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DGPS

검색결과 47건 처리시간 0.029초

DGPS 기준국 신호분석 소프트웨어 (Signal Analysis Software for DGPS Station)

  • 황호연
    • 한국항공운항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8
    • /
    • 2007
  • In this research, algorithm and software for the medium frequency signal analysis of DGPS(Differential Global Positioning System) station were developed. Based on new MF(Medium Frequency) algorithm, the software of NDGPS(National DGPS) signal analysis was developed for coverage analysis. Predicted MF propagation data from this software was compared to the measurement data for the verification of a developed MF algorithm.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techniques including digital map with elevation data were used because MF propagation is closely related to ground conductivity, mountains, building intensity.

  • PDF

우리나라 DGPS 구축 및 운영현황

  • 최영종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06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제2권)
    • /
    • pp.153-156
    • /
    • 2006
  • 국제해사기구(IMO) 권고에 따라 도입된 우리나라의 해양용 DGPS 기준국 구축과 국무총리 훈령에 의거 추진 중인 내륙용 DGPS 기준국의 운영현황 등을 기술하고 DGPS 기준국과 GPS 상시관측소간의 서로 다른 제원에 따른 후처리데이터의 신뢰도 품질체크를 TEQC 프로그램을 통해 비교 ${\cdot}$ 분석했다.

  • PDF

평활화 된 의사거리 및 전리층 지연 추정을 위한 GPS 측정치 잡음 모델링 (Modeling of GPS measurement noise for estimating smoothed pseudorange and ionospheric delay)

  • 한덕화;윤호;기창돈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16권4호
    • /
    • pp.602-610
    • /
    • 2012
  • GPS 신호의 주요 오차 요인 중 전리층 지연 오차는 신호 주파수에 따라 지연량이 달라지는 특성을 가진다. 이중 주파수 사용자는 L1, L2 주파수의 의사거리 측정치의 차이 값을 이용하여 보정하게 되는데, 이렇게 추정된 전리층 지연 추정치에는 의사거리 잡음에 의한 오차가 포함되게 되므로 일반적으로 필터를 통해 의사거리 측정치를 평활화 시킨 후 전리층 지연을 계산하게 된다. Weighted hatch filter는 측정치의 잡음 수준을 고려하여 최적의 평활화 된 의사거리 측정치를 계산해 낼 수 있으나, 이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측정치 잡음에 대한 모델링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NDGPS 기준국들에 대하여 측정치 잡음 모델링을 수행하였다. 그리고 모델링 결과를 바탕으로 weighted hatch filter를 구성하여 평활화 된 의사거리 측정치 및 전리층 지연을 추정한 결과 필터를 적용하지 않은 것에 비하여 전리층 지연 오차의 표준편차가 1/25 가량으로 줄어드는 것을 확인하였다.

중파대역을 사용하는 국내 NDGPS 기준국의 전파 간섭 분석 (Analysis of Radio Interference for Korean NDGPS Reference Station using Medium Frequency Band)

  • 김영완;지석근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6권7호
    • /
    • pp.1344-1349
    • /
    • 2012
  • 국내 DGPS 기준국은 283.5 kHz~325 kHz 대역 주파수를 사용하여 200 bps 의 GPS 보정 신호를 MSK 방식으로 전송하고 있다. 6곳의 내륙기준국은 500 W 출력으로 80 kM 영역을 서비스하며, 11곳의 해안기준국은 300 W 전력으로 185 kM의 광역 지역에 전송된다. 내륙기준국과 해안기준국에 의해 국내 DGPS 서비스 영역은 이중 또는 삼중으로 제공될 수 있다. DGPS 기준국의 고출력 신호 전송으로 기준국간 간섭과 인접 무선국간 간섭 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다중서비스 영역에 위치한 사용자 단말기의 수신 성능은 간섭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국내 DGPS 기준국에 대한 간섭 보호비를 정의하고, 중파대역 전파 모델을 통하여 기준국간 간섭과 인접무선국간 간섭영향을 분석하고 사용자 단말기의 간섭을 분석한다.

국토해양부 NDGPS 정확도 향상을 위한 의사거리 보정치의 이상점 및 노이즈 제거기법 개발 (Development of Removal Techniques for PRC Outlier & Noise to Improve NDGPS Accuracy)

  • 김군택;김혜인;박관동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63-73
    • /
    • 2011
  • DGPS(Differential Global Positioning System) 측위에 보정정보로 사용되는 의사거리 보정치(PRC, Pseudo Range Correction)에는 불규칙적으로 이상점, 노이즈, 이상현상이 발생한다. 이러한 의사거리 보정치를 보정정보로 사용한 DGPS 측위의 경우 측위 오차는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발생되는 의사거리 보정치의 이상점, 노이즈, 이상현상을 다항식 곡선 접합을 적용한 모델링을 통해 검출 및 보정하는 기법을 제안하였다. 또한 의사거리 보정치 모델의 검증을 위해 보정 전 후의 의사거리 보정치를 DGPS 측위에 사용하여 측위오차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이상점, 노이즈, 이상현상이 발생하는 의사거리 보정치를 사용한 측위의 RMS 오차는 수평방향으로 3.84m로 나타났고, 보정된 의사거리 보정치를 사용한 측위에서는 RMS 오차가 수평방향으로 1.49m로 나타나서 측위 정확도가 향상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미국 전국망 DGPS 서비스 전망과 고찰

  • 김영기;박상현;서기열;이승철;임영민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15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63-265
    • /
    • 2015
  • 미국은 우리나라와 같이 전국망 DGPS 인프라를 운영하고 있는 국가 중에 하나로 DGPS 서비스를 해양분야 뿐만 아니라 육상분야에도 제공하고 있는 대표적 국가이다. 지난 8월 18일 미 정부는 연방공보를 통해 현재 운영 중인 전국망 DGPS 서비스의 대규모 개편 계획을 공표한 바 있다. 공표된 계획에 따르면, 2016년 1월 15일부로 육상에서의 DGPS 서비스는 중단되고, 해양에서의 DGPS 서비스도 크게 영향을 받을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우리나라와 유사한 형태의 DGPS 인프라를 운영하고 있는 미국이 전국망 DGPS 서비스를 개편하게 된 배경과 원인에 대해 살펴본다. 그리고 미국이 공표한 계획의 실행 전망과 쟁점에 대해 알아본다. 마지막으로 미국의 NDGPS 서비스 운영정책 변화가 우리에게 전달하는 시사점을 제시한다.

  • PDF

기준국 네트워크 선정에 따른 GNSS 광역보정시스템 성능 분석

  • 한덕화;윤호;기창돈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13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08-110
    • /
    • 2013
  • GPS 신호에는 여러 가지 오차가 포함되어 사용자가 이를 그대로 이용할 경우 높은 정확도의 위치를 얻을 수 없다. 따라서 신호의 오차를 제거하고 높은 위치 정확도를 얻기 위하여 여러 가지 보정시스템들이 개발되어왔다. 그 중에서 광역보정시스템은 여러 개의 기준국 네트워크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하여 3차원 위성궤도 오차, 위성 시계오차, 서비스 지역의 전리층 지연 오차를 추정하여 사용자에게 보정정보를 제공한다. 사용자는 보정정보를 수신하여 자신의 위치에 맞는 오차정보를 계산하여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이러한 광역보정시스템의 성능은 기준국의 배치에 따라 차이를 보일 수 있으므로 적절한 기준국 선정을 위해서는 기준국 네트워크 변화에 따른 성능 분석이 필수적이다. 본 논문에서는 국토해양부 NDGPS 기준국 중에서 후보군을 선정한 후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기준국 네트워크 변화에 따른 사용자 정확도, 가용성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실제 기준국에서 수집된 측정치를 처리하여 성능분석을 수행하였다.

  • PDF

Propagation Analysis of DGPS Antenna for Radial Ground and Obstacle

  • Kim, Young-Wan
    • Journal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convergence engineering
    • /
    • 제9권4호
    • /
    • pp.363-368
    • /
    • 2011
  • The DGPS transmits the enhancement signal to GPS using the medium frequency band. The NDGPS service that covers the Korean peninsula has been started since 2009. The service area of ocean-based DGPS(maritime-DGPS) reference stations covers the 100NM, but land-based DGPS(land-DGPS) covers 80km service area less than that of maritime DGPS. The DGPS's antenna has the top-loaded monopole antenna type. Top-loaded monopoles are the logical antennas to be used in order to get a low profile antenna and a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broadcaster and communication needs. The antenna needs to get the ground plane with good conductivity characteristics and flat ground plane without obstacle near to the transmitting antenna. In this paper, the radiation characteristics of an equivalent MF antenna are analyzed in view points of the ground conductivity and the ground plane with obstacle near to the antenna.

RF 신호 수집/방송 장치를 활용한 의사위성 기반 광역보정시스템의 후처리 성능 검증 (Performance Verification of Psudolite-based Augmentation System Using RF signal logger and broadcaster)

  • 한덕화;윤호;김종원;김오종;기창돈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391-397
    • /
    • 2014
  • 광역보정시스템은 GPS와 같은 위성항법을 이용하는 사용자의 정확성, 무결성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고안된 시스템이다. 본 논문에서는 개발된 의사위성 기반의 광역보정시스템의 전체 구조에 대하여 설명하고, 후처리 기반으로 상용 수신기에 대하여 성능 테스트를 수행하는 실험 방법 및 결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보정정보 생성을 위하여 총 5개의 NDGPS 기준국에서 수집되는 데이터가 활용되었으며 이를 광역기준국, 중앙처리국 소프트웨어에서 처리하였다. 생성된 보정정보는 SP3, IONEX 데이터와 비교하여 정확도를 테스트하였다. 상용 수신기 실험에서는 사용자의 RF 신호를 수집, 보정정보를 생성하였으며, 이후에 RF신호와 보정정보가 실린 의사위성 신호를 동시에 방송하여 테스트를 수행하였다. 테스트는 3대의 상용수신기를 활용하여 수행되었으며 MSAS, GPS 단독 측위 수신기와 비교하여 성능을 검증하였다. 각 수신기의 위치해 출력 결과로부터 위치오차를 비교하였으며 보정정보를 적용함으로써 향상된 위치해가 출력됨을 확인하였다.

비행기지 PAR을 이용한 DGPS 공항 접근 및 착륙 정확도 분석 (Analysis of DGPS Approach and Landing Accuracy using Air Base Precision Approach Radar)

  • 구정;표상호;강경성;김기형
    •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 /
    • 제14권5호
    • /
    • pp.788-797
    • /
    • 2011
  • This paper analyzes the accuracy on the approach and landing of aircraft to an airport through comparison with airbase Precision Approach Radar and aircraft track data of DGPS equipped in aircraft. The proposed analysis result could be a basis for verifying the possibility that DGPS can be utilized in Airbase precision approach and landing. Position identification capability of widely used commercial DGPS is fairly accurate on latitude and longitude, while there is a slight error for being used in an airbase accurate approach and landing of Category I precision when it comes to altitude. Thus, we tested accuracy by analyzing actual flight track data of high performance aircraft to verify the accuracy of the airbase approach and landing using DGPS. Through the research, we developed instrumentation to compare PAR track data with DGPS track data, which can be used in reducing the number of PAR verification Flight utilizing it as a system measuring PAR accuracy at PAR installation pha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