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yData

검색결과 679건 처리시간 0.021초

마이데이터(MyData) 활용의 국내외 현황 및 활성화 방안 (Domestic and Foreign Status of Using MyData and Measures for Vitalization)

  • 심연숙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6권4호
    • /
    • pp.553-558
    • /
    • 2020
  • 데이터 경제 사회의 진입으로 데이터가 국가 및 기업, 개인의 경쟁력을 좌우하는 핵심 부상하며, 개인정보는 맞춤 서비스, 사회문제 해결 등 다양한 분야에서의 활용 가치가 증가하고 있다. 마이데이터(MyData)는 개인이 자신의 정보에 대한 관리와 통제 권한을 가지고, 이를 바탕으로 개인정보 활용처, 활용범위 등에 대해 능동적인 의사결정을 하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말한다. 데이터 경제의 큰 화두로 떠오르고 있는 마이데이터는 데이터의 가치가 중요한 시대에서 반드시 필요한 개념이고, 관련법과 제도 등 활성화 방안이 마련돼야 한다.

Priority of Challenges for Activation of MyData Business: K-MyData Case

  • Park, Jeong Kwan;Park, Soo Kyung;Lee, Bong Gyou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5권10호
    • /
    • pp.3513-3533
    • /
    • 2021
  • This paper identifies challenging factors that hinder the successful settlement of the MyData industry, which is drawing global attention, and it analyzes the priority of solutions. To this end, a mixed-methodology including analytic network process technique was borrowed step-by-step to identify variables, analyze them, and provide interpretations. From the first step, the study found that the market aspect was the most important for the success of the K-MyData business, and the release of interesting representative services was found to be the easiest way to inspire market growth. From the second step, as a socio-cultural issue, the lack of consensus on data provisioning was found to present a major obstacle. To achieve consensus, it is very important for business participants to gain the trust of consumers. From the third step, it was found that the scope of data collection and responsibility for accidents needs to be clarified. Government and business-related persons must observe the principles of MyData while tackling these obstacles. It is also necessary for the government to be sensitive to changes in the environment as a focal actor. Doing so will lead to data industry activation and will help guarantee of rights of data subjects in a balanced manner. Finally, it is notable that technical barriers now have the lowest priority. Although technology is important, MyData business must also overcome market, socio-cultural, and institutional challenges. The study selected Korea as its research target, but it is expected to provide useful insights to other countries that are planning MyData business similar to Korea.

대학도서관에서의 CRM을 이용한 MyLibrary서비스개선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MyLibrary Service in Academic Libraries Using the CRM)

  • 조인숙;하누리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63-79
    • /
    • 2011
  • 본 연구는 대학도서관시스템의 MyLibrary 기능을 CRM개념을 적용하여 이용자들에게 맞춤서비스를 제공 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은 문헌조사, 홈페이지조사를 통하여 1차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국내외 대학도서관의 사례조사를 실시하고, 대학도서관시스템 중 3개의 시스템을 선정하고 해당 대학도서관 사서와 이용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한 결과 서비스의 각 기능을 담당하는 사서들이 MyLibrary 기능에서 생성되는 이용자들의 정보데이터를 체계적으로 활용하고 있는 사례가 많지 않다는 것을 파악하였다. 개선방안으로는 MyLibrary에서 생성되는 데이터를 토대로 이용자들에게 맞춤정보서비스 제공과 질적으로 높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CRM에 대한 인식제고와 feedback 자료로 활용하기 위한 체계적 관리가 필요하다고 제시하였다.

디지털금융 기반 마이데이터 앱 초기 사용자들의 이용의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tention of Early Users of Digital Finance baesd Mydata Service Application)

  • 이태원;성행남
    • 한국정보시스템학회지:정보시스템연구
    • /
    • 제32권1호
    • /
    • pp.1-21
    • /
    • 2023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tention of early application users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digital finance-based MyData service users. It is expected that user characteristics will affect the intention to use MyData service, which has not yet been advanced, and accordingly, it will examine how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itial users of MyData service and the intention to use it are connected. Design/methodology/approach The model used in this study is a value-based adoption model (VAM), and a lot of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information technology and online user acceptance and continuous use intention of online users. VAM has been proven useful through empirical analysis in many studies. The value-based acceptance model is a method of analyzing the intention to use Benefits and Sacrifices as the main elements of perceived value. It can be said to be a model that can analyze the benefits of use and the sacrifices to be made. Findings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usefulness, enjoyment, and reliability, which are the benefits of MyData service apps, had a positive effect on perceived value, which is partially consistent with existing research results. However, it was found that complexity, which is the sacrifice of MyData service apps, negatively affects perceived value and security has no negative impact. The results of security are considered to be complementary to financial institutions because MyData service deals with financial data based on personal information, and the research hypothesis is rejected because users' demands are relatively low. Therefore, MyData service apps should do more to increase benefits (usefulness, enjoyment, and reliability) than to reduce sacrifice (complexity) to users.

빅데이터, 오픈데이터, 마이데이터의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Big Data, Open Data, and My Data)

  • 박주석
    • 한국빅데이터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41-46
    • /
    • 2018
  • 지금은 데이터혁명 시대라고 한다. 데이터혁명 시대는 빅데이터로 시작하였고 오픈데이터를 거쳐서 마이데이터로 완성될 것이라 얘기한다. 본 논문에서는 빅데이터, 오픈데이터, 마이데이터를 비교 분석하고, 디지털자원으로서 마이데이터의 역할과 효과를 제시하고자 한다.

금융상품 비교/추천 마이데이터 서비스 이용 의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tention to Use Personal Financial Product Recommendation MyData Service)

  • 조성훈;진정숙;박주석
    • 한국빅데이터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73-193
    • /
    • 2022
  • 데이터 3법 개정에 따라 새롭게 금융분야 마이데이터 산업이 도입되었다. 마이데이터 서비스는 맞춤형 금융상품 비교/추천, 맞춤형 소비 조언 등 개인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한다. 2022년부터 마이데이터 서비스가 시작되었지만 현재 서비스 이용은 크게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는 개인 맞춤형 금융상품 비교/추천 등 금융 소비자 관점에서 마이데이터 서비스 이용에 미치는 요인에 대해 가치기반수용모델을 통해 연구하고자 했다. 이익(Benefit)과 희생(Sacrifice) 변수를 이용하여 금융 소비자들이 갖는 마이데이터 서비스에 대한 지각된 가치와 이용 의도와 관련된 요인을 검증하였다. 조절변수로는 개인 혁신성을 이용하였다. 연구 결과, 맞춤형 상품 비교/추천 서비스는 금융 소비자의 마이데이터 서비스 이용 의도에 중요한 영향을 준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개인 혁신성이 조절변수로서 영향을 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마이데이터 서비스 시행 후, 1년이 경과하지 않은 시점에서 소비자의 인지된 가치를 연구하였기에 시기적으로 선행 연구로서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실무적으로는 마이데이터 서비스의 방향성과 마케팅 소구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금융분야의 플랫폼 기반 마이데이터 서비스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Platform-based MyData Service in Financial Industry)

  • 최재섭;차상훈;최정일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29-42
    • /
    • 2023
  • Amid the global movement to harness individual data and boost the data economy, MyData services that utilize personal data are being implemented in earnest in the financial sector in Korea due to the government's active encouragement policy. To this end, MyData service providers must have a service system for business operators that collects and efficiently loads personal information scattered in various financial institutions with individual consent, and comprehensively analyzes and provides it. The system must not only have strict security management capabilities, but also be built in a flexible form that takes into account future data scalability and additional services. In this paper, it has been proposed to be implemented the essential functions that MyData service system must have and the core functions that can manage the entire data life cycle from data collection, distribution to disposal in the form of a platform. In addition, the strengths of the platform structure were reviewed, and the effectiveness of the platform model was examined upon application.

국내 마이데이터 태동과 데이터 거래에 관한 잠재적 주제 분석 (Study on Potential Topics of the MyData and Data Transactions Using LDA Topic Modeling)

  • 조지연;이봉규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3호
    • /
    • pp.221-229
    • /
    • 2022
  • 최근 마이데이터 사업이 본격화됨에 따라 개인데이터 활용에 관한 관심은 더욱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마이데이터에 관한 연구들은 아직까지 초기 단계로서, 법·제도적 논의에 집중되어 있으며 종합적인 시각에서 마이데이터를 조망한 연구는 부족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데이터거래에 관한 논의가 본격화된 2018년부터 현시점까지의 뉴스를 분석하여 사회적 논의가 형성한 잠재적 주제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LDA 토픽모델링 기법을 통한 뉴스데이터 분석을 통하여 마이데이터 기반 금융혁신, 마이데이터 사업자 지위 및 허가, 데이터 관련 법 개정, 안전한 데이터 활용, 데이터 경제활성화 정책, 사업자의 전략 등 6개의 잠재적 주제를 도출하여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마이데이터 태동과 함께 나타난 사회적 이슈를 종합적으로 조망하고 관련 논의의 공백을 도출하여 시사점을 제시한 의의가 있다. 향후 연구에서는 마이데이터 서비스 개시 이후의 변화를 파악하고, 마이데이터 산업별 심도깊은 연구를 통하여 구체적인 시사점을 제공하길 기대한다.

소프트웨어 개발과정의 기술 리뷰 평가 방법 (Evaluation Method of Technical Review in Software Development Process)

  • 전희배;양해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9권5호
    • /
    • pp.1234-1241
    • /
    • 2008
  • 소프트웨어의 개발에서 테스트 비용을 적게 하는 유효한 기법중의 하나로 기술 리뷰의 실행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술 리뷰에 의한 테스트 비용의 감소율에 주목하여 새로운 리뷰 평가 척도 My를 제안한다. 그리고, 실제의 소프트웨어 개발 과정에서 수집한 데이터를 사용하여 종래의 척도와 비교, 평가를 하였다. 그 결과 종래의 평가척도에 대한 My의 우위성과 유효성이 실험적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리뷰 공정에서 수집한 데이터와 테스트 공정에서 수집한 데이터와 관계를 조사해서, 리뷰 공정에서 가능한 데이터만을 이용하여 My의 값을 추정하는 방법에 대해서도 기술하였다.

오픈뱅킹 기반의 마이데이터 서비스 이용의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tention to Use MyData Service based on Open Banking)

  • 이종섭;최재섭;최정일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19
    • /
    • 2022
  • With the revision of the Credit Information Use and Protection Act in August 2020, the MyData service based on open banking policy will take effect in January 2022. Nonetheless, the previous studies focused on the legal system or security-related issues of such service. Therefore, this paper conducted an empirical study on financial consumers aged 20 or older nationwide to analyze the factors which influence the intention to use MyData services based on open banking. Five characteristics representing open banking-based MyData service were derived through prior research, and a research model that combined value-based adoption model and privacy calculus theory was presented. The proposed research model and the relationship of its variables was analyzed using a sample of 400 users that is randomly selected. The results of empirical analysis showed that personalization had the greatest influence on benefits and reliability on sacrifice among service characteristics. They also suggested that MyData operators should devote themselves to providing customized services optimized for customers and establishing trust relationships. It was confirmed that both usefulness and enjoyment had a great influence on perceived value, and in terms of sacrifice, the burden of financial costs had a greater influence than privacy concern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explored the psychological propensity of financial consumers to identify service utilization factors and presented a new approach that can contribute to the successful settlement of the domestic MyData indust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