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IH 3T3

검색결과 308건 처리시간 0.04초

농길리 메탄올 추출물의 세포독성 (Cytotoxicity of the Methanol Extract of Crotalariae sessiliflorae L.)

  • 한두석;정우영;박명오;신민교;오현주;백승화
    • 대한예방한의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144-150
    • /
    • 2001
  • The cytotoxic activity of Cratalariae sessiliflorae on cultured NIH 3T3 fibroblasts and human oral epithelioid carcinoma cells (KB) were evaluated by 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2H-tetrazoliumbromide (MTT) colorimetric method These fractions of methanol extract of Cratalariae sessiliflorae showed inhibitory effect in vitro in the milligram range against KB cell lines. In general, the antitumor activities of these fractions were does-dependent over the milligram range. The comparison of IC50 values of these fractions in tumor cell lines showed that their susceptibility to these fractions decrease in the following order: Fr. 4> Fr. 6> Fr. 10> Fr. 2> Fr. 11> Fr. 3> Fr. 8> Fr. 7> Fr. 9> Fr. 1> Fr. 5 by the MTT assay. These fractions were tested for their cytotoxic effects on NIH 3T3 fibroblasts using MTT assay. They exhibited potent cytotoxic activities in vitro in the milligram range against NIH 3T3 fibroblasts. In general, the cytotoxic activities of these fractions were does-dependent over the milligram range. The comparison of CD50 values of these fractions in NIH 313 fibroblasts shows that their susceptibility to these fractions in decrease the following order: Fr. 10> Fr. 9> Fr. 2 = Fr. 4> Fr. 8> Fr. 11> Fr. 1 = Fr. 7> Fr. 3> Fr. 5 = Fr. 6 by the MTT assay. These results suggests that fraction 5 has the most growth - inhibitory activity against KB cell lines.

  • PDF

Paraquat Induces Apoptosis through Cytochrome C Release and ERK Activation

  • Seo, Hong Joo;Choi, Sang Joon;Lee, Jung-Hee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22권6호
    • /
    • pp.503-509
    • /
    • 2014
  • Paraquat has been suggested to induce apoptosis by generation of reactive oxygen species (ROS). However, little is known about the mechanism of paraquat-induced apoptosis. Here, we demonstrate that extracellular signal-regulated protein kinase (ERK) is required for paraquat-induced apoptosis in NIH3T3 cells. Paraquat treatment resulted in activation of ERK, and U0126, inhibitors of the MEK/ERK signaling pathway, prevented apoptosis. Moreover, paraquat-induced apoptosis was associated with cytochrome C release, which could be prevented by treatment with the MEK inhibitors. Taken together, our findings suggest that ERK activation plays an active role in mediating paraquat-induced apoptosis of NIH3T3 cells.

발효 차가버섯 추출물이 인체 종양세포주 증식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Water Extract from fermented Chaga Mushroom(Inonotus obliquus) on the Proliferation of Human Cancer Cell Lines.)

  • 차재영;박상현;허진선;조영수
    • 생명과학회지
    • /
    • 제17권5호
    • /
    • pp.671-677
    • /
    • 2007
  • 발효 및 비발효 차가버섯 수용성 추출물이 정상 세포주 NIH3T3 mouse normal fibroblast cell 및 인체 종양 세포주 AGS human gastric cancer cell(위암), HCT-15 human colon cancer cell(대장암), Hep3B human hepatoma cancer cell(간암), MCF-7 human breast cancer cell(유방암), HeLa human cervical cancer cell(자궁경부암)에서 MTT(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 tetrazolium bromide) assay 방법에 의한 세포 증식 억제와 암세포 증식억제의 기전 연구의 일환으로 apoptosis가 일어날 때 나타나는 DNA fragmentation을 agarose gel electrophoresis 방법으로 검토하였다. 인체 종양 세포주의 생육저해 효과가 발효 차가버섯 추출물이 비발효 차가버섯 추출물보다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동일한 실험조건하에서 마우스 정상 세포주 NIH3T3은 80% 이상의 생존율을 나타내어 정상 세포주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발효 및 비발효 차가버섯 추출물에서 본 실험에 사용한 세포주 중에서 대장암 세포주 HCT-15에 대해 가장 세포 증식 억제효과가 뛰어났으며, 이러한 효과는 첨가 농도 의존적 이였다. 발효 및 비발효 차가버섯 추출물에 의한 암세포 증식억제가 기전 연구로 apoptosis가 일어날 때 나타나는 DNA fragmentation을 세포로부터 genomic DNA를 분리하여 agarose gel electrophoresis 방법으로 조사한 결과, 정상세포인 NIH3T3 세포는 DNA fragmentation이 거의 일어나지 않아 세포 생존율 결과와 유사한 경향을 보였으나, 특히 대장암 세포주인 HCT-15에서는 발효 차가버섯뿐만 아니라 비발효 차가버섯 추출물에서도 DNA fragmentation이 많이 일어나는 것이 관찰되어 암세포 증식억제 효과가 높다는 결과를 뒷받침 해주고 있다.

레트로바이러스(retrovirus)의 NIH 3T3 세포로의 유전자 전달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한 적절한 조건들 (The optimal conditions to improve retrovirus-mediated transduction efficiency to NIH 3T3 cells)

  • 이준아;이강민;이현재;이윤정;김동호;임중섭;박경덕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0권10호
    • /
    • pp.1011-1017
    • /
    • 2007
  • 목 적 : 쥐의 섬유아세포인 NIH 3T3와 eGFP 유전자를 표지로 하는 레트로바이러스 벡터를 이용하여 유전자 전달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조건들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 법 : 표적세포에 대한 벡터의 비율과(1:1-1:8) 전달감염 횟수를 변화시켰을 때(1회, 2회), 양이온 복합체인 polybrene($4{\mu}g/mL$)을 첨가하였을 때 유전자 전달효율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eGFP 유전자의 발현을 확인하기 위하여 형광 현미경 하에서 녹색빛을 내는 세포들을 관찰하고 FACscan으로 eGFP 양성세포의 비율을 측정하였다. 결 과 : 유전자 전달효율은 벡터와 표적세포의 비율 1:1에서 7%, 1:4에서 38%로 표적세포에 대한 레트로바이러스 벡터의 비율이 높을수록 상승하였지만 비율 1:4와 1:8사이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전달감염을 두 번 시행하는 것이 벡터와 표적세포의 비율 1:4까지는 유전자 전달효율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지만 비율 1:8에서는 유전자 전달효율을 증가시켰다. 전달감염 후 eGFP 유전자의 발현은 3회 계대배양까지 약 3배 가량 증가하였지만 이후에는 감소하였는데 이와 같은 감소 정도는 전달감염을 한 번 시행한 경우가 두 번 시행한 경우보다 더 커서 전달감염을 반복하는 것이 유전자 전달효율의 증가효과보다는 주입된 유전자의 지속발현에 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Polybrene을 첨가하였을 때 유전자 전달효율은 5.8%에서 38.8%로 대폭 상승하였으며 독성반응은 관찰되지 않았다. 배양접시의 크기에 따른 유전자 전달효율을 비교하였을 때 NIH 3T3세포의 증식정도는 6-well plate가 더 컸지만 eGFP 양성세포의 비율은 24-well plate에서 더 높았다. 결 론 : 이번 연구결과를 기초로 삼아 유전자 치료의 연구를 발전시키고 특히 전달된 유전자의 안정적인 발현과 바이러스 벡터들의 독성 등에 대하여 향후 연구의 초점을 두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알러지성 접촉피부염 유발제인 수은으로 손상된 배양 NIH3T3 섬유모세포에 대한 청미래덩굴 추출물의 효과 (Effect of Smilax China L. Extract on Cultured NIH3T3 Fibroblasts Damaged by Mercury as Allergic Contact Dermatitis Inducer)

  • 한선희;제갈승주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175-181
    • /
    • 2015
  • 알러지성 접촉피부염 유발제인 수은의 독성에 대한 청미래덩굴(Smilax china L.) 추출물의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배양 NIH3T3 섬유모세포에 여러 농도의 메틸수은(methylmercuric chloride, MMC)을 72시간 동안 처리한 후 이들의 세포독성을 조사하였다. 또한, MMC의 독성에 대한 청미래덩굴 추출물의 보호효과를 항산화 측면에서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MMC는 농도 의존적으로 배양 NIH3T3 섬유모세포의 세포생존율을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XTT_{50}$값이 100 uM 이하로서 고독성(highly-toxic)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MMC의 독성이 항산화제인 vit. E에 의하여 방어됨으로서 MMC의 독성에 산화적 손상이 관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MMC의 세포독성에 대한 청미래덩굴 추출물의 방어효과에 있어서 청미래덩굴 추출물은 MMC에 의하여 감소된 세포생존율을 유의하게 증가시킴으로서 MMC의 독성을 방어하였다. 또한, 청미래덩굴 추출물은 전자공여능(EDA)을 비롯한 SOD-유사 활성(SLA) 및 지질과산화능(LPA)와 같은 항산화 효과를 나타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청미래덩굴과 같은 천연 성분은 산화적 손상과 관련된 염증성 피부질환의 치료를 위한 항산화제로서의 미래 가능한 천연소재라고 생각된다.

갈색거저리 유충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모발 성장 촉진 효과 (The Antioxidant Activities and Hair-growth Promotion Effects of Tenebrio molitor Larvae Extracts (TMEs))

  • 백민희;서민철;김미애;윤은영;황재삼
    • 생명과학회지
    • /
    • 제27권11호
    • /
    • pp.1269-1275
    • /
    • 2017
  • 최근 들어 곤충을 식품 및 바이오 소재로 이용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곤충을 이용한 모발 성장 효과에 대한 연구는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탈모 예방 및 모발 성장 효과를 가진 새로운 천연물 소재 개발을 위해 갈색거저리 유충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모발 성장 촉진 효과를 연구하였다. 갈색거저리 유충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평가를 위해서 DPPH 라디칼 및 아질산염 소거능을 측정하였다. 모발 성장촉진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인간 모유두세포(human dermal papilla cell)와 섬유아세포(fibroblast, NIH3T3 cell)를 이용하였으며 MTS assay를 통해 세포생존율 및 세포증식률을 측정하였다. 모유두세포에서 dihydrotesteone (DHT)에 의한 세포사 억제 효과를 확인하였으며, 섬유아세포에서는 tolbutamide (TBM)의 potassium channel blocker 역할에 의한 세포사 억제 효과를 확인하였다. DPPH radical 및 아질산염 소거능 측정 결과 갈색거저리 유충 추출물은 항산화 역할이 뛰어난 것으로 보고된 블루베리와 유사하거나 높은 정도의 항산화능을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In vitro 상에서 갈색거저리 유충 추출물을 48시간 동안 처리한 경우, 모유두세포와 섬유아세포의 세포증식을 218% 및 116%까지 증가시켰다. 또한, 모유두세포에서 DHT 처리에 의한 세포사가 갈색거저리 유충 추출물에 의해 억제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섬유아세포에서는 potassium channel blocker인 TBM에 의해 세포생존율이 감소하였으나 갈색거저리 유충 추출물 처리 시 세포생존율이 정상군과 비슷한 정도로 회복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갈색거저리 유충 추출물을 이용한 모발성장 및 탈모방지 기능성 소재 개발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Oncogenic Ras downregulates mdr1b expression through generation of reactive oxygen species

  • Jun, Semo;Kim, Seok Won;Kim, Byeol;Chang, In-Youb;Park, Seon-Joo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24권3호
    • /
    • pp.267-276
    • /
    • 2020
  • T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oncogenic H-Ras on rat mdr1b expression in NIH3T3 cells. The constitutive expression of H-RasV12 was found to downregulate the mdr1b promoter activity and mdr1b mRNA expression. The doxorubicin-induced mdr1b promoter activity of the H-RasV12 expressing NIH3T3 cells was markedly lower than that of control NIH3T3 cells. Additionally, there i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level of H-RasV12 expression and a sensitivity to doxorubicin toxicity. To examine the detailed mechanism of H-RasV12-mediated down-regulation of mdr1b expression, antioxidant N-acetylcysteine (NAC) and NADPH oxidase inhibitor diphenylene iodonium (DPI) were used. Pretreating cells with either NAC or DPI significantly enhanced the oncogenic H-Ras-mediated down-regulation of mdr1b expression and markedly prevented doxorubicin-induced cell death. Moreover, NAC and DPI treatment led to a decrease in ERK activity, and the ERK inhibitors PD98059 or U0126 enhanced the mdr1b-Luc activity of H-RasV12-NIH3T3 and reduced doxorubicin-induced apoptosis. These data suggest that RasV12 expression could downregulate mdr1b expression through intracellular reactive oxygen species (ROS) production, and ERK activation induced by ROS, is at least in part, contributed to the downregulation of mdr1b expression.

Constitutively active Ras negatively regulates Erk MAP kinase through induction of MAP kinase phosphatase 3 (MKP3) in NIH3T3 cells

  • Park, Young Jae;Lee, Jong Min;Shin, Soon Young;Kim, Young Ho
    • BMB Reports
    • /
    • 제47권12호
    • /
    • pp.685-690
    • /
    • 2014
  • The Ras/Raf/MEK/Erk signaling pathway is important for regulation of cell growth, proliferation, differentiation, survival, and apoptosis in response to a variety of extracellular stimuli. Lack of Erk MAPK activation is observed in several cancer cells despite active activation of Ras. However, little is known about the modulation of Erk1/2 activity by active Ras. Here, we show that overexpression of active H-Ras (H-RasG12R) in NIH3T3 fibroblasts impaired FGF2-induced Erk1/2 phosphorylation, as compared to wild-type cells. Northern blot analysis revealed that prolonged expression of active Ras increased MAP kinase phosphatase 3 (MKP3) mRNA expression, a negative regulator of Erk MAPK. Inhibition of the phosphatidylinositol 3-kinase (PI3K)/Akt pathway abrogated active Ras-induced up-regulation of MKP3 expression, leading to the rescue of Erk1/2 phosphorylation. Our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 Ras/Raf/MEK/Erk signaling cascade is negatively regulated by the PI3K/Aktdependent transcriptional activation of the MKP3 gene.

Molecular Analysis of AQP2 Promoter. I. cAMP-dependent Regulation of Mouse AQP2 Gene

  • Park, Mi-Young;Lee, Yong-Hwan;Bae, Hae-Rahn;Lee, Ryang-Hwa;Lee, Sang-Ho;Jung, Jin-Sup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3권2호
    • /
    • pp.157-164
    • /
    • 1999
  • To determine molecular mechanisms of Aquaporin-CD (AQP2) gene regulation, the promoter region of the AQP2 gene was examined by transiently transfecting a promoter-luciferase reporter fusion gene into mouse renal collecting duct cell lines such as mIMCD-3, mIMCD-K2, and M-1 cells, and NIH3T3 mouse embryo fibroblast cells. PCR-Southern analysis reveals that mIMCD-3 and mIMCD-K2 cells express AQP2, but M-1 and NIH3T3 cells do not, and that the treatment with cpt-cAMP $(400\;{\mu}M)$) or forskolin/isobutylmethylxanthine (IBMX) increased the AQP2 expression in IMCD cells. In both IMCD and NIH3T3 cells, the constructs containing the promoter of AQP2 gene showed promoter activities, indicating lack of tissue-specific element in the 1.4 kb 5'-flanking region of the mouse AQP2 gene. Luciferase activity in the IMCD cells transfected with the construct containing 5-flanking region showed responsiveness to cpt-cAMP, indicating that the 1.4 kb 5'-flanking region contains the element necessary for the regulatory mechanism by cAMP. The promoter-luciferase constructs which do not have a cAMP-responsible element (CRE) still showed the cAMP responsiveness in IMCD cells, but not in NIH3T3 cells. Increase in medium osmolarity did not affect AQP2 promoter activity in mIMCD-K2 cells.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AQP2 gene transcription is increased with cAMP treatment through multiple motifs including CRE in the 5'-flanking region of the gene in vitro, and the regulatory mechanism may be important for in vivo regulation of AQP2 express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