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LOS

검색결과 126건 처리시간 0.024초

로버스트한 최소 M-추정기법을 이용한 비가시선 상의 멀티스태틱 레이더 클락 동기 기술 연구 (Clock Synchronization for Multi-Static Radar Under Non-Line-of-Sight System Using Robust Least M-Estimation)

  • 신혁수;여광구;정명득;양훈기;정용식;정원주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7C권10호
    • /
    • pp.1004-1010
    • /
    • 2012
  • 논문에서는 최근에 무선 센서 관련 연구에서 제안된 높은 정확도를 가진 센서 간의 클락 동기 기술을 멀티스태틱 레이더 시스템을 위한 무선 시간동기 알고리즘에 적용을 고려하고 특히 비가시선 상에 있는 노드들 간에 적용 될 수 없는 기존 이론의 한계를 극복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된 알고리즘에서는 두 노드에서의 얻어진 타임 스탬프 관찰 결과 정보를 바탕으로 recursive robust least M-estimation (RLM) 기법을 이용하여 두 개의 센서 노드 간의 상대적인 클락 스큐(skew)와 위상 차이를 추정한다. 그 과정에서 NLOS 환경으로 인해 uplink와 downlink시에 발생하는 지연시간의 차이를 추적하여 억제시킴으로써 알고리즘의 성능 향상시킨다. 또한 mean square error (MSE)를 계산하여 알고리즘의 성능을 기존 maximum-liklihood (ML) 기법을 이용한 알고리즘과 비교 분석한다.

LR-WPAN 시스템에서 심볼 전력 할당과 2개의 직교 코드를 사용한 채널 추정 기법 (Symbol Power Allocation and Channel Estimation Method for LR-WPAN System)

  • 이경탁;이성준;손성환;김재명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TC
    • /
    • 제44권11호
    • /
    • pp.1-10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IEEE 802.15.TG4a에서 저속 데이터 전송률을 가지는 WPAN을 위한 표준안 중 하나로 제안한 LR-UWB 시스템을 위한 채널 추정 기법과, 송신 단에서 신호 변조 시 심볼 내 반복되는 펄스 신호들의 전력 레벨을 채널 상환에 따라 유동적으로 할당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채널 추정을 위해 사용된 Preamble은 한 개의 직교 코드가 아닌 두 개의 직교 코드를 사용하여 구성한다. 상관 특성이 좋은 코드 두 개를 사용함으로써 확산 이득을 통해 더욱 정확한 채널 추정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추정된 채널 정보는 수신된 신호의 Burst 구간의 동기를 맞춰주고, 수신된 신호에서 Burst 신호의 채널 상황에 따라 변화되는 에너지 분포에 의해 결정되는 전력 할당 방법에 대한 정보를 송신 단에서 알아내어 Burst를 구성하는 반복 펄스들의 전력 레벨을 바꿔주게 된다. 모의실험을 통한 성능 분석은 IEEE 802.15.4a에서 제시하는 LR-WPAN을 위한 S-V 채널 상황에서 수신기의 방식에 따른 성능을 비교, 분석해 본다. 수신기는 Coherent 방식과 Non-Coherent 방식으로 동작되며, 모의실험 결과 수신기의 방식에 관계없이 LOS(Line-of-Sight) 채널보다 NLOS (Non-Line-of-Sight) 채널에서의 성능 향상이 크다는 특징이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고, NLOS 상황에서도 신호의 지연 확산이 클수록 좀 더 큰 성능 향상을 보이는 것을 확인 하였다.

2개의 이중대역 AP와 스마트폰을 이용한 Wi-Fi LOS 신호 기반의 실내 측위 기법 (Wi-Fi Line-of-Sight Signal based Indoor Localization Method Using Smartphone and Two Dual-band APs)

  • 조현정;안현성;김승구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21권5호
    • /
    • pp.583-591
    • /
    • 2018
  • With the development of ICT(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the number of smart devices is rapidly increasing. LBS(Location Based Service) applications that provide user's location based service are used in various fields. There is also a growing demand for indoor precision positioning technology to provide seamless services. In this paper, we propose an indoor positioning system that estimates the location of a smartphone user. The proposed algorithm determines whether the received signal is LOS(Line-of-Sight) or NLOS(Non-Line of-Sight) in order to decrease multipath effect by the indoor environment. The proposed positioning algorithm is very simple and requires only the AP(Access Point) coordinates. In addition, it requires only two APs for estimating the location of a smartphone user. The proposed algorithm is a practically applicable technology without any additional hardware and kernel modification in the smartphone. In the experiment results, the reliability of the positioning system was found to be within 0.83 m.

비가시거리 전파환경에서 원형편파를 이용한 편파다이버시티의 이론적 모델 및 성능평가 (Performance Evaluation and Theoretical Model for the Polarization Diversity using Circularly Polarized Waves in N-LOS Radio Environments)

  • 이주현;하덕호;박정훈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14권2호
    • /
    • pp.133-138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비가시거리(NLOS) 전파환경에서 원형편파를 송신하고 수직, 수평편파 안테나로 수신하는 원형편파 다이버시티(CV-CH)방식에 대하여 이론적 모델을 제시하고 이의 우수성을 확인하였다. 원형편파 다이버 시티에 대한 간단한 이론적 모델을 통하여 XPD에 대한 상관계수 평가식을 유도하였으며, 비가시거리 전파환경에서 원형편파다이버시티 경우 직선편파다이버시티(VV-VH) 경우보다 교차편파분리도(XPD)가 약 6~7 dB 정도 낮게 됨을 알 수 있었다. 그 결과 원형편파 다이버시티 경우의 상관계수는 기존의 직선 편파다이버시티보다 더 낮은 상관계수 값을 나타내는 이론적 모델을 제시하였고 측정된 결과로부터 이의 성능을 확인하였다.

A Self-Calibrated Localization System using Chirp Spread Spectrum in a Wireless Sensor Network

  • Kim, Seong-Joong;Park, Dong-Joo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7권2호
    • /
    • pp.253-270
    • /
    • 2013
  • To achieve accurate localization information, complex algorithms that have high computational complexity are usually implemented. In addition, many of these algorithms have been developed to overcome several limitations, e.g., obstruction interference in multi-path and non-line-of-sight (NLOS) environments. However, localization systems those have complex design experience latency when operating multiple mobile nodes occupying various channels and try to compensate for inaccurate distance values. To operate multiple mobile nodes concurrently, we propose a localization system with both low complexity and high accuracy and that is based on a chirp spread spectrum (CSS) radio. The proposed localization system is composed of accurate ranging values that are analyzed by simple linear regression that utilizes a Big-$O(n^2)$ of only a few data points and an algorithm with a self-calibration feature.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localization system is verified by means of actual experiments. The results show a mean error of about 1 m and multiple mobile node operation in a $100{\times}35m^2$ environment under NLOS condition.

근거리 통신경로에서의 유성버스트 통신에 관한 고찰 (Investigation of meteor burst communication paths on a close range)

  • 이영철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7권2호
    • /
    • pp.171-176
    • /
    • 2003
  • 유성 버스트 통신은 NLOS 데이터 전송을 필요로 하는 1200km 이상의 장거리 VHF 통신로에서 효율적이며 경제적인 수단을 제공한다. 그러나, 유성 버스트 통신은 지금까지 버스트 주기의 감소로 인한 시스템의 총 도통율의 저하로 인하여 700Km 이하의 근거리통신에는 적합하지 않다고 알려져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매우 짧은 근거리의 MB(Meteor Burst) 경로의 특성을 실험적으로 소개한다. 또한 경산시와 안동시간 50Km 간에서의 도통율과 평균 도통시간을 측정하여 산악지대 및 계곡에서의 근거리 유성버스트 통신로의 효용성을 실험을 통하여 나타낸다.

간접 조명 환경 실내 가시광 통신의 채널 모델 (VLC Channel Model Considering Indirect Light)

  • 이정훈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8C권8호
    • /
    • pp.706-712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간접 조명 환경에서 가시광(VLC : Visible Light Communication) 통신을 위한 채널 특성을 모델링하였다. 간접 조명은 직사 조도가 없이 모든 광속이 천정 및 벽을 반사한 후에 실내 바닥 면에 고르게 도달하는 방식이며, 광원에서 출발한 광 입자(Photon)는 간접경로(NLOS : None Line of Sight)를 통하여 수신부(PD, Photodiode)에 도달한다. 실내 간접 조명 환경으로서 가로(6m), 세로(4m), 높이(2.2m) 크기의 방(room)을 가정하였으며, 4개의 LED(Light Emitting Diode) 간접 조명을 2m 높이에 위치하여 벽과 천정을 향하여 빛을 비추도록 하였다. 바닥으로부터 50cm 위에 위치한 PD에서 수신 전력의 크기와 지연 수신된 신호를 통하여 채널 특성을 추출하였다. 도출된 채널은 BPSK 기반 통신 시뮬레이션을 통해서 그 유효성을 입증하였다.

LOS/NLOS 채널에 따른 무인로봇체계의 시스템 성능분석 (Performance Analysis of Unmanned Robot System based on LOS/NLOS channel)

  • 송유찬;차경현;황유민;이재생;한명훈;김진영;신요안
    • 한국위성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0권4호
    • /
    • pp.12-16
    • /
    • 2015
  • 무인로봇체계는 미래전이라 불리우는 네트워크 중심전의 핵심기술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인프라 기반의 무선통신시스템과는 다른 야전 환경에서 안정된 통신을 유지하는 것은 상당한 링크 버짓을 요구한다. 따라서, 기지국과 단말 사이의 불안정한 채널이 형성될 경우 무선링크의 장애를 최소화하기 위한 방법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야전 환경에 투입되는 무인로봇 체계를 통해 확보되는 전장에서의 정보를 효과적으로 송수신하도록 하며 통신환경이 열악한 상태에서도 무인로봇의 제어권을 잃지 않도록 하는 즉, 통신생존성을 보장하도록 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시스템의 성능분석을 위해 실제 국내의 산악지방, 개활지 등과 유사한 채널을 적용하였으며, 향후 무인로봇체계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IEEE 802.15.4a 기반의 환경 적응형 위치 추적 시스템에 관한 연구 (Adaptive Indoor Location Tracking System Based on IEEE 802.15.4a)

  • 전현식;우성현;조상도;나종인;김기환;박현주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1권5A호
    • /
    • pp.526-536
    • /
    • 2006
  • 유비쿼터스 시대가 도래함에 따라 사회적으로 실내 위치 추적 시스템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었다. 하지만 기존 실내 위치 추적 시스템은 실내 환경의 빈번한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지 못하고, 실내 환경의 NLOS 특성으로 인하여 이동 객체의 정확한 위치 측정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앞으로 유비쿼터스 시대가 도래함에 따라 다양한 사용자의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한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필수 요소인 실내 이동 객체의 위치를 효과적으로 파악하고, 이동 객체의 위치 정확도를 향상시킨 환경 적응형 위치 추적 시스템을 제안한다.

무선 네트워크 기술을 이용한 RTLS 알고리즘의 성능 개선 및 구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and Implementation of RTLS Algorithm using Wireless Network Technology)

  • 김동옥;정호근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2권3호
    • /
    • pp.155-162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유비쿼터스 시대가 도래함에 따라 사회적으로 실내 위치 추적 시스템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었다. 하지만 기존 실내 위치 추적 시스템은 실내 환경의 빈번한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지 못하고, 실내 환경의 NLOS 특성으로 인하여 이동 객체의 정확한 위치 측정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앞으로 유비쿼터스 시대가 도래함에 따라 다양한 사용자의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한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필수 요소인 실내 이동 객체의 위치를 효과적으로 파악하고, 이동 객체의 위치 정확도를 향상시킨 환경 적응형 위치 추적 시스템을 제안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