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yxococcus stipitatus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18초

Myxococcus stipitatus의 자실체 형성을 위한 배지 조성 (Formulation of a medium for the fruiting body development of Myxococcus stipitatus)

  • 현혜숙;최주오;안동주;조경연
    • 미생물학회지
    • /
    • 제55권2호
    • /
    • pp.117-122
    • /
    • 2019
  • 점액세균 Myxococcus stipitatus는 순수분리를 위한 농화배양 과정에서는 자연기질 표면에서 자루가 달린 구형 자실체를 형성한다. 하지만 순수 분리된 균주가 이러한 형태의 자실체를 형성하도록 하는 한천배지는 알려져 있지 않다. M. stipitatus DSM 14675 균주는 CYS 평판배지에서 반구형 자실체 유사 구조물을 형성하므로 CYS 배지 성분이 자실체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그리고 이를 기초로 M. stipitatus 세포들이 구에 자루가 달린 자실체를 형성하는 한천배지 조성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또 이와 함께 M. stipitatus DSM 14675 균주가 분산하여 성장하는 액체배지도 개발하였다.

Genetic and Functional Analyses of the DKxanthene Biosynthetic Gene Cluster from Myxococcus stipitatus DSM 14675

  • Hyun, Hyesook;Lee, Sunjin;Lee, Jong Suk;Cho, Kyungyu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8권7호
    • /
    • pp.1068-1077
    • /
    • 2018
  • DKxanthenes are a class of yellow secondary metabolites produced by myxobacterial genera Myxococcus and Stigmatella. We identified a putative 49.5 kb DKxanthene biosynthetic gene cluster from Myxococcus stipitatus DSM 14675 by genomic sequence and mutational analyses. The cluster consisted of 15 genes (MYSTI_06004-MYSTI_06018) encoding polyketide synthases, non-ribosomal peptide synthases, and proteins with unknown functions. Disruption of the genes by plasmid insertion resulted in defects in the production of yellow pigments.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and liquid chromatography-tandem mass spectrometry analyses indicated that the yellow pigments produced by M. stipitatus DSM 14675 might be novel DKxanthene derivatives. M. stipitatus did not require DKxanthenes for the formation of heat-resistant viable spores, unlike Myxococcus xanthus. Furthermore, DKxanthenes showed growth inhibitory activity against the fungi Aspergillus niger, Candida albicans, and Rhizopus stolonifer.

점액세균 Myxococcus stipitatus KYC4013에 의한 생리활성물질 생산 (Production of Bioactive Substances by a Myxobacterium Myxococcus stipitatus KYC4013)

  • 안동주;박수현;이종석;조경연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331-338
    • /
    • 2014
  • 국내 분리 Myxococcus 속 점액세균 207 균주들 중 가장 높은 항진균 활성을 보인 M. stipitatus KYC4013 균주의 배양 추출물을 고분해능 LC-MS로 비교 분석한 결과 melithiazol 유도체로 추정되는 5개 항진균 물질과 phenalamide 유도체로 추정되는 3개 이차대사산물을 생산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Melithiazol 유도체 추정 물질들은 CYS 배지에서 가장 잘 생산되었으며, phenalamide 유도체 추정 물질들은 VY3 배지에서 가장 잘 생산되었다.

Myxococcus stipitatus JW150이 생산하는 세포독성 물질의 분리 및 특성 (Isolation and Properties of Cytotoxic Antibiotics Produced by Myxococcus stipitatus JW150)

  • 안종웅;이정옥
    • 약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108-112
    • /
    • 2002
  • Drug resistance is one of the most significant impediments to successful chemotherapy of cancer. Multidrug-resistance (MDR) is characterized by decreased cellular sensitivity to anticancer agents due to the overexpression of P-glycoprotein. By employing a resistant subline of HCT15 to adriamycin (CL02), we undertook the screening for agents which were effective to multidrug-resistant cancer cells. As a result, a myxobacterial strain JW150 was selected for study since an activity against CL02 cells was discovered in the strain. Cytotoxicity-guided fractionation of the culture broth led to the isolation of cystothiazole A and melithiazole F. The producing organism was identified as Myxococcus stipitatus by taxonomic comparison with type strains of Myxococcus sp. as well as its morphological and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Cystothiazole A and melithiazole F demonstrated potent cytotoxicity against certain human cancer cells with $IC_{50}$ values ranging from 0.03~ $0.72{\mu}{\textrm{g}}$/ml. Both compounds were interestingly as active against drug-resistant sublines CL02 and CP70 as against the corresponding parental cells.

Identification of the Phenalamide Biosynthetic Gene Cluster in Myxococcus stipitatus DSM 14675

  • Park, Suhyun;Hyun, Hyesook;Lee, Jong Suk;Cho, Kyungyu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6권9호
    • /
    • pp.1636-1642
    • /
    • 2016
  • Phenalamide is a bioactive secondary metabolite produced by Myxococcus stipitatus. We identified a 56 kb phenalamide biosynthetic gene cluster from M. stipitatus DSM 14675 by genomic sequence analysis and mutational analysis. The cluster is comprised of 12 genes (MYSTI_04318- MYSTI_04329) encoding three pyruvate dehydrogenase subunits, eight polyketide synthase modules, a non-ribosomal peptide synthase module, a hypothetical protein, and a putative flavin adenine dinucleotide-binding protein. Disruption of the MYSTI_04324 or MYSTI_04325 genes by plasmid insertion resulted in a defect in phenalamide production. The organization of the phenalamide biosynthetic modules encoded by the fifth to tenth genes (MYSTI_04320-MYSTI_04325) was very similar to that of the myxalamid biosynthetic gene cluster from Stigmatella aurantiaca Sg a15, as expected from similar backbone structures of the two substances. However, the loading module and the first extension module of the phenalamide synthase encoded by the first to fourth genes (MYSTI_04326-MYSTI_04329) were found only in the phenalamide biosynthetic gene cluster from M. stipitatus DSM 14675.

Myxococcus stipitatus DSM 14675의 melithiazol 생합성 유전자 분석 (Analysis of the Melithiazol Biosynthetic Gene Cluster in Myxococcus stipitatus DSM 14675)

  • 현혜숙;박수현;조경연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391-399
    • /
    • 2016
  • Melithiazol은 점액세균 Melitangium lichenicola, Archangium gephyra, Myxococcus stipitatus에 의해 생산되는 항진균 물질이다. M. lichenicola의 melithiazol 생합성 유전자는 이미 알려져 있지만, A. gephyra와 M. stipitatus의 melithiazol 생합성 유전자들은 아직까지 밝혀져 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유전체 서열 분석과 돌연변이 분석을 통해 M. stipitatus DSM 14675 균주로부터 37.3 kb 크기의 melithiazol 생합성 유전자군을 발견하였다. 이 유전자군은 9개(MYSTI_04973−MYSTI_04965)의 유전자로 구성되어 있는데, 4개의 polyketide synthase 모듈과 3개의 non-ribosomal peptide synthase 모듈, 그리고 fumarylacetoacetate hydrolase, S-adenosylmethionine-dependent methyltransferase, nitrilase를 암호화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플라스미드 삽입 돌연변이를 통해 MYSTI_04972 유전자 또는 MYSTI_04973를 불활성화시켰을 때 melithiazol 생산능이 상실되었다. MYSTI_04972부터 MYSTI_04965까지의 8개 유전자가 암호화하는 melithiazol 생합성 모듈의 구성은 M. lichenicola Me l46에서와 유사하였다. 하지만 첫 번째 유전자(MYSTI_04973)에 의해 암호화되는 로딩 모듈의 구성은 M. lichenicola Me l46과 달랐는데, 이러한 차이는 M. stipitatus 균주들이 어떻게 M. lichenicola Me l46과는 다른 구조의 melithiazol 유도체들을 생산하는지 설명해준다.

Myxococcus stipitatus JW117이 생산하는 Polyene계 세포독성 물질의 분리 및 특성 (Isolation and Properties of Cytotoxic Polyene Antibiotics Produced by Myxococcus stipitatus JW117.)

  • 안종웅;최상운;권호정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57-161
    • /
    • 2002
  • 암세포가 특정 항암제에 의해 내성을 획득하면 구조가 상이한 타 항암제에도 교차내성을 나타내는 이른바 암세포의 다약제 내성(MDR)이 암 화학요법에 있어서 가장 심각한 문제가 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다약제 내성 암세포주인 CL02 세포를 이용하여 점액세균의 대사산물을 대상으로 다약재 내성 암세포에 유효한 항암물질을 탐색하는 과정에서, Myxococcus stipitatus로 동정된 JW117 균주의 대사산물에서 우수한 활성을 발견하고 그 활성본체로서 polyene계 화합물인 phenalamides $A_1$, $A_2$, $A_3$를 분리하였다. Phenalamides $A_1$, $A_2$, $A_3$는 인체기원의 암세포에 대해 모두 강한 세포독성($IC_{50}$/ : 0.23~0.57 $\mu\textrm{g}$/ml)을 나타낼 뿐 아니라 다약제내성 세포주인 CL02와 cisplatin내성 세포주인 CP70에 대해서도 감수성 세포주와 동일한 활성을 나타내어 다약제 내성을 극복하는 우수한 활성 물질임을 확인하였다.

Myxococcus stipitatus JW111이 생산하는 Polyene계 항암활성물질 (Cytotoxic Polyene Antibiotics from Myxococcus stipitatus JW111)

  • 안종웅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5권2호
    • /
    • pp.114-118
    • /
    • 2002
  • 점액세균의 대사산물을 대상으로 새로운 항암활성물질을 탐색하는 과정에서 해양퇴적물에서 분리한 균주 JW111의 균체 추출액이 인체유래의 각종 암세포에 대해 강한 활성을 나타냄을 발견하고, 먼저 생산균주인 JW111이 Myxococcus stipitatus임을 확인한 후 그 대사산물을 분리, 정제하여 구조결정한 결과, Phenalamide $A_1$, $A_2E, $A_3$임을 밝혔다. 이들은 공시된 감수성 암세포에 대해 모두 우수한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IC_50$의 값은 $0.23{\sim}0.50{\mu}g/ml$이었다. 또한 이들은 Adriamycin의 내성 세포주에 대해서도 감수성 세포주와 동일한 활성을 나타내어 내성을 나타내지 않음이 확인되었다.

분산 돌연변이 점액세균의 분리 (Isolation of Dispersed Mutants from Wild Myxobacteria.)

  • 이봉수;이차율;조경연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342-347
    • /
    • 2003
  • 세포들간의 응집 및 배양용기 표면에의 부착은 야생 점액 세균의 액체배양에 큰 장애물로 작용한다. 이러한 장애를 해결하기 위한 한 방안으로 야생 점액세균으로부터 자연적 분산 돌연변이 균주를 얻는 방법을 시도해 보았다. 실험 대상으로 사용한 균주 M. stipitatus KYC1001은 충남 계룡산의 토양에서 분리된 점액세균으로, 다른 점액세균들과 마찬가지로 액체배지 내에서 대부분의 세포들이 응집체를 형성하거나, 배양용기의 표면에 달라붙는다. 본 연구에서는 야생형 균주들이 세포응집체를 형성하거나 배양용기의 표면에 달라붙게 되는 반면 분산 돌연변이 세포들은 배지 내에 자유로이 떠돌아다니게 될 것이라는 특성을 이용하여, 배양액의 상등액만을 30일에 걸쳐 10회 계대 배양함으로서 분산되어 상등액에 존재할 자연적 분산 돌연변이 세포들을 농화 배양하였다. 그 결과, 액체배지에서 완전히 분산되어 성장하는 한 균주, KYC2001과 부분적으로 분산하여 성장하는 세 균주, KYC2002, 2003, 2004를 얻을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