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H$_4$$^{+}$

검색결과 4,416건 처리시간 0.031초

비료 유도용액의 정삼투를 이용한 하수처리수의 재이용 - 유도용액의 성능 평가 - (Water Reuse of Sewage Discharge Water Using Fertilizer Drawn Forward Osmosis - Evaluating the Performance of Draw Solution -)

  • 김승건;이호원
    • 멤브레인
    • /
    • 제26권2호
    • /
    • pp.108-115
    • /
    • 2016
  • 비료를 유도용액으로 사용하는 정삼투를 하수처리수(2차 침전지 유출수)의 재이용에 적용하여 유도용액의 성능을 평가하였다.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비료 중에서 삼투압, 용해도 및 pH 등을 고려하여 $NH_4H_2PO_4$, KCl, $KNO_3$, $NH_4Cl$, $(NH_4)_2HPO_4$, $NH_4NO_3$, $NH_4HCO_3$$KHCO_3$을 유도용액 후보군으로 선정하고, 수투과선속 및 역용질선속을 측정하여 유도용액의 성능을 평가하였다. 평균 수투과선속은 KCl > $NH_4Cl$ > $NH_4NO_3$ > $KNO_3$ > $KHCO_3$ > $NH_4HCO_3$ > $NH_4H_2PO_4$ > $(NH_4)_2HPO_4$의 순서로 나타났으며, KCl을 유도용액으로 사용하였을 때, 평균 수투과선속은 13.49 LMH이었다. 하수처리장 2차 침전지 유출수의 삼투압은 탈이온수의 삼투압에 비해 큰 차이가 없었다. 역용질선속은 $NH_4H_2PO_4$ < $NH_4Cl$ < $(NH_4)_2HPO_4$ < $KNO_3$ < $NH_4HCO_3$ < $NH_4NO_3$의 순서로 나타났으며, $NH_4H_2PO_4$를 유도용액으로 사용하였을 때, 역용질선속은 $4.96{\times}10^{-3}mmol/m^2{\cdot}sec$이었다.

($C_6CH_2NH_3)_2CUCl_4와 \;(NH_3C_6C_4C_2H_4C_6NH_3)CUCl_4$의 합성과 구조 (Synthesis and structure of ($C_6CH_2NH_3)_2CUCl_4and \;(NH_3C_6C_4C_2H_4C_6NH_3)CUCl_4$)

  • 김지현;권석순;현준원;허영덕
    • 한국결정성장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135-139
    • /
    • 2004
  • 층상 구조인 유기-무기 혼성 화합물인 ($C_6H_5CH_2NH_3)_2CuCl_4$ 와($NH_3C_6/H_4C_2H_4_6/H_4NH_3)CuCl_4$를 직접 합성하였다. X-선 회절 데이터와 유기분자의 길이로부터 층간 삽입된 유기화합물인 아민의 배열을 결정하였다. 무기화합물 층은 정육면체 구석을 공유하고 있는 염화구리의 $CuCl_4^{2-}$ 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C_6/H_5/CH_2NH_3)_2CuCl_4$의 경우는 양성자화 된 유기화합물 아민이 $CuCl_4^{2-}$ 층 안에 이중 층 구조로 삽입되어 있고, ($NH_3C_6/H_4C_2H_4C_6H_4NH_3)CuCl_4$의 경우는 단일 층 구조로 삽입되어있다.

방울토마토 담액재배시 $\textrm{NH}_4\textrm{H}_2\textrm{PO}_4$ 농도에 기초한 배양액 조절 (Management of Nutrient Solution Based on $\textrm{NH}_4\textrm{H}_2\textrm{PO}_4$Concentration in Deep Flow Culture of Cherry Tomato)

  • 이문정;김성은;김영식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188-194
    • /
    • 1995
  • 야마자키 토마토용 배양액을 이용하여 토마토를 담액 재배할 경우, pH 7.5 정도인 수돗물을 용수로 한 배양액에 NH$_4$H$_2$PO$_4$를 사용하므로써 배양액의 pH를 안정시키는 동시에, 적정 식물생장을 유도할 수 있는 NH$_4$H$_2$PO$_4$농도를 찾고자 실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NH$_4$H$_2$PO$_4$의 농도를 증가시킴에 따라 배양액의 pH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EC는 반대의 경향을 보였다. NH$_4$-N 8/3 me/$\ell$ 처리구에서는 식물체에 황화현상이 나타났다. NH$_4$-N이 4/3 me/$\ell$ 혹은 5/3 me/$\ell$인 처리구에서 pH와 EC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었다. 엽장이나 줄기직경은 NH$_4$-N 2/3 me/$\ell$처리구에서 큰 값을 나타냈고, 과실의 당도는 NH$_4$-N 5/3 me/$\ell$ 처리구에서 가장 높았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토마토의 담액 재배시 수확기 이전에는 NH$_4$-N을 2/3 me/$\ell$로 하고, 수확기에는 NH$_4$-N을 4/3-5/3 me/$\ell$로 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사료되었다.

  • PDF

암모늄염으로 처리된 리기다 소나무의 연소성질 (Combustion Characteristics of Pinus Rigida Treated by Ammonium Salts)

  • 진의;정영진
    • 한국화재소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화재소방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논문발표회 논문집
    • /
    • pp.403-407
    • /
    • 2010
  • 건축 구조재료로 사용되는 소나무의 화재조건을 알아보기 위하여 콘칼로리미터(ISO 5660-1)를 이용하여 연소성질을 분석하였다. 자연 건조된 소나무에 $(NH_4)_2SO_4$, $NH_4H_2PO_4$, $(NH_4)_2HPO_4$ 등의 암모늄염을 이용하여 난연성을 부가하였다. 소나무의 함수율은 10.2%였으며 초기 열방출 곡선은 $(NH_4)_2HPO_4$인 경우 완만하게 증가하였으며 가장 좋은 난연성을 보였다. $HRR_{peak}$ 값은 무처리된 경우 $217\;kW/m^2$, $(NH_4)_2SO_4$, $NH_4H_2PO_4$, $(NH_4)_2HPO_4$인 경우에는 각각 $190\;kW/m^2$, $188\;kW/m^2$, $166\;kW/m^2$로 나타났다. 즉 $(NH_4)_2HPO_4$로 처리된 경우 23.5%의 감소현상이 관찰되었다. $HRR_{peak}$ 도달 시간은 무처리된 시험편(290s) 및 $(NH_4)_2SO_4$, $NH_4H_2PO_4$, $(NH_4)_2HPO_4$으로 처리된 시험편은 각각 298s, 263s, 313s로 나타났다. 연기 발생속도는 사용한 암모늄염 중 $(NH_4)_2SO_4$로 처리된 시험편이 가장 작게 관찰되어 저발연성 감연제 역할을 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 PDF

($NH_4^\;^+-N$ 흡착제(吸着劑)로서의 천연(天然) Zeolite의 이용(利用) (Utilization of Natural Zeolite for $NH_4^\;^+-N$ Adsorbent)

  • 김상수;허남호;최정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27-31
    • /
    • 1991
  • 국내산 천연(天然) zeolite의 $NH_4^\;+-N$ 제거제(除去劑)로서의 이용가능성(利用可能性)을 검정하기 위해 천연(天然) zeolite에 의한 $NH_4^\;^+-N$의 흡착능(吸着能)을 조사하였다. zeolite의 주구성점토광물(主構成粘土鑛物)은 clinoptilolite와 mordenite였다. Zeolite에 의한 $NH_4\;^+$의 흡착반응은 4시간 후에는 흡착평형(吸着平衡)에 도달하였다. $NH_4\;^+$ 흡착량은 zeolite의 입경(粒徑)에 의해 영향을 크게 받지 않았다. 치환성 양(陽)이온에 따른 $NH_4\;^+$ 흡착량은 Na-> Ca> K-zeolite의 순(順)이었다. 반응용액(反應溶液)의 pH가 높을수록 또 동일량(同一量)의 용액에 대한 시료량이 증가할수록 $NH_4\;^+-N$흡착량은 증가하였다. Zeolite에 의한 $NH_4\;^+$흡착등온곡선은 Langmuir 식(式)에 적용(適用)되었다.

  • PDF

NFT재배에서 $\textrm{CO}_2$ 시용과 배양액의 $\textrm{NO}_3$:$\textrm{NH}_4$비율이 결구상추의 생육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extrm{NO}_3$-N:$\textrm{NH}_4$-N Ratio and Elevated $\textrm{CO}_2$ on Growth and Quality of Lactuca sativa L. in Nutrient Film Technique)

  • 원선이;조영렬;이용범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120-130
    • /
    • 1996
  • 본 실험은 NFT재배에서 배양액내 NO$_3$-N과 NH$_4$-N의 비율과 $CO_2$ 시용이 결구상추의 생육, 수량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는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배양액의 pH와 EC를 보정하지 않았을 경우, NO$_3$-N:NH$_4$-N이 100:0인 구에서의 pH는 점차적으로 증가하였고, NH$_4$-N의 비율이 높을수록 급격히 저하하여 pH4.0까지 낮아졌다. 2. 배양액을 보정하지 않은 상태에서 NO$_3$-N 및 NH$_4$-N의 일 변화를 측정하여 본 결과, NO$_3$-N의 흡수율은 NO$_3$-N:NH$_4$-N이 75:25, 50:50 처리구에서 각각 27.7%, 26.1% 였으나 NH$_4$-N의 흡수율은 87.9%, 71.2%로 결구상추는 NH$_4$-N을 우선적으로 흡수하였다. 3. 엽내 무기성분 함량에서 T-N는 NO$_3$-N과 NH$_4$-N 비율에 따른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P$_2$O$_{5}$, $K_2$O, CaO, MgO는 생육이 가장 좋았던 $CO_2$ 1500ppm 시용과 NO$_3$-N:NH$_4$-N이 100:0에서 높게 나타났다. 4. $CO_2$ 시용에 의한 각 처리별 $CO_2$ 동화율도 수량과 같은 경향을 나타내어 $CO_2$ 1500ppm 시용과 NO$_3$-N:NH$_4$-N이 100:0 처리에서 가장 높았고, 배양액의 NH$_4$-N비율이 높아질수록 현저히 떨어졌다. 5. 결구상추의 생육은 $CO_2$ 1500ppm 시용과 NO$_3$-N:NH$_4$-N이 100:0 처리에서 가장 좋았고, $CO_2$ 무처리구에 비하여 $CO_2$ 1500ppm 처리구에서 대체로 양호하였으나, NO$_3$-N:NH$_4$-N이 75:25, 50:50인 처리에서는 $CO_2$ 시용에 의한 수량의 증가가 경미하여 처리간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다. 6. 엽중 nitrate함량은 배양액의 NO$_3$-N함량과 비례하여 NO$_3$-N:NH$_4$-N 이 100:0에서 가장 높았고, vitamin C 함량은 NO$_3$-N:NH$_4$-N이 100:0인 처리에서 가장 낮고, NH$_4$-N의 비율이 많을수록 높아졌다. $CO_2$ 시용에 의하여 엽중 질산염함량은 경감할 수는 있었으나 그 효과는 경미하였다.다.

  • PDF

아미노산의 능동 수송계에 미치는 $NH_4^{+}$ 이온의 영향 (Effect of $NH_4^{+}$ Ion on the Transpot System of Amino Acids)

  • 조봉희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99-102
    • /
    • 1999
  • Glucose - induced arginine transport system was induced by a exogenous application of NH$_4$^+ ion. The uptake rate of arginine (Arg) depended on the external NH$_4$^+ ion concentration. The uptake rate was inhibited by the presence of NH$_4$^+ ion within 1 min, whereas it increased maximally after 30 min. Glucose and NH$_4$^+ ion induced the same arginine transport system. Km value of Arg transport systems was 2 $\mu$M, and V_(max) was 60 $\mu$mol^(-1) . h . g fresh weight^(-1) for NH$_4$^+ ion and 174 $\mu$mol^(-1) . h . g fresh weight^(-1) for glucose induced transport system. But, the transport system of Glu for glucose and NH$_4$^(-1) ion induced had different Km values. Km value of Glu was 285 $\mu$M for glucose - and 58 $\mu$M for NH$_4$^+ ion induced transport system. Thus, NH$_4$^+ ions play a important role as inducer for the glutamine transport system. NH$_4$^+ ion induced glutamine system was inhibited over 90% by cycloheximide. We concluded that a new carrier protein for glutamine was induced by NH$_4$^+ ion.

  • PDF

한국산(韓國産) 천연(天然) 제오라이트의 암모늄과 아연이온의 흡착(吸着)특성 (Characterization of $NH_4\;^+$ and $Zn^{2+}$ Adsorption by Korean Natural Zeolites)

  • 강신정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2권4호
    • /
    • pp.386-392
    • /
    • 1989
  • 4종류(種類)의 한국산(韓國産) 천연(天然)제오라이트를 사용(使用)하여 $1{\sim}7{\times}10^{-3}N$ 농도(濃度)의 $NH_4\;^+,Zn^{2+}$ 및 그것들의 혼합용액내(混合溶液內)에서 $NH_4\;^+$$Zn^{2+}$의 흡착실험(吸着實驗)을 하였다. 실험(實驗)에 사용(使用)된 제오라이트의 주광물(主鑛物)은 mordenite, clinoptilolite, mordenite를 함유(含有)한 clinoptilolite 및 clinoptlolite를 함유(含有)한 mordenite였다. 모든 시료에서 $Zn^{2+}$에 비(比)해 $NH_4\;^+$이 많이 흡착(吸着)되었고 그것들의 흡착량(吸着量)은 고농도(高濃度)에서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그러나 그 감소의 정도는 $NH_4\;^+$은 경미한 반면 $Zn^{2+}$은 심하였다. $Zn^{2+}$의 흡착량(吸着量)은 $Zn^{2+}$의 단일 흡착시(吸着時)에 비(比)해 $NH_4\;^+$이 공존할 때 감소하였으나 $NH_4\;^+$의 흡착(吸着)은 $Zn^{2+}$에 영향을 받지 않았다. 시료간 $Zn^{2+}$에 대한 $NH_4\;^+$의 선택성(選擇性)은 mordenite>clinoptilolite를 함유(含有)한 mordenite>clinoptilolite>mordenite를 함유(含有)한 clinoptilolite 순으로 높았다. $3{\times}10^{-3}N$$1\;:\;1\;NH_4CI-ZnCl_2$ 용액(溶液)으로 연속 6회 세척하였을 때 제오라이트에 의한 $NH_4\;^+$ 총 흡착량(吸着量)은 $43.7{\sim}50.4me/100g$이었으며, $Zn^{2+}$의 총 흡착량은 $6.6{\sim}17.0me/100g$이었다. 이상의 결과(結果)로부터 mordenite와 clinoptilolite 특히 mordenite는 도시폐수중에 함유(含有)된 $NH_4\;^+$의 제거(除去)에 효과적일 것으로 사료되며 도시폐수에 처리된 제오라이트는 비료자원(肥料資源)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 PDF

혼합상토에 기비로 혼합된 질소의 NH4+:NO3- 비율이 배추의 플러그 묘 생장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Pre-planting NH4+:NO3- Ratios in Inert Media on the Growth of Chinese Cabbage Plug Seedlings)

  • 성좌경;이누리;최종명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4권5호
    • /
    • pp.736-745
    • /
    • 2016
  • 상토에 기비로 혼합된 질소의 $NH_4{^+}:NO_3{^-}$ 비율이 '불암 3호' 배추의 플러그묘 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코이어 더스트:피트모스:펄라이트가 3.5:3.5:3(v/v/v)으로 혼합된 상토를 조제하는 과정에서 기비로 혼합된 질소 수준을 $300mg{\cdot}kg^{-1}$으로 고정하고, $NH_4{^+}:NO_3{^-}$ 비율을 0:100, 27:73, 50:50, 73:27, 100:0으로 조절하였다. 각각의 $NH_4{^+}:NO_3{^-}$ 처리구에 다른 필수적인 비료는 동일하게 배합하여 72구 플러그트레이에 충전하였다. 배추 종자를 파종한 후, 2주와 4주 뒤에 지상부 생육을 조사하였다. 식물체내 무기원소 함량은 파종 4주 후 묘를 분석하였고, 매주 채취한 상토를 이용하여 무기원소 농도를 분석하였다. 파종 후 묘의 생장이 진행됨에 따라 상토의 pH가 점차 상승하고 EC가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파종 2주 후 $NH_4{^+}$ 비율이 높았던 처리에서 $NO_3{^-}$ 비율이 높았던 처리들 보다 상토의 K, Ca, 및 Mg 농도가 높았지만 파종 4주 후 모든 처리에서 매우 낮은 농도로 분석되었고 처리간 차이도 뚜렷하지 않았다. 상토의 $NO_3{^-}$ 농도는 $NH_4{^+}:NO_3{^-}$(100:0) 처리에서 가장 낮았고, $NH_4{^+}:NO_3{^-}$(0:100) 처리에서 가장 높았으며, $NH_4{^+}$ 농도는 반대의 경향을 보였다. 파종 2주 후의 배추 유묘는 $NH_4{^+}:NO_3{^-}$ 비율을 27:73으로 조절한 처리에서 지상부 생체중 및 건물중이 가장 무거웠으며, 파종 4주 후에는 50:50으로 조절한 처리에서 가장 무거웠다. 100:0($NH_4{^+}:NO_3{^-}$)처리의 경우 발아 후 생존율이 약 19%였고, 생존한 식물체의 4주 후 지상부 생장도 가장 저조하였다. 이상의 결과는 배추 플러그 육묘시 식물이 어린 상태에서는 $NH_4{^+}$ 비율을 기비로 혼합된 총 질소의 25% 이하로, 식물이 어느 정도 생장한 상태이더라도 50% 이하로 조절하여야 $NH_4{^+}$ 독성을 방지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계면 활성제 첨가한 암모니아수의 소수성 실리콘 웨이퍼와의 반응 세정 효과 (The Effect of Surfactants in $\textrm{NH}_4\textrm{OH}$ on Silicon Surfaces and Particle Removal)

  • 박진우;박진구;김기섭;송형수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9권9호
    • /
    • pp.872-877
    • /
    • 1999
  • 본 연구에서는 NH(sub)4OH에 계면 활성제를 첨가한 세정액의 특성 및 세정 효과를 H(sub)2O(sub)2가 첨가된 NH(sub)4OH 세정액과 비교 연구하였다. NH(sub)4OH에 계면 활성제를 첨가한 경우 용액의 pH 및 산화 환원전위(Eh) 는 NH(sub)4OH의 값과 거의 유사하고 H(sub)2O(sub)2를 첨가한 경우에 pH는 감소하고 Eh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표면장력은 계면 활성제를 첨가한 경우 약 72 dynes/cm에서 약 38dynes/cm로 감소하였으나 H(sub)2O(sub)2를 첨가한 경우에는 NH\ulcornerOH 용액과 비교 거의 변화가 없었다. 실리콘 웨이퍼의 식각 속도를 측정한 결과 H(sub)2O(sub)2나 계면 활성제를 첨가하지 않은 초순수와 1 : 5(NH(sub)4OH : H(sub)2O(sub)2)의 부피비의 NH(sub)4OH용액이 첨가한 용액에 비해 최소 50배 이상의 높은 식각 속도를 보였다. 파티클 제거 실험에서 H(sub)2O(sub)2가 첨가된 NH(sub)4OH 세정액은 실험에 사용한 실리콘 표면위의 직경 0.67$\mu\textrm{m}$의 PSL파티클을 세정액의 온도와 무관하게 잘 제거하였으나 계면 활성제를 첨가한 NH\ulcornerOH경우에 상온에서는 파티클을 제거할 수 없었으나 온도를 5$0^{\circ}C$와 8$0^{\circ}C$로 증가시킨 경우 H(sub)2O(sub)2가 첨가된 NH(sub)4OH와 유사한 세정 효과를 나타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