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Heart-Mind of Daesoon Thought from the Perspective of Neo-Confucianism: Focused on Numinous Emptiness, Wise-awakening, and Divine Beings

주자학으로 본 대순사상의 마음에 관한 연구 - 허령, 지각, 신명을 중심으로 -

  • Received : 2018.10.26
  • Accepted : 2018.12.15
  • Published : 2018.12.31

Abstract

This study aims to look into Daesoon Thought from the perspective of Neo-Confucianism. Numinous emptiness (虛靈), wise-awakening (知覺), and divine beings (神明) in the Scripture of the Black Tortoise (Hyeonmu-gyeong) are often mentioned as characteristics of the mind in Neo-Confucianism. Accordingly, this research take up the 'Che-Yong (substance, 體 and function, 用)' of mind by classifying numinous emptiness as Origin-Substance (本體), wise-awaking as function, and divine beings as subjects. Numinous emptiness enables an individual to have been born with Li (理) of Taegeuk (太極), which is a mandate from Heaven and the nature of humanity; whereas one embodies spirit and brightness mind based on Origin-Substance. This numinous emptiness of mind is precisely the mind-spirit. Wise-awakening is a function of mind, which actually awakens numinous emptiness (理) and objects (氣). The mind which realizes the Li of Taegeuk as numinous emptiness is conscientiousness and can be taken as a Dao-Mind. The mind which desires objects refers to the Human Mind or a selfish motive. Such propensity in terms of wise-awakening determines the state of mind. One should reach the state of a quiet mind by wisely awakening through the scripture. Divine beings correspond to metaphysical Origin-Substance and physical objects respectively. In addition, they comprehend all and preside over wise-awakening as subjects. The subject recognizes wise-awakening and responds to it. Mind is a path traveled upon by divine beings as they enter and exit. In this regard, the human mind refers to the organ used by immanent deities, which accumulates physical senses, innermost mental processes, and awakened activities. Furthermore, Transcendental deities also come in and out through mental correspondence, leading to changes in one's physical constitution or personality. This paper focuses on the mind perceived in Daesoon Thought as follows: first, besides the existing spiritual perspective, the research takes a view on surveying numinous emptiness, wise-awakening, and divine beings in Neo-Confucianism. Secondly, the Che-Yong of mind is closely looked into by means of innate numinous emptiness as Che and wise-awakening as Yong. Lastly, the essence, energy, and divinity as well as spiritual soul and physical soul are mentioned according to the concept of an immanent deity. The paper also clarifies the fact that divine beings preside over the mind as subjects.

본 논문은 주자학의 관점으로 대순사상의 마음을 살펴본 것이다. 『현무경』의 허령·지각·신명은 주자학에서 마음의 특질로 언급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본체로서의 허령, 작용으로서의 지각, 주체로서의 신명으로 나누어 마음의 체용과 주재에 대해 논하였다. 허령은 태극의리(太極之理)가 개인에게 품부된 것으로, 이는 하늘에 있어서는 명령이고, 사람에 있어 본성이며, 마음에 있어 본체로서 허령불매하다. 이 마음의 허령은 곧 심령이라고도 한다. 지각은 마음의 작용으로, 지각되는 것은 허령(理)과 사물(氣)이다. 허령인 태극지리를 지각하는 마음은 양심으로 천성인 도심을 말하며, 사물과 접하여 생기는 마음은 사심인 인심을 말한다. 이렇게 지각하는 방향성에 의해 마음의 상태가 결정되는데, 경(敬)을 통해 천리를 지각하고 마음을 안심의 상태에 이를 것을 언급하고 있다. 신명은 형이상의 본체와 형이하의 사물에 각각 대응하여 그것을 총합하고 인지하고 반응하는 사람의 주체로 지각을 주재한다. 마음은 신이 드나드는 길이라고 할 때, 사람의 마음은 정신혼백이 외부사물과 접촉하여 반응하는 신체적인 감각과 내부의 정신적 사려와 지각활동이 총합되는 내재신의 용사기관을 말한다. 또한 마음에는 외재신이 감응하여 출입하기도 하며, 이로 인한 체질이나 성격의 변화가 이루어지기도 한다. 이 글에서 대순사상의 마음에 관하여 강조하고자 한 것은 첫째, 기존의 유심론적 관점을 탈피하여 주자학의 허령·지각·신명으로 조망할 것을 언급하였다. 둘째, 천지에서 품부 받은 허령을 체로하고 지각을 용으로 보아 마음의 체용을 밝히고자 하였다. 셋째, 정기신과 혼백에 대한 내재신의 개념을 언급하고, 주체로서 신명의 주재함을 언급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전경』, 여주: 대순진리회 출판부, 2010
  2. 『대순지침』, 여주: 대순진리회 출판부, 2012.
  3. 『대순진리회요람』, 여주: 대순진리회 교무부, 2010.
  4. 『대학장구』
  5. 『맹자집주』
  6. 『좌전』
  7. 『주희집』
  8. 『주자대전』
  9. 『주자어류』
  10. 『주역』
  11. 『중용장구』
  12. 『중용혹문』
  13. 『태극도통감』, 부산: 태극도, 1956.
  14. 『황재내경 소문』
  15. 『황제내경 영추』
  16. 『무극대도교개황』, 대순종교문화연구소 옮김, 일본학습원대학 동양문화연구소, 1925.
  17. 고남식, 「이정심법과 수심의 궁국적 성향」, 『대순사상논총』 13, 2001.
  18. 금장태, 『한국유학의 심설』,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2003.
  19. 김수청, 『송대 신유학의 인격수양론-경을 중심으로』, 부산: 신지서원, 2006.
  20. 김의성, 「대순사상에 나타난 인식 문제에 관한 연구」,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68, 2016. http://uci.or.kr/G704-002009.2016..68.005
  21. 몽배원, 『성리학의 개념들』, 홍원식 외 3명 옮김, 서울: 예문서원, 2008.
  22. 배용덕. 임영창, 『증산신학개론(上)』, 서울: 태광문화사, 1984.
  23.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마음과 철학-유학편』,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3.
  24. 오하마 아키라, 『범주로 보는 주자학』, 이형성 옮김, 서울: 예문서원, 1997.
  25. 윤용남, 「주자 심설의 체용이론적 분석」, 『동양철학연구』 41, 2005. http://uci.or.kr/G704-001233.2005.41..008
  26. 시마다 겐지, 『주자학과 양명학』, 김석근 옮김, 서울: 까치글방, 2001.
  27. 이경원, 「대순사상의 심체론 연구」, 『신종교연구』 6, 2002.
  28. 진래, 『양명철학』, 전병욱 옮김, 서울: 예문서원, 2003.
  29. 진래, 『주희의 철학』, 이종란 외 옮김, 서울: 예문서원, 2013.
  30. 차선근, 「대순진리회 마음관 연구 서설」, 『신종교연구』 36, 2017. http://doi.org/10.22245/jkanr.2017.36.36.111
  31. 최명수, 「대순사상에 나타난 죽음관 연구」, 대진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14.
  32. 최치봉, 「대순사상의 태극에 관한 연구」, 『대순사상논총』 23, 2014. http://doi.org/10.25050/jdaos.2014.23.0.385
  33. 한영조 외 4명, 『심경, 주자학의 마음 훈련 매뉴얼』, 성남: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2.
  34. 한자경, 「주희의 감정론」, 『철학논집』 39, 2014. http://doi.org/10.17325/sgjp.2014.39..9
  35. 한자경, 「미발지각(未發知覺)이란 무엇인가?」, 『철학』 123, 2015. http://uci.or.kr/G704-000127.2015..123.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