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EO personality

검색결과 49건 처리시간 0.026초

주자학으로 본 대순사상의 마음에 관한 연구 - 허령, 지각, 신명을 중심으로 - (A Study on Heart-Mind of Daesoon Thought from the Perspective of Neo-Confucianism: Focused on Numinous Emptiness, Wise-awakening, and Divine Beings)

  • 최치봉
    • 대순사상논총
    • /
    • 제31집
    • /
    • pp.237-269
    • /
    • 2018
  • 본 논문은 주자학의 관점으로 대순사상의 마음을 살펴본 것이다. 『현무경』의 허령·지각·신명은 주자학에서 마음의 특질로 언급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본체로서의 허령, 작용으로서의 지각, 주체로서의 신명으로 나누어 마음의 체용과 주재에 대해 논하였다. 허령은 태극의리(太極之理)가 개인에게 품부된 것으로, 이는 하늘에 있어서는 명령이고, 사람에 있어 본성이며, 마음에 있어 본체로서 허령불매하다. 이 마음의 허령은 곧 심령이라고도 한다. 지각은 마음의 작용으로, 지각되는 것은 허령(理)과 사물(氣)이다. 허령인 태극지리를 지각하는 마음은 양심으로 천성인 도심을 말하며, 사물과 접하여 생기는 마음은 사심인 인심을 말한다. 이렇게 지각하는 방향성에 의해 마음의 상태가 결정되는데, 경(敬)을 통해 천리를 지각하고 마음을 안심의 상태에 이를 것을 언급하고 있다. 신명은 형이상의 본체와 형이하의 사물에 각각 대응하여 그것을 총합하고 인지하고 반응하는 사람의 주체로 지각을 주재한다. 마음은 신이 드나드는 길이라고 할 때, 사람의 마음은 정신혼백이 외부사물과 접촉하여 반응하는 신체적인 감각과 내부의 정신적 사려와 지각활동이 총합되는 내재신의 용사기관을 말한다. 또한 마음에는 외재신이 감응하여 출입하기도 하며, 이로 인한 체질이나 성격의 변화가 이루어지기도 한다. 이 글에서 대순사상의 마음에 관하여 강조하고자 한 것은 첫째, 기존의 유심론적 관점을 탈피하여 주자학의 허령·지각·신명으로 조망할 것을 언급하였다. 둘째, 천지에서 품부 받은 허령을 체로하고 지각을 용으로 보아 마음의 체용을 밝히고자 하였다. 셋째, 정기신과 혼백에 대한 내재신의 개념을 언급하고, 주체로서 신명의 주재함을 언급하였다.

Temperament and Character Inventory(TCI)와 심리(心理)관련설문지의 비교연구에 대한 고찰(考察) (A Review on The Comparative Study on Temperament And Character Inventory (TCI) And Constitutional-psychological Questionnaire)

  • 강동우;오환섭;박영재;박영배
    • 대한한의진단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29-46
    • /
    • 2011
  • Objectives: The purpose of our study is to develop and verify questionnaire using temperament and character inventory (TCI) in the future by contemplating the comparative study on TCI and psychological testing Questionnaires. Methods: We investigate the research searched by keyword: 'TCI' and 'Questionnaire' through internet search engines, Pub Med, Science Direct and Springer Link. Results: The comparative study of TCI and psychological testing Questionnaires(SPAQ, BDI, TAS-20, MAC, DSQ) which have the purpose of diagnosing personal disorder is helpful for the verification of the level of adequacy of the concerned psychological testing Questionnaire and contributes to the understanding of psychobiological characteristics of each of personal disorders. The comparative study of TCI and psychological testing Questionnaires(MMPI, NEO, CPI) which have the purpose of comprehending general personality is helpful for the verification of the level of adequacy of the concerned psychological testing Questionnaire and contributes to the understanding of meaning of questionnaire-scales. The comparative study of TCI and constitution-psychological testing Questionnaire(QSCC II) is helpful for the verification of the level of adequacy and the understanding of the concerned constitution-psychological testing Questionnaire and contributes to the understanding of psychobiological characteristics of each of constitutions. Conclusions: TCI is a useful tool to understand the psychological testing Questionnaire more deeply and verify the level of the adequacy, and from now on for the development and verification of Oriental medicinal-psychological testing Questionnaire, the study comparing it with TCI should be actively used.

성리학(性理學)과 산수화(山水畵)의 발전에 관한 연구 - 송대를 중심으로 - (Research of the Neo-Confucianism and the development of Landscape painting in Song Dynasty)

  • 장완석
    • 한국철학논집
    • /
    • 제32호
    • /
    • pp.309-336
    • /
    • 2011
  • 본 연구는 성리학과 문화예술이 밀접한 관계에 있다는 데에서 출발하며, 특히 송대에 흥성한 산수화의 발전에 이론적 근거가 되었음을 연구하였다. 성리학은 고대 동양사회의 정치, 경제, 사상, 문화 예술 심지어 생활에 전반에 걸쳐 근간을 이루어 왔던 유학의 새로운 경향이다. 성리학은 중국의 북송(北宋)대 다섯 학자인 주돈이, 소옹, 장재, 정호, 정이가 그 기틀을 새우고 남송(南宋)의 주희가 집대성한 학문이다. 중국의 원(元)나라를 통해 고려후기에 우리나라에 전래되어 조선의 건국의 기틀이 되었고, 퇴계 이황, 율곡 이이를 거쳐 '문화 전반'에 미치지 않은 곳이 없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성리학과 예술론과 관계하여 격물치지, '리', 우주의식, '생의', '기상', '예'와 '도'의 관계 등이 산수화와 산수화론을 통해 어떻게 표현되었는지를 연구하였다. 산수화나 화조화에서도 신유학에서 말하는 천지의 '생의'의 미와 '어진 사람은 만물과 더불어 하나'라는 사상을 화폭에 표현하고자 노력하였다. 또한 시와 회화의 통일을 주장하였다. 동양에서는 송대 이전부터도 시와 회화의 관계를 중시했지만, 송에 이르러 시와 회화의 통일을 이루게 된다. 예를 들어, 명나라 때 조성된 졸정원(拙政園)과 같은 강남 정원 문화는 송대 산수화로부터 기인했다. 산수에서 등장하는 산속의 작은 정자나 가옥들이 정원에 옮겨진 것이다. 이는 곽희가 "임천고치"에서 말한 "가볼 수 있고, 바라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노닐 수 있고, 살 수 있는 곳"을 화폭 속에 그려야 한다는 것이 명 청대에 이르러서는 현실로 옮겨진 것이다. 또한 현대에 있어서는 환경디자인에 이르기까지 그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지속적인 연구는 앞으로 가상현실, 증강현실 등 디자인 발전 연구, 더 나아가 문화산업의 기초자료로서 복합학문, 학제간 교류에 있어서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발통점(發通點)을 이용(利用)한 두통(頭痛) 치험례(治驗例) 보고(報告) (The clinical observation of patient with Headache Treated by Trigger point acupuncture therapy)

  • 이승연;김장현
    •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133-143
    • /
    • 1998
  • Myofascial pain syndrome is one of the pain syndrome resulted from myofascia which covered muscles and clinically characteristic feature by sensitive trigger point in skeletal muscles and referred pain reactivated by stimulating each trigger point. The origin of headache are local lesion such as head, chest, abdominal organ, systemic lesion with fever or in toxic state. the other factors are consciousness, personality, anxiety, depression, which cause muscle strain in physiological environment. The Oriental Medical therapy for headache has herb medication and acupuncture. especially acupuncture therapy has not only classical systemic acupuncture(體鍼) but also neo-acupuncture(新鍼) such as commonly using auricular acupuncture(耳鍼) and manual acupuncture (手鍼), recently trigger point acupuncture is used. The author analyzed 27 cases of patient with headache treated by trigger point acupuncture therapy in Dong-yu Oriental Medical Hospital from March 1st 1997 to February 28th 1998.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The sex ratio of the female was 59.26%(16 cases) and male was 40.74%(11 cases), the ratio of high school student was 62.96%(17cases) as first. 2. The headache duration ratio of 2-3 years was 37.04%(10 cases) as first, 1-2 years was 25.93%(7 cases) as second. 3. The portion ratio of whole headache was 33.33%(9 cases) as first, lateral headache was 29.63%(8 cases) as second 4. The combined symptoms ratio of anorexia was 40.74%(11 cases) as first, fatigue was 33.33%(9 cases) as second, neck stiffness and dizziness was each 25.93%(7 cases) as third. 5. The therapeutic duration ratio of below 1 week was 29.63%(8 cases) as first, 2-3 weeks was 22.22%(6 cases) as second, 1-2 weeks and 3-4 weeks was each 18.52%(5 cases) as third. 6. The ratio of family history was 11 cases(40.74%). mother with headache was 6 cases, father was 3 cases, and brothers & sisters was 2 cases. 7. The herb medication ratio of Chungsanggyuntongtang(淸上?痛湯) was 37.04%(10 cases), Kamiondamtang(加味溫膽湯) was 22.22%(6 cases), Hyangsapyunguisan(香砂平胃散) was 18.25%(5 cases) etc. 8. The remedial effect ratio of good was 25.93%(7 cases), fair was 48.15%(13 cases), not improved was 7.41%(2 cases), side effect was 3.70%(1 cases), and unknown was 14.81%(4 cases).

  • PDF

Food Neophobia and Nutritional Outcomes in Primary School-Children

  • MS Zalilah;GL. Khor;K. Mirnalini;S. Sarina
    •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 /
    • 제7권3호
    • /
    • pp.121-129
    • /
    • 2005
  • Food neophobia, unwillingness to try novel foods, is a personality trait that can influence children's food preferences and consequently their food acceptance and consump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whether children with food neophobia have poor dietary and growth outcomes compared to non-neophobic children. Subjects were 332 primary school children from 6 randomly selected schools in the district of Hulu Selangor, Selangor. Parents and children were interviewed to obtain demographic, socio-economic, food neophobia and dietary intake information. The children were also measured for weights and heights. One-way ANOVA and Chi-square procedures were utilized for statistical data analysis. Children with food neophobia had higher intakes of energy and most nutrients than average and neophilic children. However, only the mean intakes of protein (p < 0.05) , fat (p < 0.05), vitamin A (p < 0.01) and iron (p < 0.01)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neophobic than average or neophilic children. Compared to neophilic and average groups, a higher percentage of neophobic children met 2/3 of the RNIs for energy $(85.2\%)$, protein $(98.4\%)$ and vitamin A $(72.1\%)$. Mean percentage of carbohydrate energy was lowest$(54.8\pm6.6\%)$ while fat energy $(31.8\pm6.2\%)$ was highest among neophobic children. Neophobic group had the lowest percentage of children $(49.2\%)$ with carbohydrate energy > $55\%$ but highest percentage $(50.8\%)$ with fat energy > $30\%$. For the three study groups, the mean number of servings for all food groups, except grain and cereal, did not meet the Food Pyramid recommendations. Neophobic children consumed significantly more numbers of servings from the meat group than average and neophilic groups (p < 0.01). All study groups had relatively low mean dietary diversity scores but neophobic children had the lowest score $(0.67\pm0.73)$ compared to the average $(0.97\pm0.72)$ and neophilic $(1.98\pm0.81)$ groups. Significant difference in mean dietary diversity scores were only observed between neophobic and neophilic children (p<0.05). Higher percentages of neo-phobic children had low weight-for-height and were at-risk of overweight(p < 0.05). Nutrition practitioners need to understand children's food preferences in their efforts to promote healthful diets for children. To improve children's eating behaviors, parents may need the guidance and support from nutritionists and dietitians that are specific to their needs and their child's situation.

조선 유학자들에 비친 여헌의 인물됨과 학문 (Yeoheon's Personality and Learning from the Viewpoint of the Joseon Confucian scholars)

  • 장숙필
    • 동양고전연구
    • /
    • 제57호
    • /
    • pp.67-102
    • /
    • 2014
  • 여헌(旅軒) 장현광(張顯光)(1554-1637)은 17세기 전반기 영남유학을 대표하는 산림처사이자 철학자이다. 그는 당대 지식인들로부터 진정으로 군자다운 사람, 아동(我東)의 공자(孔子), 심지어 신인(神人), 성인(聖人)으로까지 칭송되었으며, 사문(斯文)의 주석(柱石), 사림의 의범(儀範)으로 인정받았다. 경세가로서의 그의 모습은 두 차례의 지방관에서는 유가적인 도덕정치, 즉 민생안정과 교화의 정치를 실현한 인물로 평가되었고, 산림으로 초빙되었을 때는 왕으로부터 바르고 어질고 겸손하고 검소하여 옛사람의 풍도(風度)가 있다고 평가받았으며, 학자들로부터는 당대 정치의향배를 결정하는 중요한 인물로 평가되었다. 그의 학문은, 이학(易學)에 있어서는 철저하게 정주학에 근본하면서도 정주의 해석을 넘어서는 업적을 세웠으며, 우주사업은 실천학으로서의 유학의 성격을 밝혔고, 예설은 회암(晦庵)의 유서(遺書)를 따르되 고예(古禮)를 서로 참조하여 말속(末俗)의 오류를 씻어내었다는 평가를 받았다. 그러나 성리설의 경우, 퇴율이후의 당파성을 넘어서서 이기사칠설(理氣四七說)의 본질을 밝힘으로써 실천지학으로서의 유학 본연의 가치를 회복하기 위해 제시된 이기경위설(理氣經緯說)은 그것이 퇴계의 호발설과 합치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영남의 퇴계학파 및 근기남인에 의해 비판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이런 여헌의 학문은 조선유학이 주이(主理),주기(主氣)로 대분되는 단편적인 것이 아니라 보다 입체적이고 다양한 모습을 갖춘 것임을 확인시켜주며, 또한 그의 우주사업과 노인사업은 조선유학의 도덕론이 단순히 공리공론이 아닌 실천적인 것임을 잘 보여주고 있다.

서두름 행동의 심리적 구조 및 특성 파악: 서두름 행동, 확인생략행동, 성취욕구 간의 관계 이해 (The Psychological Structure and Characteristic of Hasteful Behaviors: Understanding the Relation between Hasteful Behaviors, Omission of Checking and Achievement Striving)

  • 이순철;박선진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14권2호
    • /
    • pp.63-81
    • /
    • 2008
  • 서두름 행동은 행동의 속도를 높여 최적의 목표를 달성하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현재 하고 있는 행동의 속도를 높이면서 목표달성을 위해 최적의 방법을 사용하는 특성을 가진다. 서두름 행동은 전적으로 좋다 혹은 나쁘다고 단정질 수 없으며, 자신의 목표를 빨리 달성하고자 하는 의지는 성취동기를 반영한다. 그러나 동시에 이러한 의지는 어떤 행동을 생략함으로써 오류행동을 발생시킬 수도 있다. 서두름 행동의 심리적 구조 및 그 특성을 살펴보고자 191명을 대상으로 서두름 행동 질문지와 성취동기척도, 성격 5요인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결측치가 많은 응답자를 제외한 188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서두름 행동 문항을 분석한 결과, 서두름 행동은 불편함, 시간압력, 고립, 지루함, 보상기대라는 5개의 상황 요인 아래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서두름 행동을 구성하는 5요인들의 상관분석 및 서두름 행동과 성취동기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서두름 행동은 크게 속도를 높임으로써 발생하는 '확인생략행동'과 자신의 과업을 잘하려고 하는 '성취욕구'로 이루어져 있었다. 그리고 서두름 행동을 구성하는 5요인 가운데 시간압력이 '확인생략행동'과 '성취욕구'에 공통으로 작용하고 있었다. 서두름 행동의 특성을 살펴보고자 서두름 행동의 2개 영역과 성격 5요인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확인생략행동'은 성격 5요인의 신경증과 정적 상관이 있는데 반해, 성실성과는 부적 상관이 있었다. 한편, '성취욕구'는 성격 5요인의 외향성과 정적 상관을 보였다.

  • PDF

돈암서원의 강학 활동 (The educational activities of Donam Seowon)

  • 김문준
    • 한국철학논집
    • /
    • 제58호
    • /
    • pp.161-199
    • /
    • 2018
  • 한국 서원의 교육 내용과 방식은 주자가 제시한 교육 내용 및 방식과 대부분 유사하지만, 학파에 따라 다소 다른 방식으로 운영되었다. 돈암서원의 초기 원장으로 재임한 이들은 모두 김장생의 문인이었던 김집 송준길 송시열 등이다. 돈암서원은 같은 노론계 서원이었던 화양서원 석실서원이 기호 지역의 중심 서원으로 성장하면서 서원의 위상과 강학 활동도 약화되었을 것이라고 추정된다. 돈암서원 설립 초기의 학규는 전하지 않는다. 돈암서원의 운영 방식은 돈암서원 운영 전반에 관하여 17세기 후반 원장으로 재임하던 송준길에게 문의한 윤증의 서신을 통해 짐작할 수 있다. 이 서신을 통해 볼 때, 돈암서원의 학규는 이이의 <은병정사학규>와 유사하였다고 추정된다. 18세기 이후 돈암서원의 역대 원장은 노론의 낙론계 학자들로서 권상하 계열보다 김창협 계열의 원장이 많았다. 돈암서원 원장은 화양서원, 석실서원의 원장이 겸임하거나 전후로 재임했을 가능성이 많다. 돈암서원에서 행한 강학 활동은 서원 설립 초기에는 김장생-송시열의 교학체계에 따라 소학${\rightarrow}$가례${\rightarrow}$심경${\rightarrow}$근사록 등 성리서를 우선하고 다음에 사서 오경을 가르쳤다. 점차 노론계 낙론 서원인 석실서원 출신의 학자들이 원장으로 부임하면서 소학${\rightarrow}$사서${\rightarrow}$오경을 먼저 가르치고 다음에 성리서를 가르치는 이이의 교학체계를 시행하였으리라 추정된다. 이러한 강학 순서는 김창협 계열의 학자들이 설립하고 운영했던 석실서원의 강학 내용과 순서이다. 돈암서원의 입학 자격은 신분은 중시하지 않았으며, 학문과 인품을 중시했다. 서원에서 과거 공부는 허용되지 않았다. 원생들은 서원에서 거재(居齋)하면서 강학에 참여하는 것이 원칙이었으나, 점차 서원의 재정이나 운영이 어려워지면서 자기 집에 거가(居家)하면서 삭망에 행하는 강회에 참여하는 형태로 변화되었다.

정이(程?) 성인론(聖人論)의 특징에 관한 고찰 (A study on distinctive view of Cheng I's the sage-theory)

  • 김상래
    • 한국철학논집
    • /
    • 제56호
    • /
    • pp.151-180
    • /
    • 2018
  • 유가사상가들이 도덕과 지식의 측면에서 최고의 이상적 인간형으로 설정한 성인(聖人)은 "선천적으로 신비한 능력을 타고나는 것인가, 아니면 후천적으로 노력을 통해 그런 경지에 도달할 수 있는가?" 이 문제에 대해 논리적 정합성을 제시하는 것이야 말로 맹자 이후 유학자들의 주요 이슈였으며, 많은 사상가들은 이 문제에 대해 다양한 답변을 시도해 왔다. 일반적으로 성인은 선천적으로 타고난다는 입장과 배움(學)과 지식(知)들 통해서 성인의 경지에 이를 수 있다는 입장의 두 가지 학설이 존재한다. 유학은 어떤 학문 체계 보다 인간의 배움과 지식을 중요시한다. 사실 "논어"의 주요 내용에서 우리는 윤리 도덕적 가치의 집합인 인(仁)에 관한 대화보다 공자가 꾸준히 강조하고 제자들을 칭찬하는 용어인 배움(學)에 대한 표현이 더 많이 등장하고 있음을 확인하기도 한다. 유학 사상사적인 측면에서 볼 때 배움과 지식을 통해 성인이 될 수 있다는 견해는 공자 이후 맹자와 순자에 이르기 까지 절대적 지지를 받는 학설로 여겨진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한당시대에 이르러 인간의 내면에 대한 세분화된 견해를 정립하는 것을 시도하게 되는데, 한유와 왕충 등의 사상가들은 '성인은 이미 선천적으로 결정된 것이지, 인간의 노력으로 도달할 수 없다'는 견해를 피력하였다. 그리고 다시 송대 성리학 시기 정이천은 이 문제에 대해 깊이 있는 논의를 제시하고, 치밀하고 자세한 설명구조를 확립하는데, 즉 선진시대 사상가들의 견해를 계승하여 '배움과 지식을 통해 그리고 인간의 노력으로 성인이 될 수 있다'는 사유를 제시한다. 성인에 대한 이런 이해 방식은 송대 성리학의 주류를 형성하게 되었으며, 주자 이후 유학사상의 핵심이론으로 자리매김하게 된다. 이 글은 유학의 기본 테제라 할 수 있는 성인과 관련된 문제에 대한 정이(程?, 1033-1107)의 사유를 정리한 것이다. 그는 기본적으로 '성인가학이지(聖人可學而至)' 즉, 배움을 통해 聖人에 도달할 수 있다는 견해를 피력하고 있으며, 이와 관련하여 태어나면서 성인인 경지에 대한 표현법인 생지(生知)와 배움과 지식을 통해 성인에 도달할 수 있다는 입장의 학지(學知), 최상의 지혜(上智)와 최악의 어리석음(下愚) 등의 용어들에 대해 구체적이고 깊이 있는 논의를 제공하고 있다. 논자는 이글에서 논제와 관련된 문제(안연, 자질과 성품의 문제, 지혜와 어리석음의 관계) 등에 대해 주로 정이천의 "유서(遺書)"의 "안자소호하학론(顔子所好何學論)"과 기타 논저 그리고 유학사상 관련 텍스트를 중심으로 성인론의 특징을 고찰하였다. 정이천이 인간은 누구나 성인이 될 수 있다는 견해를 논리와 방법론을 정립하면서 제시한 그의 학설은 송대 성리학의 주요 과제로 자리 잡게 되었으며, 주자학의 주요체계로 포함되어 오늘날 정통의 이론으로 평가받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