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O생성 농도

검색결과 1,060건 처리시간 0.039초

제주도 자생 제주아그배 (Malus micromalus Makino) 추출물의 항산화와 항염증 활성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Ethanol Extract of Malus micromalus Makino in Jeju Island)

  • 이주엽;강민철;이정아;고광효;김봉석;한종헌;김세재;김기옥
    • KSBB Journal
    • /
    • 제24권4호
    • /
    • pp.327-333
    • /
    • 2009
  • 본 연구는 제주에 자생하고 있는 제주아그배의 생리활성, 즉 항산화 효과와 항염 효과를 알아보고자 수행하였다. 제주아그배의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고자 비교 분석한 결과, 제주아그배 에탄을 추출물 (DPPH 소거활성 $IC_{50}$ 값, $16.1\;{\mu}g$/mL; NO 소거활성 $IC_{50}$$901.2\;{\mu}g$/mL; superoxide 소거활성 및 Xanthine oxidase 억제 활성 $IC_{50}$$42.5\;{\mu}g$/mL, $2.7\;{\mu}g$/mL)은 좋은 항산화 활성을 보였고, 그 분획물 중에서는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이 항산화 활성 실험 모두에서 높은 소거활성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항산화 활성이 좋은 제주아그배의 추출물의 항염증 효과를 탐색하기 위하여 대식 세포 모델을 이용하였다. LPS로 자극한 마우스 대식세포인 RAW 264.7 세포에서 NO 활성과 세포독성간의 상대적 비교지수인 선택지수를 이용하여 탐색한 결과 에탄을 추출물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이 2.9와 12.2로 가장 높은 상대적 NO 생성 억제 활성을 보였다. 그리고 NO 생성 억제율에 대한 $IC_{50}$ 값은 각각 $16.7\;{\mu}g$/mL, $4.1\;{\mu}g$/mL으로 나타났다. 이런 결과를 기초로 하여 제주아그배의 에탄올 추출물의 NO 감소가 iNOS 단백질 감소에 의한 것임을 확인한 결과, 시료를 처리한 RAW 264.7 세포에서 iNOS 단백질이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하였다. 또한 iNOS 단백질의 억제가 mRNA의 감소로 인한 것인지 조사하고자, RT-PCR을 통해 iNOS의 mRNA 발현을 조사한 결과, 단백질과 마찬가지로 농도 의존적인 mRNA 발현 감소를 볼 수 있었다. 제주아그배의 에탄을 추출물을 농도 별로 처리하였을 때 유의적으로 COX-2 단백질과 mRNA 발현이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하였다. 분획물 중에서는 NO 활성과 세포 독성간의 상대적 비교지수인 선택지수가 높았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이 에탄을 추출물보다도 NO, iNOS, COX-2의 억제 정도가 더 좋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베시클 생성에 미치는 Phosphatidylcholine과 알루미늄 염 농도의 영향에 관한 TEM 관찰 (Observation of Effects of Phosphatidylcholine and Al Salts Concentration on the Formation of Vesicles by TEM)

  • 정종재;김창현;이병교;이해욱
    • 대한화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173-179
    • /
    • 1996
  • 투과전자현민경(TEM)을 사용하여 실험 변수에 따른 베시클의 크기와 베시클간의 응집을 관찰하였다. 조절된 변수로는 (a) 반응온도의 변화, (b) Phosphatidylcholine 농도의 변화, (c) Phosphatidylcholine의 농도(0.39mM)를 일정하게 유지했을 때 알루미늄 이온의 농도변화:0.01, 0.05, 0.1, 0.2 M, (d) $Al(NO_3)_3{\cdot}9H_2O$에 Phosphatidylcholine을 1 wt%로 고정하여 이들의 농도 증가에 따른 전체농도의 변화 등을 실험한 결과 베시클크기와 베시클간의 응집이 관찰되었다. 반응온도가 증가할수록 Phosphatidylcholine 농도가 증가할수록 베시클의 크기가 감소되었다. 알루미늄 이온농도가 0.2M일 때 입자간의 응집과 합체로 비정상 베시클 성장이 관찰되었다. $Al(NO_3)_3{\cdot}9H_2O$에 대한 Phosphatidylcholine비가 1 wt%일 때 최적의 베시클 크기와 균일한 분포를 얻을 수 있었다.

  • PDF

Cotoneaster horizontalis Decne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염증 활성 (Anti-Oxidative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Cotoneaster horizontalis Decne Extract)

  • 이지영;진경숙;권현주;김병우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280-285
    • /
    • 2015
  • Cotoneaster horizontalis Decne 에탄올 추출물(CHEE)의 항산화능과 항염증 생리활성을 분석하였다. CHEE의 항산화능을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로 분석한 결과 radical 소거능의 정도가 양성 대조군으로 사용한 ascorbic acid와 유사한 정도의 높은 활성을 보여 매우 강한 항산화능을 보유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RAW 264.7 세포주를 이용하여 H2O2 유도에 의해 생성된 ROS에 대한 소거능을 분석한 결과에서도 강한 소거능을 보였다. 뿐만 아니라 항산화효소 HO-1 및 그 전사 인자인 Nrf2의 단백질 발현이 CHEE의 처리에 의해 증가되었다. 한편 CHEE가 LPS에 의해 유도된 NO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농도의존적인 NO 생성 저해능을 보였으며 이는 NO 생성 단백질인 iNOS의 발현 저해에서 기인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C. horizontalis의 항산화능과 항염증 활성을 세포 수준에서 처음으로 확인하였으며 향후 기능성 소재로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연속식 고정화 및 현탁 세포 생물 반응기에 의한 에탄을 생성중 지질 첨가 영향 (The Roles of Lipid Supplements in Ethanol Production Using a Continuous Immobilized and Suspended Cell Bioreactor)

  • 길광훈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9권1호
    • /
    • pp.1-8
    • /
    • 1996
  • Saccharomyces cerevisiae의 고정화 및 현탁 세포로 구성된 연속식 생물반응기에서 에탄올 생성시 지질 첨가 영향을 연구하였다. 여러가지 배양조건하에서 에탄을 생산량 및 현탁 세포의 알코올 탈수소효소(alcohol dehydrogenase, ADH)의 비활성도를 측정하였다. 무통기 조건하에서 ergosterol과 oleic acid를 세포 배양액에 첨가하였을때, 에탄을 생산량과 균체 생육이 현저히 증가하였으나, 알코올 탈수소효소의 비활성도는 영향을 받지 않았다. 특히 무통기 조건 및 통기 조건하에서 얻어진 현탁 세포간의 알코올 탈수소효소의 비활성도는 차이가 없었다. 계면활성제 첨가시에도 에탄올 생성, 균체 생육, 알코올 탈수소효소의 비활성도가 크게 증가하였다. 고농도($40\;g/{\ell}$ 이상) 에탄올에 노출된 세포배양액에 ergosterol과 oletic acid 첨가시에도 에탄올 생성량, 균체 생육, 알코올 탈수소효소의 비활성도가 증가하였으나, 계면활성제 첨가시에는 효과가 없었다. 따라서, 지질 첨가효과는 저농도 에탄을 조건에 비해 고농도 에탄을 존재시 크게 작용하였다. 여러가지 매양조건에서 얻어진 현탁 세포의 알코올 탈수소효소의 isozyme patteren을 전기영동법에 의해 조사한 결과 ADH I으로 추정되는 한개의 isozyme만이 확인되었으며, isozyme의 이동거리는 세포의 배양조건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었다. 에탄올 생성량과 알코올 탈수소효소의 비활성도사이의 상관관계는 성립되지 않았으며, 알코올 탈수소효소의 비활성도보다는 균체량이 에탄올 생성에 더 중요한 인자로 작용하였다.

  • PDF

비티 새싹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염효과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Beet (Beta vulgaris) Sprout Extract)

  • 한송이;변지훈;강미숙;강소미;김재훈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20년도 추계국제학술대회
    • /
    • pp.77-77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비트 새싹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염증 효능을 평가하기 위해 3가지 품종의 레드 비트(메를린, 우단, 디트로이트다크레드) 새싹을 60% 에탄올로 추출한 후 free radical 소거활성, 총 폴리페놀 함량을 측정하였다. 또한, LPS로 염증반응이 유도된 대식세포인 RAW264.7 세포에서 nitric oxide(NO) 생성억제 효과를 알아보았다. 메를린, 우단, 디트로이트다크레드 새싹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을 querceitn을 표준물질로 사용하여 측정한 결과 2.84 mg Que/g, 2.61 mg Que/g, 2.71 mg Que/g으로 나타났고 DPPH 라디칼 소거능은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으며, 200 ㎍/ml일 때, 55%, 72%, 63%로 나타났다. 또한, DPPH 라디칼 소거능이 가장 높은 메를린 새싹 추출물은 LPS로 염증반응이 유도된 RAW264.7 세포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iNOS와 COX-2를 억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메를린 비트 새싹 추출물이 항산화 및 항염증제의 천연물 소재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발효콩 대두황권의 항산화 및 항암효과 (Antioxidant and Anticancer Activities of Glycine Semen Germinatum Fermented with Germinated Black Soybean and Some Bacteria)

  • 손미예;이상원;남상해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4권5호
    • /
    • pp.538-544
    • /
    • 2007
  • 발아콩의 기능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검정콩으로 발아시킨 대두황권을 고초균과 혼합 젖산균으로 각각 발효시킨 추출물에 대한 ABTS와 DPPH 라디칼 소거능 및 환원력의 항산화능, 일산화질소(NO) 생성 및 인체암 세포주(HeLa, HepG2, HT-29, MCF-7)의 항암활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항산화능은 추출물에 대한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고, 흑대두는 황색대두에 비하여 높았으며, 발효콩 대두황권보다는 비발효 시료가 약간 높게 나타났다. 일산화질소 생성은 시료 추출물의 1 mg/mL 농도에서 황색대두 $0.374{\mu}M$과 흑대두 $0.386\;{\mu}M$보다는 발효콩 흑대두 대두황권의 BSBS 실험군과 BSLB 실험군은 각각 $0.367\;{\mu}M$$0.358\;{\mu}M$로서 약간 낮은 NO 생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인체암 세포주에 대한 항암활성은 비발효콩이나 고초균 시료보다 혼합 젖산균 발효콩 대두황권의 추출물이 가장 높게 나타났는데, 그 효과는 자궁경부암 > 대장암 > 간암 > 유방암 세포주 순이었다.

제주 야생 버섯 추출물의 생리활성 연구 (A Study on the Biological Activities of Wild Mushroom Extracts from Jeju Island)

  • 이혜자;김기옥;박진오;주철규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165-172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제주도에 자생하고 있는 12종의 야생 버섯에 대한 항산화, 미백 그리고 염증억제 효능을 조사하였다. 항산화 효능은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를 이용한 free radical 소거 활성을 측정하였으며, 미백 효능 검정을 위하여 tyrosinase 저해활성을 측정하였다. 그리고 항염 효능 검정을 위하여 nitric oxide (NO) 생성 저해활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DPPH 소거 활성($FSC_{50}$)에서는 참나무 잔나비버섯 추출물($74.8{\mu}g/mL$), 서어나무 잔나비버섯 추출물($182.6{\mu}g/mL$)이 높은 억제 활성을 나타내었다. Tyrosinase 저해 활성($IC_{50}$)에서는 참나무 잔나비버섯 추출물($346.8{\mu}g/mL$)이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고, 이는 비교 대조군으로 사용한 Arbutin ($421.6{\mu}g/mL$)보다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염증 억제 효능 관련 NO 생성 저해율을 측정한 결과, $100{\mu}g/mL$ 처리 시 참나무 잔나비버섯과 때죽나무 잔나비버섯에서 각각 74.1%, 62.9%의 억제활성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이들을 농도별로 처리한 결과 농도 의존적으로 NO 생성을 저해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로부터, 참나무 잔나비버섯, 서어나무 잔나비버섯, 때죽나무 잔나비버섯에서 화장품 효능 원료로서의 가능성을 발견할 수 있었다.

산초 종자 정유의 항산화 및 항염 효능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Zanthoxylum schinifolium Essential Oil)

  • 김보애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440-445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RAW 264.7 세포에 산초 종자 정유 성분의 항염 및 항산화 효과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산초 종자로부터 정유를 추출하였으며,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염 활성에 대하여 평가하였다.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은 DPPH 라디칼 소거능과 SOD 유사 활성 평가법을 이용하였다. 또한 세포독성 평가를 위해 MTT를 이용하여 세포생존율을 측정하였다. LPS로 염증이 유도된 RAW 264.7 세포에 대하여 산초 정유가 NO생성과 $PGE_2$ 생성 정도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산초 종자 정유는 농도 의존적으로 DPPH 라디칼 소거능과 SOD 유사 활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포생존율 평가에서는 $40{\mu}g/mL^{-1}$ 이하의 농도에서 98% 이상의 낮은 세포독성을 나타냈으며, 항염 효능 평가에서는 LPS를 단독으로 처리한 양성대조군보다 산초 정유 성분을 처리한 군에서 NO와 $PGE_2$ 생성이 현저하게 감소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산초 정유가 염증매개인자를 감소시키고 산화의 활성을 방지할 수 있는 기능성 식물소재로서의 가능성을 나타낸다.

골쇄보 열수추출물 약침액의 항염증반응 및 DPPH 라디칼 소거능 활성에 대한 연구 (The Anti-inflammatory Effect and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Capability of Rhizoma drynariae Aqueous Extract)

  • 김용민;김이화
    • Korean Journal of Acupuncture
    • /
    • 제32권4호
    • /
    • pp.169-176
    • /
    • 2015
  • 목적 : 한의학에서 골절이나 신장질환에 사용되어 왔던 골쇄보열수추출물 약침액이 항염증 및 항산화활성에 대한 효능이 있는지를 연구하고자 한다. 방법 : 골쇄보열수추출물 약침액이 세포독성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기 위하여 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MTT) assay를 실시하였다. 골쇄보열수추출물 약침액이 항염증효능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기 위하여 lipopolysaccharide(LPS)로 유도된 RAW264.7 대식세포에서의 산화질소(NO) 및 프로스타글란딘($PGE_2$) 생성 억제력을 관찰하였다. 또한 골쇄보열수추출물 약침액이 항산화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기 위하여 1,1-diphenyl-2-pciry hydrazyl(DPPH) radical 소거능을 관찰하였다. 결과 : 골쇄보열수추출물 약침액은 $50{\sim}400{\mu}g/ml$ 농도에서 세포독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골쇄보열수추출물 약침액은 200 및 $400{\mu}g/ml$ 농도에서 LPS로 유도된 NO 및 $PGE_2$ 생성을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감소시켰다. 골쇄보추출물은 $50{\sim}400{\mu}g/ml$ 농도에서 DPPH 소거능을 관찰한 결과 농도의존적으로 활성화되는 것을 관찰하였다. 결론 : 골쇄보열수추출물 약침액은 항염증 및 항산화 효과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다양한 유기성 폐자원에서 바이오 수소 생성 연구 (Feasibility of fermentative bio-hydrogen production from different organic wastes)

  • 황재훈;최정아;;전병훈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09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506-510
    • /
    • 2009
  • 다양한 유기성 폐자원이 혐기성 소화 공정 수소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기 위해 혼합균주를 사용하여 혐기 발효 회분식 형태 연구하였다. 폐자원은 부패 과일 폐수로 각각 사과, 배, 옥수수가루 및 황산염이 함유된 유기폐수 (황산염 농도 <= 1000 mg/L)를 이용하였다. 최대 수소 생성(547.1 mL)은 부패된 사과 폐수에서 나타났으며, 유입 농도는 132.2 g COD/L이다. 황산염 함유 폐수 적용결과, 황산염 농도에 관계없이 수소가 발생하였고, 잔존황산염은 pH 5.3-5.5에서 96-98 %로 나타나 황산염 환원은 발생되지 않았다. 모든 실험 조건에서 유기산은 HBu > HAc > HPr로 발생하였다. 본 연구결과 다양한 유기 폐자원에서 발효공정을 통해 수소 발생이 가능한 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