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ATIONAL PARK VISITOR SURVEY

검색결과 69건 처리시간 0.025초

변산반도국립공원 탐방객의 환경 해설 매체 이용평가 (Visitors' Evaluation of Interpretive Media in Byeonsanbando National Park, Korea)

  • 조우;최송현;유기준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27-134
    • /
    • 2009
  • 본 연구는 변산반도국립공원에서 활용되고 있는 각종 환경해설 매체에 대한 탐방객 인식을 파악하여 효율적인 공원관리 기초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탐방객 직접기입 방식의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총 291매의 설문지가 유효 표본으로 이용되었다. 조사결과 '탐방지원센터 전시물'이 가장 이용률이 높은 환경해설 매체로 나타났으며 '수목이름 해설판', '자연해설 프로그램'은 비교적 높은 이용률을 보였다. 그러나 공원안내지도'는 이용 효율성이 떨어지는 매체로 평가되었다. 공원내 환경해설 매체에 대한 중요도-성취도 분석 결과 중요도 평균값은 3.64, 성취도 평균값은 3.03으로 치악산과 월출산국립공원에서 조사한 결과보다 낮았다.

오대산 국립공원의 자연해설 활성화에 대한 연구 (The Study of Activation on Nature Interpretation for Odae Mountain National Park)

  • 조태동;주수현;조현주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4권5호
    • /
    • pp.451-455
    • /
    • 2005
  • Surveys for visitor's awareness and on-the-spot investigations at Odae Mountain National Park were conducted for activation of nature interpretation. As a result, many problems on observation trails as the object of the nature interpretation were identified. The nature interpretation is not functioning fully for the side of environmental education. The situation and problems of nature interpretation were analyzed in depth based on the survey of the visitors. In order to improve roles of the nature observation trails and solve the present problems immediately, suggestions are as the followings. I) Road resurfacing and space development needed to solve the problems of existing nature observation trail. 2) Public relations for nature observation trail and production of signboards promoting visitor's interest. 3) Development of nature observation trail used only for nature interpretation 4) Development of adequate Korean interpretation program based on systematic nature interpretation models from other developed countries

일본 국립공원에 있어서 경관파괴 및 침해에 관한 연구 (A Study on Landscape Destruction and Intrusion at National Park in Japan)

  • 배중남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316-325
    • /
    • 1997
  • 일본의 28개 전 국립공원에 있어서 언제, 어디서, 어떠한 경관파괴나 침해문제가 발생하였는가 그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자연환경 전문지를 대상으로 문헌조사하여 문제발생을 요인별, 지역별 그리고 시기별로 정리, 분석하였다. 그 결과, 경관파괴나 침해를 발생시킨 요인으로는 대규모 댐건설, 임업에 의한 작업, 각종 관광시설의 정비, 공원이용자에 의해 발새오디는 문제, 공원계획과 관리상에서 발생되는 문제 등의 8가지 요인군으로 지적할 수 있었다. 한편, 시기별로는 경관문제의 발생건수나 특정지역에서 집중적으로 발생하는 등 4기(1960~1967, 1968~1975, 1976~1985, 1990초반)로 구분할 수 있었고, 특히, 1960년대 후반부터 1970년대 전반에 걸쳐서는 전국적으로 모든 국립공원에서 다양한 경관문제가 발생하였다. 지역별 특성은 本州 중앙(관동지방, 중부지방)에 위치하는 부상상한윤두, 日光, 中部山岳 등의 국립공원에서 경관문제가 다른 지역에 비하여 지속적으로 많이 발생했다. 그 원인으로는 이용객의 지속적인 증가, 고도성장과 산업발전, 국민관광 레크레이션붐, 관광시설의 대규모화, 삼림벌채 등의 임업작업, 1962년과 1969년 2회에 걸친 전국종합개발계획의 실시, 임해매립지에 의한 대규모 공업단지 조성, 모터제너레이션의 발달 등이 활발히 이루어진 사회적 배경 등을 지적할 수 있었다.

  • PDF

북한산국립공원 계곡 내 인공구조물에 대한 경관선호 분석 - 바닥막이, 기슭막이, 낙차공을 중심으로 - (Analysis of Scenery Preference of the Artificial Structure in Valley within Bughansan National Park - With a Special Reference on Stream Grade-Stabilization Structure, Revetment and Drop fall Structure -)

  • 박재현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21-32
    • /
    • 2005
  • Questionnaire survey from 101 visitors and 77 specialists was carried out to establish the management plan on landscapes of the artificial structure constructed in valley within Bughansan National Park. When comparison was made between ground sill work structure and valley landscape, visitor group responded to the highest scores in valley landscape after planting of vine species in the bottom of the constructure, while specialist group responded to valley landscape after the removal of the constructure. When it made a comparison between revetment work constructure and valley landscape, visitor group responded to highest scores in valley landscape after planting of vine species in the top of the constructure, while specialist group responded to valley landscape after replacing concrete revetment by stone revetment constructure. When it made a comparison between fall work constructure and valley landscape, both groups responded to the highest scores in valley landscape after the removal of the constructure. According to the valley landscape analysis, artificial constructures built in water channel should be matched to adjacent landscape with the removal of concrete constructure. The slope of water channel should be considered to build fall work constructure.

월출산국립공원 탐방객의 환경해설 매체에 대한 탐방객 태도 (Visitors' Attitudes about Interpretive Media in Weolchulsan National Park)

  • 조우;유기준;김동필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43-152
    • /
    • 2006
  • 본 연구는 월출산국립공원에서 자기안내식 환경해설 방식으로 활용되고 있는 각종 해설매체에 대한 탐방객 인식을 파악하여 효율적인 공원관리 기초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탐방객 직접기입 방식의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총 196매의 설문지가 유효표본으로 이용되었다. 조사결과 '공원 이용자원 안내판'이 가장 이용률이 높은 환경해설 매체로 나타났으며 탐방로변 수목해설판, 탐방로변 문화자원 해설판, 자기안내식 자연관찰로도 비교 적 높은 이용률을 보였다. 그러나 공원안내지도, 정보게시판, 공원정보제공 LED사인, 간이탐방안내소내 전시물 등은 이용의 효율성이 떨어지는 매체로 평가되었다. 공원내 환경해설 매체에 대한중요도-성취도 분석에서는 전체적으로 높은 중요도와 이에 대한 긍정적인 성취 수준의 응답경향이 나타났다.

국립공원 탐방로 이용에 대한 이용객 인식 -북한산, 치악산국립공원을 중심으로- (Visitors' Perceptions on Trail Use in Korean National Parks -Case Studies in Bukhansan and Chiaksan National Park-)

  • 유기준;권태호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437-445
    • /
    • 2004
  • 본 연구는 효율적인 국립공원 탐방로 관리를 위해 탐방로 이용행태 및 이용 관련 탐방객 인식을 파악하여 탐방로 이용 기초자료의 제공에 목적을 두고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북한산 및 치악산국립공원의 주요 탐방로에서 이용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조사대상 두 국립공원의 탐방로에는 수목 뿌리 노출. 암석 노출, 노폭확대가 주요 훼손유형으로 나타났으며 경사지의 시설도입 및 정비와 훼손된 노면의 정비가 가장 필요한 관리 및 정비의 우선순위로 지적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살펴볼 때, 입지적 특성과 이용목적에 따라 훼손유형이 다르게 나타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탐방로 정비 및 관리 우선순위도 차별적으로 적용되어야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결과는 국립공원 탐방로 관리방안 마련에 있어 유용한 기초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지리산국립공원 자연관찰로 이용행태와 만족도에 관한 연구 (Visitors' Behavior and Their Satisfaction on Nature Trails in Mt. Jiri National Park)

  • 조규남;문현식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3권1호
    • /
    • pp.9-16
    • /
    • 2009
  • 본 연구는 지리산국립공원 자연관찰로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한 기초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자연관찰로 이용자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용자들의 사회경제적 특성은 다른 국립공원 방문객을 대상으로 한 기존의 연구결과와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연관찰로에 대한 정보에 대해서는 응답자의 44.4%와 22.6%가 각각 다른 이용자와 공원 안내판을 이용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유평과 하동 지역은 응답자의 대부분이 가족과 함께 방문하였으나 중산리와 백무동 지역은 단체관광의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자연관찰로 방문의 주된 목적은 지역별로 다르게 나타났는데 유평과 하동 지역은 도시로부터 벗어나기 위함이었고 중산리와 백무동 지역은 하이킹과 등산을 즐기기 위해서였다. 전체 응답자의 63.7%는 자연관찰로의 길이가 적당하다고 응답하였으나 40% 정도의 응답자는 자연관찰로의 길이는 2km 이하가 적당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전체 응답자의 37.5%가 자연해설프로그램을 체험할 수 있는 다른 프로그램에 참여하기를 희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지리산국립공원 자연관찰로의 기능증진이 강구되어야 할 것으로 나타났다.

국립공원 입장료에 대한 이용객 의식 조사 - 속리산국립공원 이용객을 대상으로 - (A Survey on the Visitor's Cognition of Admission fee in National Park - The Case Study of Songnisan National Park -)

  • 김용근;조중현;박태희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261-270
    • /
    • 2002
  • 본 연구는 국립공원의 실수요자인 이용객들의 현행 입장료 징수체계에 대한 인식을 조사.분석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속리산국립공원을 찾은 이용객들을 대상으로 사회경제적 특성, 방문유형과 이용행태, 현행 국립공원 입장료 징수체계에 대한 인식 등을 주요내용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회수된 345부의 설문지 중 유효표본은 339부였다. 응답자들의 사회경제적 특성과 방문유형, 방문목적 등은 다른 국립공원 이용객 조사에서 나타난 결과와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응답자들의 대부분은 국립공원 입장료가 인상 여부와 징수된 입장료의 사용처에 대해서 인지하지 못하였으며, 현재 입장료의 수준에 대해서 '비싸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이들 대부분은 국립공원 입장료에 문화재 관람료가 포함되어 있다는 사실을 인지하고 있었으나 입장료의 합동징수에 대해서는 강한 반대의사를 나타냈다. 국립공원 문화재의 범위를 '사찰경내에 있는 불교문화재'라고 인식하는 응답자와 '사찰과 사찰주변의 문화재뿐만 아니라 울창한 삼림도 포함하는 광의적 개념'이라는 응답자가 비교적 대등하게 나타난 반면 문화재 관람료 징수에 대해서는 역시 부정적인 인식이 강하게 나타났다.

속리산 국립공원의 이용객이 야생조류 서식에 미치는 영향 (User′s Effects on Avifauna in Sokri Mountain National Park)

  • 이우신;이준우;김준선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51-62
    • /
    • 1990
  • 본 연구는 속리산 국립공원을 대상으로 이용객이 야생조류의 서식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조사를 위하여 주등산로, 부등산로, 등산금지구역 등 총 4개의 조사지를 설정하여, 1989년 12월부터 1990년 10월 사이 4회에 걸쳐 line transect방법으로 조사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관찰된 야생조류는 텃새 23종, 여름철새 7종, 겨울철새 2종, 나그네새 4종의 총 36종 570개체로 평균서식밀도는 2.35마리/ha이었다. 주요 우점종은 박새, 쇠박새, 곤줄박이, 동고비의 순이었고. 이용강도가 낮은 지역에서는 박새류의 우점도가 현저하게 떨어지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출현종수, 출현빈도 및 종다양도 모두 이용강도가 높은 지역에서 겨울철이나 봄철보다 이용객이 많아지는 여름철과 가을철에 현저하게 낮아졌으며, 상대적으로 이용강도가 낮은 지역에서는 변동이 적었다. 야생조류의 평균 출현빈도는 3.4회/km이였으며, 겨울철과 봄철에 비해 여름철이 30% 수준으로 감소하였다. 이상과 같이 야생조류의 종수, 종구성, 종다양도 및 출현빈도는 이용객에 의하여 큰 영향을 받고 있으며, 이용객이 집중하는 여름철과 이용강도가 높은 주등산로에서 더욱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용자에 의한 영향이 큰 주등산로와 여름철에 집중적인 이용을 제한하는 등 적극적인 야생조류의 보호대책이 요망된다.

  • PDF

옥외휴양공간에서의 사회적 수용능력연구: 국립공원에서의 혼잡지각의 경로모형 분석 (A Study on Social Carrying Capacity in Outdoor Recreation Setting: An Exploratory Analysis on the Perceived Crowding Path Model in National Park)

  • 박청인
    • KIEAE Journal
    • /
    • 제5권1호
    • /
    • pp.35-42
    • /
    • 2005
  • The primary concerns of recreation plan are to provide visitors with quality of recreational experience and to protect of recreation resources. The quality of recreational experience is often defined in terms of social carrying capacity. The carrying capacity is revealed as perceived crowding. In this respects, measuring perceived crowding is useful tool of social carrying capacity determination. This study is to test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that includes variables affecting perceived crowding. Through an on-site questionnaire survey, 467 visitors on Naejangsan national park were collect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follows. The encounter level on facility area is higher evaluated as crowding factor than other area in the park. It can be concluded that visitor perceived crowding when facility area situates high density use level rather than other areas expose high density use level. In the path analysis, the input variables(attitude, experience, encounter level) on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affect significantly on perceived crowding. Especially, the attitude on the park management polocy is the most affecting factor on perceived crow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