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horizontal reference planes in lateral cephalogram in Korean adults

한국 성인의 측모두부 수평기준선에 관한 연구

  • Kim, Kyung-Ho (Department of Orthodontics, College of Dentistry, Yonsei University) ;
  • Baik, Hyoung-Seon (Department of Orthodontics, College of Dentistry, Yonsei University) ;
  • Kim, Gin-Kap (Department of Orthodontics, College of Dentistry, Yonsei University)
  • 김경호 (연세대학교 치과대학 교정학교실) ;
  • 백형선 (연세대학교 치과대학 교정학교실) ;
  • 김진갑 (연세대학교 치과대학 교정학교실)
  • Published : 1998.10.0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ngle formed by the Sella-Nasion(SN) plane and Frankfort-Horizontal(FH) plane and evaluate the correlation and difference of the FH plane to other horizontal reference planes. Through this study we hope to present a basis for selecting a horizontal reference plae which can be implemented in cephalometric studies and in surgical orthodontic treatment planning. 600 subjects were chosen following a clinical examination md lateral cephlometric X-rays were taken. According to cephalometric analysis the subjects were classified into 3 groups , Skeletal Class I malocclusion or normal occlusion group(male 50, female 50), Skeletal Class II malocclusion group(male 50, female 65) and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group(male 50, female 50).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angle formed by the SN plane and FH plane showed no difference among the malocclusion groups, but there was a significant sex difference. For males the angle measured was $7.47^{\circ}{\pm}2.40^{\circ}$ whereas for females it was $8.93^{\circ}{\pm}2.72^{\circ}$. 2. The angle formed by the SN plane or FH plane and Mandibular plane was higher in females for all malocclusion groups. This angle in the Skeletal Class I malocclusion group was lower than in the other two groups. 3. There was no difference among the sexes or malocclusion groups considering the angle formed by the FH plane and Palatal plane. 4. The genial angle in the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group was higher than in the Skeletal Class I and Class II malocclusion groups in both sexes.

교정이나 악교정 수술 환자에서 치료계획 수립과 치료결과의 평가를 위해서 지금까지 많은 수평기준선이 사용되고 있으나 정확성과 재현성 등의 문제가 존재하고 있으며, 더욱 객관적인 수평기준선이 설정 될 수 있다면 교정학 분야에서 많은 발전이 기대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 성인의 부정교합군과 성별에 따른 Sella-Nasion(SN) 평면과 Frankfort-Horizontal(FH) 평면이 이루는 각도 및 FH평면과 다른 수평면 간의 상관 관계를 조사하기 위하여 먼저 임상검사를 시행하여 총 600 여명을 대상으로 측모두부규격 방사선사진을 촬영하였다. 계측결과를 바탕으로 연구대상을 골격성 I급 부정교합군 또는 정상교합군(남 50, 여 50), 골격성 II급 부정교합군(남 50, 여 65),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군(남 50, 여50)으로 분류한 후 10개의 항목을 평가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SN평면과 FH평면이 이루는 각도는 부정교합에 따른 차이는 없었으나 성별 간에는 세 부정교합군 모두에서 차이를 보여 남자는 $7.47{\pm}2.40^{\circ}$, 여자는 $8.93{\pm}2.72^{\circ}$ 였다. 2. SN 평면 또는 FH 평면과 Mandibular Plane이 이루는 각은 모든 부정교합군에서 여자가 남자보다 컸으며, 골격성 II급 부정교합군과 III급 부정교합군이 I급 부정교합군보다 큰 각도를 나타내었다. 3. FH평면과 Palatal Plane이 이루는 각은 부정교합군 및 성별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고 비교적 일정하였다. 4. Gonial angle은 남녀 모두 III급 부정교합군이 다른 두 부정교합군보다 큰 각도를 보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