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ICs

검색결과 1,077건 처리시간 0.031초

나물용 콩 파종기에 따른 콩나물의 하배축 및 생장특성 차이 (Difference of Hypocotyl and Growth Characters of Soybean-sprouts by Sowing Date in Sprout-soybean Cultivar)

  • 김학신;김경호;김홍식;이영호;정승근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1권7호
    • /
    • pp.608-617
    • /
    • 2006
  • 본 연구는 나물용 콩의 파종기가 콩나물 원료콩의 배축신장성과 콩나물 생장 및 수율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함으로써 양질 콩나물 품종육성과 재배기술 확립을 위한 기초 자료를 얻고자 $2000{\sim}2001$년에 호남농업연구소 전작시험포장에서 파종기를 달리하여 생산된 원료콩을 이용하여 실험실과 콩나물 간이검정실에서 시험을 수행하였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재배온도별 콩나물의 배축신장성은 재배온도가 높을수록 빨랐으며, 재배일수가 길어질수록 그 차이가 컸다. 2. 콩나물의 배축장과 근장은 연차간에 차이가 있었으며 7월 5일 파종이 5월 25일과 6월 15일 파종보다 길었고, 배축굵기는 도레미콩이 가장 굵었으며 한남콩이 가늘었다. 전장은 파종기가 늦어질수록 길어졌고 은하콩이 가장 길었으며, 다원콩이 가장 짧았다. 3. 콩나물의 부패립율과 불완전발아립율은 파종기가 늦어지면서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부패립율은 다원콩이 가장 낮았고 소명콩이 가장 높았으며 불완전발아립율은 풍산나물콩이 가장 낮았고 한남콩이 가장 높았다. 4. 콩나물 수율은 2001년에 생산된 종실에서 더 높았고 파종기가 늦어질수록 증가하였으며, 은하콩과 도레미콩이 높았고 파종기에 따른 콩나물 수율의 변이가 적고 안정적인 품종은 풍산나물콩과 소명콩이었다. 5. 콩나물 수율과 제형질과의 관계는 종실의 수분흡수율이 낮고 치상 1일과 4일후의 발아율이 높은 것이 콩나물 수율이 높았으며, 콩나물 수율과 배축장, 근장 및 개체당 생중과는 정의 상관이었다.

벼 이삭마름병에 관여하는 진균의 검출 (Detection of Fungi Associated with Rice Ear Blight from Rice Seeds in Korea)

  • 심홍식;홍성기;홍성준;김용기;예완해;성재모
    • 식물병연구
    • /
    • 제11권2호
    • /
    • pp.93-97
    • /
    • 2005
  • 벼 이삭마름병에 관여하는 진균의 종류로 일미벼에서는 Altemaria alternate($10.2\%$), A. padwickii($5.2\%$), Bipolaris oryzae($10.3\%$), Nigrospora oryzae($5.2\%$), Phoma sorghina ($6.3\%$) 등이 우점 하였으며,총 23종의 진균이 검출되었다. 대산벼에서는 A. alternate($9.6\%$), Cladosporium sp. ($7.5\%$), Curvularia lunate($2.2\%$), N. oryzae($15.1\%$) 등이 우점 하였으며, 총 13종의 진균이 검출되었다. 또한 이삭마름병으로 벼알이 심하게 오염된 경우에는 일미벼 현미에서도 B. oryzae($15.5\%$), A. alternate($5.5\%$), Fusarium graminearum($8.0\%$), N. oryzae($5.2\%$), P. sorghina($4.5\%$) 등이 높은 비율로 감염되어 있었다.

FT-IR 스펙트럼 기반 다변량통계분석기법에 의한 두과작물의 대사체 수준 식별체계 확립 (Establishment of rapid discrimination system of leguminous plants at metabolic level using FT-IR spectroscopy with multivariate analysis)

  • 송승엽;하태정;장기창;김인중;김석원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39권3호
    • /
    • pp.121-126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재배중인 대표적인 두과작물(대두, 완두, 강낭콩, 팥, 녹두, 동부)종자로부터 전세포추출물의 FT-IR 스펙트럼 데이터로부터 다변량통계분석(PCA, PLS-DA, HCA)을 이용하여 신속하고 간편한 종 구분체계를 확립하였다. 대사체수준에서 팥, 녹두, 동부는 유연관계가 높음을 알 수 있었으며 대두, 완두, 강낭콩은 비록 두과작물이지만 차이가 매우 큼을 알 수 있었다. 아울러 본 연구에서 얻어진 대사체 정보의 다변량통계분석에 의한 유연관계분석은 흥미롭게도 두과작물의 계통분류학적 유연관계와 밀접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FT-IR 스펙트럼 데이터의 다변량통계분석은 방법의 간편성과 신속성을 고려할 때 두과작물의 계통이나 품종의 신속한 식별 수단으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두과작물의 기능성 성분 함량 정보가 성공적으로 연계된다면 본 연구에서 확립된 대사체 기반 신속식별체계는 기능성 성분의 함량이 높은 계통이나 품종의 조기 선발수단으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저산소 조건하에서 맥류 유묘의 근생장 및 혐기발효 효소의 반응 (Effects of Hypoxia on Root Growth and Anaerobic Fermentative Enzymes in Winter Cereal Seedlings)

  • 박명렬;임정현;유남희;권인숙;김정곤;최경구;윤성중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0권6호
    • /
    • pp.400-405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맥류 습해의 원인인 과습에 의한 근권의 산소부족이 맥류 뿌리의 생장 및 혐기 발효대사 효소(alcohol dehydrogenase, ADH; lactate dehydrogenase, LDH)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양액재배를 이용하여 1.5엽기 맥류 유묘에 용존산소 1.5-2 ppm 정도의 혐기처리를 1, 3, 5, 7일간 실시하였다. 혐기조건에서 뿌리의 생장은 모든 맥종에서 감소하였으며, 감소정도는 내습성이 낮은 보리가 내습성이 높은 밀과 호밀보다 낮았다. 정상조건에서 ADH 활성은 보리가 LDH 활성은 호밀이 가장 높았으나 두 효소 모두 맥종 간의 차이는 크지 않았다. 혐기처리에 의해 ADH와 LDH 활성은 모든 맥종에서 공통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증가 정도는 호밀과 밀에서 가장 높았고 보리에서 가장 낮았다. 혐기조건에서 이들 효소의 활성증가는 모든 맥종에서 유사하게 항시발현 동위효소의 증가 및 새로운 동위효소의 발현유도에 의해 나타났다. 혐기조건에서 ADH와 LDH 활성 증가 정도는 맥종의 재해저항성과 정의 상관관계가 인정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맥류의 내습성에 혐기 발효계 효소가 관여하고 있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Spreader Row Technique을 이용한 옥수수 노균병 검정 (Evaluation of Maize Downy Mildew using Spreader Row Technique)

  • 김경희;문준철;김재윤;김효철;신승호;송기태;백성범;이병무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1권1호
    • /
    • pp.41-49
    • /
    • 2016
  • 옥수수 노균병에 대한 저항성 및 감수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캄보디아 현지에서 노균병을 수집 및 채집하였으며, spreader row technique을 이용하여 봄/여름과 늦여름/가을동안 시험포장에 노균병을 접종한 후 4주차와 6주차에 노균병 발병률을 확인하였다. 국내 품종 7개와 육성 품종 7개는 노균병 접종 후 6주차에서 노균병에 대하여 대부분 highly susceptible (HS)의 등급을 확인하였으며, 발병률은 80~100%로 NAM parent계통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것은 국내 품종과 육성 품종 모두는 노균병에 대한 감수성이 있는 품종으로 확인하였다. 반면, Ki3, Ki11, CML228 계통은 봄/여름 시즌에서는 0~5%의 발병률과 highly resistant (HR) 또는 resistant (R)의 등급을 확인할 수 있었고, 늦여름/가을 시즌에는 22.2~25%의 발병률 및 moderately resistant (MR)의 발병 등급이 나타났다. 효율적인 노균병 접종을 위해서 기상 조건 및 습도, 그리고 온도를 중요시하며, 접종 방법 또한 간단하면서 손쉽게 관리할 수 있는 방법이 가장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spreader row technique은 다양한 병징 연구에 활용이 가능하며, 저항성 및 감수성 품종을 효율적으로 확인 및 선발할 수 있다.

경북의성 멸종위기종 붉은점모시나비 서식지 식물의 생활형 및 식생 (Life form of the Plants and Vegetation in the Habitat of Endangered Parnassius bremeri in Uiseong, Gyeongsangbuk-do)

  • 이남숙;김창환;김도성;최영은;박율진;이경보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4권6호
    • /
    • pp.57-69
    • /
    • 2011
  • The present paper deals with a research of life form and vegetation of the plants extant in the habitat of endangered Parnassius bremeri in Uiseong, Gyeongsangbuk-do with a view to restore their habitat and create substitute habitats. The research found that there are a total of 130 vascular plants including 47 families, 96 genera, 113 species, 1 subspecies and 16 varieties. In terms of their life form, hemicryptophytes (H) is the majority of dormancy form with 41 species or 31.54%, while $R_5$ is majority of radicoid form with 72 species or 55.38%, gravitational disseminule form ($D_4$) is majority among the disseminule forms with 68 species or 52.31% and erect type (e) is majority of growth form with 57 species or 43.85%. Major constituents of the habitat are Sedum kamtschaticum, Selaginella tamariscina, Orostachys japonica, Arundinella hirta, Cymbopogon tortilis var. goeringii, Themeda triandra var. japonica, Carex humilis, Indigofera kirilowii, Imperata cylindrica var. koenigii, Festuca ovina, Artemisia capillaris, etc., all of species which are in the initial stage of succession and show simultaneously features characteristic of vegetation on the rock. In the habitat 1. Sedum kamtschaticum- Selaginella tamariscina community and Pinus densiflora community are distributed whereas, in the habitat 2. Sedum kamtschaticum-Selaginella tamariscina community, Sedum kamtschaticum-Carex humilis community, Sedum kamtschaticum-Cymbopogon tortilis var. goeringii community and Sedum kamtschaticum-Imperata cylindrica var. koenigii community are growing and in the habitat 3. Sedum kamtschaticum-Selaginella tamariscina community, Selaginella tamariscina community, Sedum kamtschaticum-Indigofera kirilowii community and Quercus acutissima community are seen distributed there, too. Typical of food plants growing in the habitat is Sedum kamtschaticum, found mostly in the rocky area and its surroundings. Absorption plants are those that usually bloom in the season when imagoes emerge. From the research, it becomes evident that the blooming season of Sedum kamtschaticum, obviously a food plant, corresponds exactly to the emergence timing of imagoes. Cirsium japonicum var. ussuriense, Rosa multiflora, Erigeron annuus, Spiraea prunifolia var. simpliciflora are found to belong to these plants.

배추 재배에 이용되는 농업용수의 미생물 오염도 조사 및 이화학성분 분석 (Investigation of Microbiological and Physiochemical Quality for Irrigation Water used in Napa Cabbage Cultivation)

  • 윤보현;김민경;류진희;김원일;박병용;김현주;이승돈;김세리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396-403
    • /
    • 2017
  • 본 연구는 국내 배추 주산단지 5지역을 대상으로 배추재배에 활용되는 농업용수를 각 지역의 수확 시기에 채취하여 위생지표세균(총대장균군, 대장균, 장구균)과 이화학 성분을 분석함으로써 농업용수의 수질의 오염도를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그 결과 지하수 보다 지표수에서 위생지표세균이 높은 수준으로 검출되었다. 지표수의 경우 총대장균군 1.96-4.96 log MPN/100 mL, 지하수의 경우 0-3.98 log MPN/100 mL 수준이었다. 장구균의 경우 지표수에서 95% (72/75), 지하수에서 22% (8/36) 빈도로 검출되었으며, 대장균의 경우 지표수에서 100% (72/75), 지하수에서 22% (8/36) 빈도로 검출되었다. 위생지표세균과 이화학성분의 상관관계를 조사한 결과, 지표수의 경우 대장균군과 대장균은 총인과 상관성을 보였으며, 장구균은 부유물질과 생물학적산소요구량에 상관성을 보였다. 지하수의 경우 위생지표세균은 부유물질과 화학적산소요구량에 상관성을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엽채류 재배에 사용되는 농업용수의 미생물 기준을 설정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밀 신품종 '태중'의 사료가치 및 발효품질 평가 (Evaluation of Feed Value and Fermentation Quality of New Wheat Cultivar, 'Taejoong')

  • 송태화;김경훈;정영근;손재한;박종철;오영진;박종호;김양길;김경호;박태일;김보경;강천식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61-67
    • /
    • 2017
  • 본 연구는 '태중'밀의 조사료로서의 이용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사료가치와 사일리지 품질특성을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다. 태중밀의 출수기는 4월 27일이고, 영양보리나 청우밀보다 초장이 길고 장수형으로 이삭도 큰 편이며, 생초수량과 건물수량도 높다. 사료가치 면에서는 태중밀이 영양보리나 청우밀보다 조단백질 함량은 높았고, NDF와 ADF함량은 낮았으며, 가소화영양소함량은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발효품질 면에서는 태중밀의 pH는 4.2이었고, 유산함량은 청우밀 사일리지보다 낮고 영양보리 사일리지보다는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초산함량은 영양보리나 청우밀 사일리지보다 유의적으로 낮은 값을 보였고(p<0.01), 낙산함량은 영양보리 사일리지 대비 유의적으로 낮은 값을 보였다(p<0.05). 최종 Flieg's score는 태중밀 사일리지가 1등급으로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성 분석에서도 영양보리와 청우밀 대비 소득이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나, 태중밀은 담근먹이용 조사료로 충분히 이용 가능한 것으로 판단된다.

발아 대두 및 검정콩으로 제조한 된장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Doenjang (Soybean Paste) Prepared with Germinated Regular Soybean and Black Soybean)

  • 김형은;한송이;정진보;고종민;김용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361-368
    • /
    • 2011
  • 발아 대두 및 발아 검정콩의 첨가에 따른 된장의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발아 대두 및 발아 대두와 발아 검정콩을 7:3의 비율로 혼합하여 만든 메주를 이용하여 된장을 제조하였다. 대조구로는 발아하지 않은 대두로 발효한 메주를 이용하여 대두된장을 제조하여, $25^{\circ}C$에서 90일간 발효시켰다. 된장의 수분, pH, 염도와 같은 이화학적 특성은 모든 처리구에서 발효기간에 따라 유사한 경향으로 변화하여, 발효 90일 각각 $53.78{\pm}0.22-57.99{\pm}0.11%$, $6.01{\pm}0.01-6.72{\pm}0.01$, 그리고 $14.17{\pm}0.06-15.03{\pm}0.21%$를 나타내었다. 아미노태 질소 및 아미노산 함량은 발아검정콩된장에서 발효 90일 각각 $1256.21{\pm}1.86$, 994.46 mg%로 유의적인 차이(p<0.05)를 보이며 높게 나타났다. 발효 90일된 된장의 관능평가를 실시한 결과 발아대두된장에서 색과 맛 등의 항목에서 기호도가 높게 평가되었으며, 전반적 기호도에서 대두된장에 비하여 발아대두된장 및 발아검정콩된장의 관능적 특성이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연구결과로부터 발아 대두 및 검정콩을 첨가하여 제조한 된장은 발아하지 않은 대두를 이용하여 제조한 된장과 이화학 및 효소화학적 특성에는 차이가 없으나 아미노태 질소 및 아미노산 함량이 높고 관능적 특성이 우수한 된장을 제조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총체사료용 맥류의 생육시기 및 식물체 부위별 사료가치 변화 (Changes in Forage Quality of Plant Parts with Harvesting Time in Five Winter Cereal Crops)

  • 권영업;백성범;허화영;박형호;김정곤;이재은;이충근;신진철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3권2호
    • /
    • pp.144-149
    • /
    • 2008
  • 총체사료용으로 이용되고 있는 맥종들의 출수 후 수확시기 및 식물체 부위별 사료가치 변화를 분석하여 각 맥종의 최적 이용시기를 결정함으로써 효율적인 조사료 이용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얻고자 수행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조단백질 함량은 전 맥종에서 출수 후 일수가 경과하면서 식물체 전체 조단백질의 함량이 낮았다. 식물체 부위 별로는 출수 후 40일 수확을 제외하고는 잎의 단백질 비율이 가장 높으며, 줄기 부분은 어느 시기에서나 10% 미만으로 다른 부위에 비해 매우 낮은 수준이었다. 2. 출수 후 일수가 경과함에 따라 전반적으로 ADF함량이 낮아졌고 부위별로는 줄기의 ADF함량이 다른 부위보다 높고 잎의 ADF함량은 줄기와 이삭의 중간 정도의 비율을 나타냈다. 줄기의 건물중 비율이 높아지면 전체 ADF함량 비율이 직선적으로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3. 호밀을 제외한 전 맥종에서 출수 후 일수가 경과하면서 NDF함량은 낮아졌는데 호밀은 출수 후 일수가 경과하면서 줄기 건물중의 비율이 높아 전체 NDF함량이 높아졌다. 출수 후 일수가 경과하면서 줄기와 잎의 NDF함량 변화는 크게 변화가 없는 반면 이삭의 NDF함량은 출수 후 일수가 경과함에 따라 낮게 나타났다. 4. 호밀을 제외하고는 출수 후 일수가 경과하면서 RFV가 높아지며, 부위별로는 이삭의 RFV가 가장 높았고 줄기가 가장 낮았다. 식물체 전체 RFV 변이는 출수 후 이삭의 등숙이 진행되면서 잎과 줄기의 낮은 RFV를 보상함에 따라 전체적으로 출수 후 일수가 경과하면서 RFV가 높아지는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