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DMA

검색결과 100건 처리시간 0.032초

HPLC와 Fluorescence Derivatization 기법을 이용한 극미량 NDMA의 수질분석 (Trace-level Determination of N-nitrosodimethylamine(NDMA) in Water Samples using a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with Fluorescence Derivatization)

  • 차우석;;;최희철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223-228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fluorescence derivatization 기법과 HPLC를 이용하여 수중에 nanograms per liter로 존재하는 극미량 N-nitrosodimethylamine(NDMA)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다양한 조건 하에서의 fluorescence intensity를 측정함으로써 derivatization 기법을 최적화하였는데, fluorescence detector의 excitation/emission wavelength는 340 nm(excitation)과 530 nm(emission)에서, denitrosation 후 용액의 pH는 9-12의 범위에서, 그리고 dansyl chloride의 농도는 330-500 mg/L 범위에서, 최대 fluorescence intensity를 보여주였다. 용매추출을 통한 수질 시료의 분석에서, 표준농도와 검출농도의 차이는, 저농도(10-200 ng/L) 범위에서 12-162%, 고농도(100-1000 ng/L) 범위에서 6-23%를 보여, 저농도 범위에서 더 많은 차이가 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두 농도 범위 모두 표준농도와 검출농도의 평균 대비율이 1에 매우 근접해 있어, 수십에서 수백 nanograms NDMA per liter의 분석이 가능함을 보여주었다. 하수처리장 처리수에 주입한 NDMA의 분석에서도 다른 물질에 의한 간섭없이 정확한 농도 검출이 가능했는데, 이는 목적물질을 선별적으로 분석해내는 derivatization 과정에 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HPLC와 fluorescence derivatization 기법을 이용한 NDMA의 분석은 상수 및 하수를 사용하는 다양한 실험 연구에서 NDMA를 분석하는 방법으로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김치숙성중 숙성온도, pH 및 소금 농도가 니트로스아민의 생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emperature, pH and Salt Concnetration on formation of N-nitrosamines during Kimchi Fermentation)

  • 김준환;장영상;신효선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332-336
    • /
    • 1998
  • 김치숙성중 숙성온도, pH 및 소금농도가 NDMA의 생성량에 미치는 영향과 또한 in vitro에서 온도, pH 및 소금농도가 NDMA의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각각 연구하였다. 배추김치를 저온 냉장온도($4^{\circ}C$)와 실온 ($16{\pm}2^{\circ}C$)에서 6주간 숙성할 때 아질산염과 DMA의 함량변화는 실온에서는 숙성기간에 따라 일정하지 않았으나 저온 냉장 온도에서는 숙성기간 동안 큰 변화 없이 거의 일정하였고,NDMA의 최대 생성량도 $2.69\;\mu\textrm{g}/kg$으로 저온 냉장 때 보다 약 18배 이상 더 많이 생성되었다. 김치 숙성 중 아질산염과 DMA의 함량변화와 NDMA의 생성량과는 관계가 없었으나 pH의 변화는 NDMA 생성량과 같은 관계가 있어 김치 숙성 중 가장 낮은 pH 4.0 부근에서 NDMA의 생성량도 가장 높았다. in vitro 시험에서 NDMA의 생성량은 저온보다는 실온에서 그리고 pH가 낮을수록 더 많이 생성되었고 그 생성량은 온도보다는 pH의 영향이 더 컸다. 보통 소금농도(2.5%)의 김치와 낮은 소금농도(1.5%)의 김치를 각각 숙성할 때 NDMA 의 생성량 변화는 보통 소금농도에서는 숙성기간동안 큰 변화 없이 일정하였고 최대 생성량도 $5.86\;\mu\textrm{g}/kg$으로 낮았으나, 낮은 소금 농도에서는 3주째 최고 $90.0\;\mu\textrm{g}/kg$ 생성되었다. in vitro에서도 소금농도가 높을수록 NDMA의 생성량도 낮았다.

  • PDF

N-Nitrosodimethylamine이 흰쥐 설선의 Glycoconjugates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Prelectin 조직화학 (Prelectin Histochemistry for Effects of N-Nitrosodimethylamine on Glycoconjugates in the Rat Lingual Glands)

  • 조운복;조기진
    • 생명과학회지
    • /
    • 제8권5호
    • /
    • pp.509-519
    • /
    • 1998
  • 발암물질인 NDMA 17m/kg을 경구 투여했을 때 흰쥐설 von Ebner선과 설 점액선의 glycoconjugates에 미치는 영향을 prelectin 조직화학법인 PAS반응, AB pH 2.5 염색법, AB pH 0.4 염색법, AB pH 2.5 -PAS 염색법, AF pH 1.7-AB pH 2.5 염색법 및 HID-AB pH 2.5 염색법으로 연구하였다. NDMA 투여군의 설 von Ebner선의 형태적인 주된 변화는 장액선포의 위축 및 파괴, 장액세포의 세포질 과립의 감소 및 소실, 세포질의 공포변성 그리고 도관상피세포의 점액화였으며 NDMA 투여후 12시간군부터 72시간군까지 현저하였다. NDMA 투여군의 설점액선의 주된 형태적 변화는 점액선포의 확장, 융합, 파괴 및 점액세포의 세포질의 과립 소실 및 공포변성, 도관상피의 점액화 등이었으며 NDMA 투여후 12시간군부터 72시간군까지 현저하였다. 설 von Ebner선의 neutral glycoconjugates가 대조군에 비해 NDMA 투여후 12시간군과 72시간군에서 현저히 감소되었으며 NDMA 투여후 96시간군후에 회복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대조군에서 나타나지 않던 acidic glycoconju-gates가 NDMA 투여후 6시간군부터 48시간군, 그리고 120시간군에서 약간의 장액세포들에서 나타났다. 설 점액선의 neutral glycoconjugates와 acidic glycocon-jugates가 대조군에 비해 NDMA 투여후 3시간군, 24시간군, 48시간군에서 다같이 현저히 감소되었으며, 후자는 NDMA 투여후 72시간군에 아주 현저히 감소하였다. Aci-dic glycoconjugates중 sulfated glycoconjugates는 대조군에 비해 NDMA 투여후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며 NDMA 투여후 72시간군에 가장 현저한 감소를 나타내는데 비해 sialic glycoconjugates는 NDMA 투여후 3시간군, 12시간 군 및 48시간군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 PDF

상수 염소 처리 과정중에 형성되는 N-니트로소디메틸아민에 대한 이해: 전구체의 특징, 경로와 경감 (Understanding N-nitrosodimethylamine (NDMA) formation during chloramination: Precursor characteristics, pathways and mitigation)

  • 민기;손아섬;조강우;홍석원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279-289
    • /
    • 2018
  • N-nitrosodimethylamine (NDMA) is a class of disinfection byproducts and a frequently detected nitrosamine with carcinogenic potentials. This review summarizes NDMA precursors, their formation mechanisms in chloraminated water, and mitigation strategies. Understanding the formation mechanism and characteristics of precursors is essential for developing a mitigation strategy. Dimethylamine (DMA), the most widely studied NDMA precursor, has an NDMA molar yield up to 3%. In comparison, a subset of tertiary amines, e.g., pharmaceuticals, generate up to 90% upon chloramination. Potent NDMA precursors, are characterized by their negative partial charge, low planarity values and molecular weight, and high bond length and $pK_a$ values. A nucleophilic substitution of tertiary amine on chloramine is a key reason for the high NDMA yield from the most potent NDMA precursors. The distribution and fate of NDMA in surface water, aquifers, and its formation in the distribution system can be mitigated through two strategies: (1) degrading or/removing NDMA after its formation and (2) pre-treatment of its precursor's prior chloramination.

극저농도 NDMA(N-nitrosodimethylamine) 물리적/생물학적 처리 효율 비교 평가 (Evaluation and Comparative Physical/Biological Removal Performance for Extremely Low-Concentration NDMA(N-nitrosodimethylamine))

  • 박세용;김희주;김문일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2권2호
    • /
    • pp.55-61
    • /
    • 2011
  • NDMA(N-Nitrosodimethylamine)는 극저농도(10ng/L)에서도 암을 일으킬 수 있는 물질로 알려져 있지만, 기존의 NDMA 제거율 평가 연구는 고농도의 NDMA를 대상으로 한 것이 대부분이었다. 따라서 극저농도의 NDMA 제거효율 평가가 필요하며 그 기초연구로써 호기성/혐기성 조건에서의 분말활성탄, GS(Granular Sludge), MF(Microfiltration), UF(Ultrafiltration)를 이용한 제거효율과 Silica gel(MCM-41, Diatomite, Spherical silica gel)을 이용한 제거효율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혐기성 조건에서 GS, PAC를 접촉한 후 UF membrane을 이용한 고액분리가 65%의 제거율로 가장 높았으며, Silica gel(MCM-41)이 6%의 제거율로 가장 낮았다. 본 연구는 극저농도의 NDMA 제거의 기초 연구로서 향후 관련 연구의 기초자료로써 활용을 기대한다.

고도산화공정(UV공정)을 이용한 NDMA의 효율적인 처리와 독성 평가 (Effective Treatment of N-Nitrosodimethylamine using Advanced Oxidation Process (UV Process) and Toxicity Evaluation)

  • 송원용;장순웅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90-95
    • /
    • 2009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oxidative degradation of N-nitrosodimethylamine (NDMA), a probable human carcinogen, by advanced oxidation process (i.e., UV process). The experiments were performed with various pH, initial concentration, UV intensity, and addition of $H_2O_2$ or $TiO_2$ on UV proces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direct UV photolysis was the most effective treatment method. The lower pH, intial concentration and higher intensity of UV stimulated higher NDMA removal. However, addition of oxidant ($H_2O_2$, $TiO_2$) slows down photochemical treatment of NDMA since the oxidant can filter out the UV light and block it to reach the NDMA molecules. Dimethylamine (DMA) and nitrite were found to be a major byproduct from NDMA oxidation. To evaluate the chronic toxicity effects of UV-treated NDMA on the growth of microalgae, "Skeletonema costatum", was studied as long term experiments. Results demonstrated that after the 13 days exposure the chronic toxicity was decreased about 15% with application of UV process on NDMA degradation.

N -Nitrosodimethylamine의 자외선 광분해 시 질소산화물 생성에 미치는 반응성 화학종의 형성 (The Formation of Reactive Species on the Nitrogen Oxide in the Ultraviolet Photolysis of N-Nitrosodimethylamine)

  • 권중근;김종오;권범근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3권2호
    • /
    • pp.75-81
    • /
    • 2012
  • NDMA는 잠재적인 발암 물질로 잘 알려져 있기 때문에 UV를 활용한 처리기술과 분해경로에 대해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다. 그러나 NDMA가 ${NO_2}^-$, ${NO_3}^-$ 와 같은 산화물을 형성하는 메커니즘은 아직 명확하게 알려져 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NDMA의 광반응에 의해 생성되는 핵심 반응기들을 검토하였다. 주요 반응기들에 대한 연구는 질소 산화물들의 형성과 메탄올과 NDMA의 광분해에 의해 형성되는 미지의 반응기들 사이에서의 반응을 통하여 간접적으로 수행하였다. NDMA의 직접적인 UV 광반응에 의해서 생성된 $ONOO^-$ 가 질소 산화물(중간생성물)들의 산화로 인한 ${NO_2}^-$${NO_3}^-$ 의 핵심 반응기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염건조기의 인공소화시 Nitrite, Thiocyanate 및 Ascorbic acid가 N-nitrosamine의 생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Nitrite, Thiocyanate and Ascorbic acid on N-nitrosamine Formation in Salted and Dried Yellow Corvenia under Simulated Gastric Digestion)

  • 이수정;신정혜;김정균;성낙주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01-107
    • /
    • 2000
  • 우리나라 고유의 염건품인 굴비를 섭취하였을 때 체내에서 생성되는 NA를 예측하기 위해서 인공타액과 위액을 혼합하여 37。C에서 2시간동안 배양한 굴비의 인공소화물로부터 NA를 분석하였고, 동시에 nitrite, thiocyanate 및 ascorbic acid가 공존할 경우 NA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하였다. 굴비시료에 인공타액과 위액을 가하여 소화시킨 인공소화물에서는 N-nitrosodimethylamine(NDMA)이 전혀 검출되지 않았으나, nitrite농도를 증가시킬수록 이에 비례하여 NDMA의 생성은 증가하였다. 굴비시료에 thiocyanate를 농도별(0∼6.4 mM)로 첨가하여 인공소화 시킨 결과 nitrite첨가량에 비례하여 NDMA 생성이 증가되었으나, 고농도의 nitrite(100 mM)를 함유한 시료에 thiocyanate를 8mM이상 첨가한 경우에는 뚜렷한 촉매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반면에 10g의 굴비시료에 ascorbic acid를 농도별로 첨가한 인공 소화물에서 NDMA생성억제를 실험한 결과 nitrite농도가 0.5 및 1 mM인 경우에는 NDMA의 생성을 억제시키지 못하였으나 nitrite와 ascorbic acid의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비례적으로 NDMA 생성억제도 뛰어났다.

  • PDF

새우젓 숙성중 아질산염과 아스코르브산이 N-Nitrosamine의 생성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Nitrite and Ascorbic acid on N-Nitrosamine Formation during the Fermentation of Salt-fermented Small Shrimp)

  • 김정균;이수정;성낙주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63-70
    • /
    • 1998
  • 새우에 일정량의 식염, 아질산염, 질산염 및 아스코르브산을 첨가하여 숙성시키면서, NA생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pH는 담금직후 8.1에서 숙성 110일 후 6.5로 산성화되었다. TMAO 질소는 숙성중 감소한 반면, TMA 및 DMA질소는 증가하였다. 아질산염 첨가구는 숙성중 NDMA함량이 증가하였고, 아스코르브 산첨가구는 NDMA생성이 억제되었다. 모델계실험 결과, 새우젓의 니트로소화 최적 pH는 3.5이었고, 아스코르브산은 NDMA생성을 크게 억제시킨 반면 thiocyanate는 촉진시켰다. 본 실험 결과, 새우젓 자체에는 NDMA가 거의 검출되지 않았으나, 질산염이나 아질산염의 함량이 많은 물질과 함께 섭취된다면 위내에서 NDMA가 생성될 가능성이 충분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즉석 식품에서 니트로사민이 검출되는 요인 분석 (Factors Attributing to the Formation of N-Nitrosamines in Instant Food)

  • 서보경;권훈정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14-122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식품을 용기 포장 채로 조리하는 경우 니트로사민의 함량이 증가하는 사례에서 용기 포장에서의 니트로사민이 용출되는지 확인하였다. 조리를 할 수 있는 용기 포장 31종에 대해 각 식품 유형별로 침출용매를 선택하여 단면용출시험을 진행하였다. 용출 시험을 진행한 결과, 용기 포장에서는 NDMA, NDEA, NDBA가 모두 정량 한계 미만으로만 검출되었다. 따라서 용기 포장물질에서 침출용매로의 용출은 미미하였고 침출용매가 아닌 특정 식품에 의한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토마토소스를 제외한 레토르트 시료는 조리 전과 후의 유의적인 함량 차이가 없었으며 컵라면 시료의 경우는 모든 시료에서 조리 전 NDMA가 불검출되었지만 조리 후 NDMA 함량이 trace${\sim}0.93{\mu}g/kg$로 검출되었다. 컵라면의 NDMA 함량 증가 원인을 파악하기 위해 구성요소인 면, 분말스프, 건더기스프, 물을 면밀히 검토하였다. 그 결과, 면과 분말스프를 조합하여 조리한 경우에만 NDMA가 생성되었으며 폴리스티렌 제품의 경우 모든 구성요소를 함께 조리할 때보다는 NDMA 함량이 적게 검출되었다. 따라서 컵라면 시료는 면과 분말스프 내의 니트로사민 전구체가 NDMA 생성에 기여하는 것으로 추정되며 건더기스프도 NDMA 함량 증가에 기여하는 것으로 보였다. 따라서 각 구성요소 내의 전구체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며 조리 중 가열에 따른 반응을 검토하는 후속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추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