometric measurements of three-dimensional CT images reconstructed in the personal computer)

  • 전국진;박혁;이희철;김기덕;박창서
    • Imaging Science in Dentistry
    • /
    • 제33권3호
    • /
    • pp.171-178
    • /
    • 2003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port the reproducibility of intra-observer and inter-observer consistency of cephalometric measurements using three-dimensional (3D) computed tomography (CT), and the degree of difference of the cephalometric measurements. Materials and Methods: CT images of 16 adult patients with normal class I occlusion were sent to personal computer and reconstructed into 3D images using V-Works 3.5/sup TM/(Cybermed Inc., Seoul, Korea). With the internal program of V-Works 3.5/sup TM/, 12 landmarks on regular cephalograms were transformed into 21 analytic categories and measured by 2 observers and in addition, one of the observers repeated their measurements. Intra-observer difference was calculated using paired t-test, and inter-observer by two sample test. Result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intra-observer measurements (p < 0.05) in four of the categories which included ANS-Me, ANS-PNS, Cdl-Go (Lt), GoL-GoR, but with the exception of Cdl-Go (Lt), ZmL-ZmR, Zyo-Zyo, the average differences were within 2 mm of each other. The inter-observer observations also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measurements of the ZmL-ZmR and Zyo-Zyo categories (p < 0.05). With the exception of the Cdl-Me (Rt), ZmL-ZmR, Zyo-Zyo categories, the averag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observers were within 2 mm, but the ZmL-ZmR and Zyo-Zyo values differed greatly with values of 8.10 and 19.8 mm respectively. Conclusion: In general, 3D CT images showed greater accuracy and reproducibility, with the exception of suture areas such as Zm and Zyo, than regular cephalograms in orthodontic measurements, showing differences of less than 2 mm, therefore 3D CT images can be useful in cephalometric measurements and treatment planning.

  • PDF

치아종에 의해 매복된 하악 제2 유구치의 교정적 견인 (ORTHODONTIC TRACTION OF THE LOWER DECIDUOUS SECOND MOLAR IMPACTED BY AN ODONTOMA)

  • 한윤범;김성오;이제호;최형준;손흥규;최병재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84-88
    • /
    • 2009
  • 치아매복이란 물리적인 장벽으로 치아맹출에 장애가 발생하는 것으로, 정상 맹출 시기까지 치아가 맹출하지 못하는 상태를 말하며, 영구치열기에서 주로 관찰되고, 유치열기에서는 드물다. 치아매복은 전신적 그리고 국소적인 요인에 의하여 일어나고, 치아종에 의한 매복이 자주 발생하는 것으로 보고되었으며, 치아종에 의한 매복 또한 대부분 영구치열기에 나타나고, 유치열기에서는 드물게 발생한다. 이 증례는 하악 좌측 제2유구치의 맹출지연을 주소로 내원한 4세 4개월 된 여아에서, 임상 및 방사선학적 검사 결과 매복된 하악 좌측 제2유구치와 제1대구치 교합면 상방에서 치아종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 하악 좌측 제2유구치는 치아종에 의해 하악 제1대구치 방향으로 원심경사 되어 있었다. 이에 저자들은 치아종을 제거한 후 매복된 하악 좌측 제2유구치를 교정적으로 견인하고 맹출을 유도하여, 양호한 교합 관계를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 PDF

Miniplate를 골격성 고정원으로 이용한 매복된 하악 제1대구치의 교정치료 증례 (ORTHODONTIC TREATMENT OF AN IMPACTED MANDIBULAR FIRST MOLAR USING MINIPLATE AS A SKELETAL ANCHORAGE: A CASE REPORT)

  • 장윤형;김은영;김광철;박재홍;이백수;최성철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246-251
    • /
    • 2010
  • 치아의 매복은 치배의 이상 위치 혹은 맹출로에 장애가 있어서 일어나지만, 그 정확한 기전은 아직 알려지지 않았다. 하악 제1대구치 매복의 발생율은 0.01~0.25%로 매우 드물지만, 이러한 매복은 인접 치아의 우식 또는 치근 흡수, 치조골의 저성장, 치주적 문제들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에 최대한 빨리 매복을 해소시켜줄 필요가 있다. 매복된 하악 제1대구치가 근심경사 되어있을 경우 이를 직립시키기 위한 여러 생역학적 접근법이 있지만, 대부분의 방법들은 상호간의 힘(reciprocal force)에 의해 고정원 단위의 이동이 일어난다는 문제가 있다. 최근 골격성 고정원(SAS, Skeletal Anchorage System)의 도입으로 목표 치아 혹은 목표 분절에 직접적인 힘을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게 됨에 따라 단기간의 효율적 치아 이동이 가능하게 되었다. 본 증례에서는 만곡된 치근을 가진 매복 하악 좌측 제1대구치에서 치아의 직립을 위해 골격성 고정원인 miniplate를 사용 하였다. miniplate는 후구치 부위에 식립되었으며, 교정력을 적용한 10개월 후 매복치가 구강 내로 노출되고 직립되었다. 이에 하악 좌측 제1대구치를 고정성 교정장치에 포함시켜 정상 교합을 얻을 수 있었다.이와 같이 골격성 고정원을 사용함으로써 교정술식을 단순화시키고 교정치료 기간을 줄이며 부작용이 적었던 장점 등이 있어 보고하는 바이다.

한국 성인의 측모두부 수평기준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horizontal reference planes in lateral cephalogram in Korean adults)

  • 김경호;백형선;김진갑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865-875
    • /
    • 1998
  • 교정이나 악교정 수술 환자에서 치료계획 수립과 치료결과의 평가를 위해서 지금까지 많은 수평기준선이 사용되고 있으나 정확성과 재현성 등의 문제가 존재하고 있으며, 더욱 객관적인 수평기준선이 설정 될 수 있다면 교정학 분야에서 많은 발전이 기대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 성인의 부정교합군과 성별에 따른 Sella-Nasion(SN) 평면과 Frankfort-Horizontal(FH) 평면이 이루는 각도 및 FH평면과 다른 수평면 간의 상관 관계를 조사하기 위하여 먼저 임상검사를 시행하여 총 600 여명을 대상으로 측모두부규격 방사선사진을 촬영하였다. 계측결과를 바탕으로 연구대상을 골격성 I급 부정교합군 또는 정상교합군(남 50, 여 50), 골격성 II급 부정교합군(남 50, 여 65),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군(남 50, 여50)으로 분류한 후 10개의 항목을 평가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SN평면과 FH평면이 이루는 각도는 부정교합에 따른 차이는 없었으나 성별 간에는 세 부정교합군 모두에서 차이를 보여 남자는 $7.47{\pm}2.40^{\circ}$, 여자는 $8.93{\pm}2.72^{\circ}$ 였다. 2. SN 평면 또는 FH 평면과 Mandibular Plane이 이루는 각은 모든 부정교합군에서 여자가 남자보다 컸으며, 골격성 II급 부정교합군과 III급 부정교합군이 I급 부정교합군보다 큰 각도를 나타내었다. 3. FH평면과 Palatal Plane이 이루는 각은 부정교합군 및 성별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고 비교적 일정하였다. 4. Gonial angle은 남녀 모두 III급 부정교합군이 다른 두 부정교합군보다 큰 각도를 보였다.

  • PDF

3-11세 아동의 두개 및 연조직의 성장변화에 관한 준종단적 연구 (SEMI-LONGITUDINAL STUDY OF GROWTH AND DEVELOPMENT OF CRANIO-FACIAL SOFT TISSUE OF CHILDREN AGED FROM 3 TO 11)

  • 박영철;최광철;한희경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891-904
    • /
    • 1997
  • 현대 교정의 치료 목표는 기능 교합과 안모의 심미성에 있다고 하겠으나 이중 심미적 외모에 대한 중요성은 시대의 흐름에 따라 점차 증가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경조직과 연조직의 성장과 발육에 대한 지식은 필수적이라 하겠다. 이전의 연구는 주로 두부방사선적 연구를 통한 골격적 분석에 치중하여 왔다. 하지만 안모의 심미성에 관해 중요한 역할을 하는 악안면 연조직은 하부경조직의 영향을 받지만 긴밀한 연관 관계를 구하기는 어렵다는 연구들이 근래에 보고되었다. 이에 본 저자는 성장기 한국인 3-11세 아동 중에 전신 질환이 없고 발육 상태가 양호하며 교합 상태가 정상인 남자 137명과 여자 106명을 대상으로 만 2년간 두부 방사선 사진을 채득하여 연조직의 분석을 facial form, lip position & posture, Nose, Thickness의 4 부분으로 나누어 성장과의 관계를 연구한바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1. Facial Form Facial convexity가 남자 아동에 있어서 약간의 증가량을 보였는데 이는 A-Sn의 증가율이 남자 아동에서 큰 것과 관련이 있는 듯하다. 또한 안면 하방 구조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상방 구조보다 더 많은 성장이 일어났다. 2. Lip position and posture Nasolabial angle은 연령에 따라 큰 변화가 없는 것으로 보이며 이 평균값은 남자 93.11, 여자 97.56으로 서양인의 102보다는 예각을 보였으며 Esthetic line에 대한 돌출도는 대체로 큰 변화가 없었다. 남자 아동이 여자 아동보다 입술의 돌출도가 더 큰 값을 보였는데 이는 심미적 이유로 발치를 고려할 때 차이를 보일 수 있는 결과라고 하겠다. 상악 전치의 노출도는 남녀 공히 2-3mm의 값을 보였다. 3. Nose 비저의 절대적 길이는 성장에 따라 증가하는데 비해 Sn-N'-Pn은 연령 증가의 변화가 없었는데 이는 코의 성장이 전하방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4. Thickness A-Sn의 길이는 남녀 아동에 있어서 연령에 따라 증가하였는데 그중 남자 아동에 있어서 변화폭이 컸다. 상순 후경과 하순 후경 역시 연령에 따라 증가하였으나 Pogonion의 연조직 두께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는데 이는 다른 연구 결과와 유사한 결과이다.

  • PDF

교합안정장치 사용 전, 후의 하악과두 위치 변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F CONDYLAR POSITIONAL CHANCES BEFORE & AFTER STABILIZATION SPLINT THERAPY)

  • 이숙경;윤영주;김광원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13-122
    • /
    • 1998
  • 본 연구는 조선대학교 부속 치과병원 교정과에 내원하여 교정치료를 시행하고 있는 환자중 Panadent 교합기 및 condylar position indicator(CPI)를 이용하여 중심위-중심교합 편위양을 측정한 결과, 전후방 및 수직적 편위양이 1.00mm이내, 측방편위양이 0.30mm 이내인 정상범주를 넘는 부정교합 환자 47명을 대상으로 하여 3개월간 교합안정장치를 24시간 장착하고, CPI 및 transcranial projection을 이용하여 교합안정장치 장착전과 장착후의 하악과두의 위치변화를 관찰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CPI상의 모든 군에서 중심교합-중심위 사이에 통계적인 유의성이 있었다(p<0.001). 2. transcranial projection상의 superior joint space의 Rt와 Lt+Rt/2에서 중심교합-중심위 사이에 통계적인 유의성이 있었다(p<0.05). 3. CPI상의 모든 superior-inferior components군에서 교합안정장치 사용 전, 후의 중심교합-중심위 사이에 통계적인 유의성이 있었다(p<0.01). 4. transcranial projection상의 superior joint space의 Rt를 제외한 모든 군에서 교합안정장치 사용 전, 후의 중심교합-중심위 사이에 통계적인 유의성이 없었다. 이상의 결론을 종합해 볼 때 중심교합-중심위 사이의 변화를 평가하는데는 transcranial projection보다 CPI가 보다 유용하며, 교합안정장치는 하악과두의 전, 후방적 위치변화보다는 수직적 위치변화에 미치는 영향이 보다 큰 것으로 보인다.

  • PDF

팔물탕이 뇌혈유력학 변화에 미치는 작용기전 (Mechanism of Palmul- Tang on the Change of Cerebral Hemodynamics in Rats)

  • 박철훈;김계엽;정현우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18권6호
    • /
    • pp.1714-1721
    • /
    • 2004
  • This experimental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mechanism of Palmul-Tang(PMT) on the changes of cerebral hemodynamics in rats. The changes of cerebral hemodynamics in normal rats were as follows ; The PMT-induced increase in regional cerebral blood flow was significantly inhibited by pretreatment with indomethacin(1㎎/㎏, i.p.), an inhibitor of cyclooxygenase, and was inhibited by methylene blue(10㎍/㎏, i.p.), an inhibitor of guanylate cyclase. The PMT-induced dilation in pial arterial diameter was significantly inhibited by pretreatment with indomethacin and methylene blue. The PMT-induced increase in mean arterial blood pressure was significantly inhibited by pretreatment with indomethacin but was increased by methylene blue. This results were suggested that the mechanism of PMT was mediated by cyclooxygenase. The changes of cytokine production in cerebral ischemic rats were as follows ; In cytokine production of serum by drawing from femoral arterial blood after middle cerebral arterial occlusion 1hr, sample group was decreased IL-1β and TNF-α production compared with control group, IL-10 production of sample group was similar to that of control group, but sample group was significantly increased TGF-β production compared with control group. In cytokine production of serum by drawing from femoral arterial blood after reperfusion 1hr, sample group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L-1β production compared with control group and decreased TNF-α production compared with control group. IL-10 production of sample group was similar to that of control group, but sample group was significantly increased TGF-β production compared with control group. In cytokine production of serum by drawing from femoral arterial blood after reperfusion 4 hrs, sample group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L-1β production compared with control group, but IL-10 production of sample group was similar to that of control group. sample group was increased TNF-α and TGF-β production compared with control group.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PMT had inhibitive effect on the brain damage by inhibiting IL-1β and TNF-α production, but by accelerating TGF-β production. The present author thought that PMT had an anti-ischemic effect through the improvement of cerebral hemodynamics and inhibitive effect on the brain dam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