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ATURAL DECIDUOUS FOREST

검색결과 196건 처리시간 0.021초

강원도 춘천지역 낙엽활엽수림에서의 수분이동에 따른 양분동태 (Nutrient Dynamics through Water Transport in Natural Deciduous Hardwood Forests in Chunchon, Kangwon Province)

  • 진현오;손요환;이명종;박인협;김동엽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6권1호
    • /
    • pp.13-18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강원도 춘천지역 낙엽활엽수림(굴참나무, 신갈나무)에서의 강우의 이동에 따른 수량, 용존원소 농도 및 물질량 등을 조사하였다. 임외우량에 대한 각 강우량의 비율은 굴참나무임분이 신갈나무임분에 비하여 수관통과우에서 2∼3%, 그 외의 강우에서 10∼15%의 증가량을 나타내고 있었다. 임외우에 비하여 수관통과우에서는 K/sup +/농도가, Ao층통과우에서는 Ca/sup 2+/, Mg/sup 2+/, NO₃/sup -/농도가 현저하게 증가하였는데, 이는 전자의 원소농도에서는 수관으로부터의 용탈, 후자의 원소농도에서는 Ao층으로부터의 용탈 및 질산화 작용에 기인한 것이라 판단된다. 수관통과우, Ao층통과우 및 A, B층토양수에 있어서 원소농도는 수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는데, 특히 K/sup +/, Mg/sup 2+/, Cl/sup -/농도에서 현저하였다. Ao층통과우의 Ca/sup 2+/에서 굴참나무임분이 신갈나무임분에 비하여 1.5배 정도 높은 값을 나타낸 것 이외에는 다른 강우의 물질량에 있어서는 임분 간 뚜렷한 차이는 없었다. 연간 수간류 물질량은 임상으로 도달하는 강우(수관통과우+수간류)물질량의 10% 미만이었는데, 양적인 면으로 보아 물질순환 과정에 있어서 수간류의 비중은 작다고 판단된다.

산림식생유형에 따른 조류 종다양성 분석 (Bird Species Diversity Analysis According to the Type of Forest Vegetation)

  • 박인환;김유훈;조광진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5권6호
    • /
    • pp.43-52
    • /
    • 2012
  • For this paper, a study targeting 9 forest patches in Dangjin to suggest for the wild birds, was conduct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emergence of wild birds and the forest vegetation was analyzed, and the patterns of forest vegetation for the improvement of species diversity were suggested by classifying wild birds and foraging guild by the type of forest vegetation. As for the characteristics of the wild birds emerged, more species and bigger population appeared in the vegetation type of mixed stand forest where the natural deciduous broadleaf trees and evergreen needleleaf trees coexisted in the large scale vegetation area. Thus, it was known that the advent of summer migratory birds and resident birds were affected the most by forest patches and vegetation types. As for foraging guild, the larger the forest paches the more the species and the population of the wild birds inhabiting in shrubs and bushes.

산지형 체험테마공원 조성을 위한 환경생태계획 및 훼손저감 기법 연구 (Ecological Planning and Mitigation of Deterioration Technique for Plan of Mountainous Experience Theme Park)

  • 이수동;강현경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142-163
    • /
    • 2009
  • Taebaek city is located in the mountainous plateau area therefore the major industry was coal industry. According to dramatically declining of the major industry, Taebaek city is need to alternative industry which associated with considering the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natural tourism resources for increasing the local economy. On the basis of these reasons, this study can be suggested ecological planning and mitigation of deterioration technique about the these study site. That is the reserved area for mountainous experience theme park. As the results of environmental ecology assessment are following as; The natural ecosystem areas, multi-layer structure forest such as forest of Pinus densiflora, forest of Quercus mongolica and deciduous forest have a high value of nature, diversity and potential. In addition, wild bird habitats were important area as a inhabitation, breeding, feeding and hiding. Therefore, on these areas should be preserved. Also, it needs to conserve on there such as more than three types of wild bird inhabitate areas, the fringe of high biological diversity, the wetland that have got good vegetation condition and the function of amphibia, reptiles crossing. In addition, inhabitation, the waterway of wetland form that have got wide waterside width needs to conserve. In conclusion, on the basis of analysis results such as conditions of plan, environment, ecological assessments, survey informations are able to suggest the connectivity of the axis of forest and management plan. Moreover, in the part of forest restoration plan, we suggest the plan of transplant for a compensation of damaged forest by land use.

Environmental Factors Influencing Tree Species Regeneration in Different Forest Stands Growing on a Limestone Hill in Phrae Province, Northern Thailand

  • Asanok, Lamthai;Marod, Dokrak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2권3호
    • /
    • pp.237-252
    • /
    • 2016
  • Improved knowledge of the environmental factors affecting the natural regeneration of tree species in limestone forest is urgently required for species conservation. We examined the environmental factors and tree species characteristics that are important for colonization in diverse forest stands growing on a limestone hill in northern Thailand. Our analysis estimated the relative influence of forest structure and environmental factors on the regeneration traits of tree species. We established sixty-four $100-m^2$ plots in four forest stands on the limestone hill. We determined the species composition of canopy trees, regenerating seedlings, and saplings in relation to the physical environment. The relationships between environmental variables and tree species abundance were assessed by canonical correspondence analysis (CCA), and we used generalized linear mixed models to examine data on seedling/sapling abundances. The CCA ordination indicated that the abundance of tree species within the mixed deciduous forest was closely related to soil depth. The abundances of tree species growing within the sink-hole and hill-slope stands were positively related to the extent of rocky outcropping; light and soil moisture positively influenced the abundance of tree species in the hill-cliff stand. Physical factors had a greater effect on tree regeneration than did factors related to forest structure. Tree species, such as Ficus macleilandii, Dracaena cochinchinensis, and Phyllanthus mirabilis within the hill-cliff or sink-hole stand, colonized well on large rocky outcroppings that were well illuminated and had soft soils. These species regenerated well under conditions prevailing on the limestone hill. The colonization of several species in other stands was negatively influenced by environmental conditions at these sites. We found that natural regeneration of tree species on the limestone hill was difficult because of the prevailing combination of physical and biological factors. The influence of these factors was species dependent, and the magnitude of effects varied across forest stands.

활엽수(闊葉樹) 천연림(天然林) 지역(地域)에서 서식지(棲息地) 구조(構造)에 따른 소형(小型) 포유류(哺乳類) 개체군(個體群)의 차이(差異) (Differences in Small Mammal Populations Due to Different Habitat Structure in Natural Deciduous Forest)

  • 임신재;이우신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8권2호
    • /
    • pp.179-184
    • /
    • 1999
  • 이 연구는 강원도 평창군 내 국유림의 활엽수 천연림 지역을 대상으로 하여 산림 작업에 의해 변화된 서식지 구조에 따른 소형 포유류 개체군의 차이를 파악하고자 1996년 5월에서 11월까지의 기간 동안 조사를 실시하였다. 소형포유류를 4주 간격으로 생체포획용 덫을 사용하여 7회에 걸쳐 포획-재포획 법을 통해 포획을 실시하였다. 조사지역에서는 흰넓적다리붉은쥐(45.1%, n=64)와 대륙밭쥐(54.9%, n=78)의 2종이 포획되었는데, 흰넓적다리붉은쥐는 벌채지와 비벌채지에서, 대륙밭쥐는 간벌지와 비벌채지에서 각각 포획되었다. 월별 포획된 소형 포유류의 개체수를 비교한 결과 비벌채지에서 가장 높았으며, 벌채지에서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월별 포획된 지역별 개체군의 동태 역시 같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조사지역별로 성숙 개체들의 체중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흰넓적다리붉은쥐의 경우 벌채지보다 비벌채지에서, 대륙밭쥐의 경우 간벌지보다 비벌채지에서 포획된 개체들의 체중이 무거운 것으로 나타났다. 서식지 구조에 따라 소형 포유류 개체군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를 통해 서식지의 산림환경구조가 소형 포유류의 종 구성 및 서식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 PDF

내설악 전나무 고목림에 존재하는 고사목에 관한 기본 자료조사 (A Basic Survey about Dead Tree of Old Korean Fir Stands in Mt. Sorak)

  • 장동원;윤영일
    • 환경생물
    • /
    • 제21권3호
    • /
    • pp.251-256
    • /
    • 2003
  • 내설악의 5개 전나무 고목림에서 고사목의 형태, 수종, 축적 등에 관한 다양한 기본자료를 수집하였다. 비록 전나무 고목림에 한정된 조사였으나 국외에서 일반적으로 알려진 고사목에 관한 각종 자료수집이 가능하였다. 고사목의 수종은 전나무 외에도 기타 활엽수종이 약간 나타났으며, 고사목의 형태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모든 형태가 두루 나타났다. 고사목의 축적은 평균 60.42 $\textrm{m}^2 \; ha^{-1}$로 나타났으며, CWD와 고사목의 분포는 서로 관련이 없어 보인다.

인삼의 광환경과 생리반응 I.자생지. 임간 및 일복 재배에서 광경험과 광조절 방법의 변천 (Light environment and physiological response of Panax ginseng I. Experience on light in natural habitat,through cultivation under forest and artificial shade, and change of light control technique)

  • 박훈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7권2호
    • /
    • pp.172-192
    • /
    • 1983
  • Light environment and growth of Panax ginseng In habitat and cultivation under natural shade were renewed. Grower's experiences on ginseng stand In relation to light environment were assessed. Change of shading method and grower's concepts on light requirement of ginseng plant in Korea, Manchuria and Japan was counted. Growth of wild ginseng was better under rich light. Optimum crown density index appeared to be 0.7 In natural habitat and 0.4 to 0.7 for the cultivation in forest. Change of light Intensity in forest was greatest in May and reached near to constant value (from 40% to 3% for broad leaf deciduous forest and loom 4% to 2% for pine forest). Insufficient light condition induced long and thin stem, poor flowering and seed bearing, and sequent dormancy. Relation between light and ginseng strand was not clear but light Interception with cool weather was effective. Topography and orientation of bed have been deeply considered for light environment. Panel or bark of won were used for shading in deep forest manly In Manchuria while reed blind and straw thatch were used in Korea. Kinds and number of shades material and seasonal or daily schedule have been simplified probably by labor pressure due to eulargement of plantation. Post height has been greater while width of roof, bed and ditch has changed lisle. Scientific survey in the past omitted important light control methods (complete light hardening etc) which has been practiced in specific areas. The concept and technique of light control in the past in Korea were delicate and intensive including the control of temperature and moisture. For the application of old concept in modem cultivation precise Investigation of the technique including the measurement of light, temperature and moisture is needed.

  • PDF

월악산국립공원 영봉 일대 삼림식생의 군락분포에 관한 연구 (Community Distribution on Mountain Forest Vegetation of the Youngbong Area in the Worak National Park, Korea)

  • 이정윤;오장근;장인수;김하송
    • 생태와환경
    • /
    • 제48권1호
    • /
    • pp.51-60
    • /
    • 2015
  • 본 연구는 2014년 5월부터 2014년 12월까지 국립공원자원모니터링 기본조사 자료의 활용성을 높이고 국립공원 관리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고축척 식생전자지도 필요성에 따라 1/5,000 축척의 생태자연도 정밀화 사업의 일환으로 수행되어졌다. 식생조사 결과가 반영된 정밀식생도 중 월악산국립공원 영봉 (해발고도 1,094 m) 일대의 산지삼림식생은 산지낙엽활엽수림, 산지침엽수림, 산지습성림, 식재림으로 세분되었으며, 평지삼림식생은 하반림, 기타식생은 암벽식생, 2차초지, 벌채지 등으로 세분되었다. 상관대분류에 의하여 구분된 각각의 산지삼림식생을 구성하고 있는 분포군락수는 산지낙엽활엽수림은 39개 군락, 산지습성림 26개 군락, 산지침엽수림 6개 군락, 식재림 11개 군락, 하반림 2개 군락, 기타식생 7개 군락이 조사되었다. 조사된 주요 군락의 분포 비율을 보면 산지낙엽활엽수림은 신갈나무군락이 $14,783,125.69m^2$의 26.315%로 가장 높은 분포 비율로 조사되었고, 굴참나무군락이 $8,180,713.97m^2$의 14.564%를 차지하고 있으며, 영봉일대 산지낙엽활엽수림의 40.879%는 신갈나무와 굴참나무가 우점 또는 차우점종으로 분포하고 있다. 산지침엽수림은 소나무 군락이 전체의 75.618%로써 대부분의 산지침염수림은 소나무 1종이 상층부에서 우점종으로 나타나는 군락의 양상을 나타내고 있다. 산지습성림은 들메나무-층층나무군락이 전체의 25.628%를 차지하고 있으며, 들메나무와 상층부의 식피율이 비슷하여 혼생군락을 이루고 있는 군락은 6개 군락으로 전체의 50.770%를 차지하고 있다. 식재림은 일본잎갈나무가 식재림 전체의 77.175%로 가장 많이 식재되었으며, 밤나무가 7.149%, 리기다소나무가 4.494%, 잣나무가 4.410%로 4개 수종이 전체의 93.228%로 대부분이 이들 4종에 의하여 분포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월악산국립공원 영봉 일대의 삼림식생은 신갈나무, 소나무, 굴참나무, 들메나무, 졸참나무 등 소수의 수종들이 최상층부의 우점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 종들과 관련된 수많은 군락들은 식생천이 및 기후적 요인들에 의하여 군락 대체가 매우 빠르게 일어날 것으로 보이고, 잠재 자연 식생의 주요종 중 산지낙엽활엽수림은 신갈나무와 굴참나무, 산지습성림은 들메나무와 물푸레나무 등에 의하여 우점할 것으로 보이며 점차적으로 낙엽활엽수의 분포비율이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월악산국립공원에 대한 식생연구는 식물군락과 관련된 조사가 비교적 연구되어 왔으나 식생도 관련 연구는 다소 미흡한 실정으로 기존에 발표되었던 월악산 식생도 관련 연구(Korea National Park Service, 2006)에 비해 고해상도 영상자료 등 많은 자료를 참고하여 크게 보완 향상된 상세한 결과를 도출하였다.

식물사회학적 특성을 고려한 남산공원 식생의 관리대책 (Vegetational Management Planning of the Namsan Nature Park in Seoul on the Basis of Phytosociological Characteristics)

  • 오구균;이경재;임경빈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77권1호
    • /
    • pp.1-9
    • /
    • 1988
  • 서울시 남산자연공원(南山自然公園)의 식물사회학적 특성을 고려한 식생관리대책을 제시하기 위하여 Belt-transect 법(法)과 방형구법(方形區法)으로 표본조사를 실시하여 남서-북동사면간 식생구조, 주요식물간 경쟁(競爭), 인공조성식생(人工造成植生)의 구조를 분석했으며, 이러한 결과와 기 발표된 결과를 토대로 권역별(圈域別) 식생관리대책(植生管理對策)을 제시했다. 남서사면의 출현 종수(種數), 개체수(個體數)가 북동사면보다 높았으나, 종다양성(種多樣性)은 북동사면이 1.0수준으로 남서사면(0.8~1.3) 보다 안정되었다. 양사면간 상이도(相異度) 및 식물상이도계수(植物相異度係數)(FDC)는 70~80%로서 종구성(種構成)이 이질적이었으며 북동사면에는 신갈나무, 남서사면에는 소나무가 우점종이었다. 주요 수종간 경쟁관계에서는 아까시나무>은사사나무>소나무, 신갈나무>활엽수>소나무, 낙엽활엽수>아까시나무 순(順)으로 우세하였다. 남산에 식재된 조림수종 특히, 잣나무, 젓나무, 독일가문비나무 등의 생육상태가 매우 불량하였으며, 인공조림수종들의 추수(推樹)발생지역에서의 밑깍기작업은 종다양성(種多樣性)을 증대시키는 역할을 하였다. 인공조성식생(人工造成植生)의 군집구조는 기존 자연식생과 상이(相異)하여 생태계의 천이를 방해하고 있었다. 남산자연공원의 관리는 기존 자연생태계를 보존(保存)하되, 필요시 생태계의 천이를 발전시키는 최소한의 인위적(人爲的)관리를 관리목표로 설정하고 6개 식생관리권 즉, 소나무림지역, 신갈나무림지역, 낙엽활엽수림지역, 인공조림지역, 아까시나무림지역 및 조경수목식재지역별 관리대책을 제시하였다.

  • PDF

천연활엽수림(天然闊葉樹林)에서의 수종간(樹種間) 상관관계(相關關係)와 공변이관계(共變異關係)의 분석(分析) (Analysis of Inter-Species Association and Covariation in a Natural Deciduous Forest)

  • 김지홍;권기현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0권4호
    • /
    • pp.360-368
    • /
    • 1991
  • 신갈나무와 굴참나무가 우점종(優占種)인 활엽수림(闊葉樹林)에서 출현하는 37가지 목본식물(木本植物)에 대한 수종간(樹種間) 상관(相關)(association) 관계(關係)와 공변이(共變異)(covariation) 관계(關係)를 $X^2$ 검정(檢定)을 이용하여 분석(分析)하였다. 50개의 $20m{\times}20m$ 정방형(正方形) 표본구내(標本區內)에서 각 수종(樹種)의 출현(出現) 비출현(非出現)이 매개변수(媒介變數)가 되는 상관관계(相關關係)를 분석(分析)한 결과, 단풍나무는 고로쇠나무 및 음나무와 고도(高度)(${\alpha}$=0.01)의 정(正)의 상관관계(相關關係)를 갖고 있으나, 소나무와는 고도(高度)의 부(負)의 상관관계(相關關係)를 갖고 있었다. 졸참나무와 음나무, 참회나무와 노린재나무, 노린재나무와 다릅나무, 다릅나무와 산벚나무, 그리고 생강나무와 느릅나무는 상호 정(正)의 상관관계(相關關係)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각 수종(樹種)의 밀도(密度)와 흉고단면적(胸高斷面積)으로 비교된 공변이(共變異)의 분석(分析) 결과는 상관관계(相關關係)와 매우 부합되는 바가 많았다. 더우기 표본구(標本區)에 생존(生存)하는 수종(樹種)의 개체수(個體數)와 흉고단면적(胸高斷面積)이 매개변수(媒介變數)가 됨으로써 상관관계(相關關係)보다는 공변이관계(共變異關係)를 맺고있는 수종(樹種)들의 쌍(雙)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천이(遷移)의 초기(初期) 혹은 중반단계(中盤段階) 수종(樹種)인 소나무는 대부분의 천이(遷移) 후기(後期) 수종(樹種) 혹은 극성상(極盛相) 수종(樹種)들과 부(負)의 공변이관계(共變異關係)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러한 생태학적(生態學的)인 정보(情報)들은 생태계(生態界) 분류(分類), 활엽수(闊葉樹) 혼효림(混淆林) 조성(造成), 그리고 미래목 선정등의 보육(保育)작업에 응용할 수 있을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