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utagenicity tests

검색결과 58건 처리시간 0.035초

살충성 물질 2-carbomethoxy-4-chlorodiethyl phosphate의 유전독성 평가 (Mutagenecity evaluation of insecticidal 2-carbomethoxy-4-chlorodiethyl phosphate in short-term bioassays)

  • 이제봉;성하정;정미혜;권오경;이해근;김영구
    • 농약과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53-58
    • /
    • 1998
  • 벼멸구에 대해 살충성이 있는 2-carbomethoxy-4-chlorodiethyl phosphate를 신농약으로 개발할 목적으로 변이원성 시험, 즉 유전자복귀돌연변이, 염색체이상 및 소핵시험을 수행하였다. Salmonella typhimurium을 이용한 복귀돌연변이원성을 TA1535, TA1537, TA98과 TA100 균주를 이용하여 시험한 결과 대사활성화물질(S-9mix)의 첨가여부에 관계없이 유전자에 이상을 미치지 않았으며, CHL세포에 대한 세포독성은 EMEM 배지에서 $LC_{50}$$200{\mu}g/m{\ell}$이었으므로 $200{\mu}g/m{\ell}$을 최고농도로 공비2, 농도4로 염색체이상시험을 실시한 결과 200과 $100{\mu}g/m{\ell}$에서 이상세포가 나타났으나 양성으로 판정되지는 않았다. 2-Carbomethoxy-4-chlorodiethyl phosphate가 ICR 마우스의 골수세포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기 위해 실시한 소핵시험에서도 음성대조, 양성대조 및 시험물질처리 군에서 PCE 및 MNPCE의 출현율이 모두 정상범위 내에 있어서 2-carbomethoxy-4-chlorodiethyl phosphate가 ICR 마우스의 골수세포에 소핵을 형성시키지 않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할 때 2-carbomethoxy-4-chlorodiethyl phosphate는 미생물, 배양세포 그리고 생체 내에서 유전물질에 영향을 주지 않는 물질인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flatoxin B1 Detoxification by Aspergillus oryzae from Meju, a Traditional Korean Fermented Soybean Starter

  • Lee, Kyu Ri;Yang, Sun Min;Cho, Sung Min;Kim, Myunghee;Hong, Sung-Yong;Chung, Soo Hyu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7권1호
    • /
    • pp.57-66
    • /
    • 2017
  • Aflatoxins are classified as Group 1 (carcinogenic to humans) by the International Agency for Research on Cancer. In this study, a total of 134 fungal strains were isolated from 65 meju samples, and two fungal isolates were selected as potential aflatoxin $B_1$ ($AFB_1$)-biodetoxification fungi. These fungi were identified as Aspergillus oryzae MAO103 and A. oryzae MAO104 by sequencing the beta-tubulin gene. The two A. oryzae strains were able to degrade more than 90% of $AFB_1$ (initial concentration: $40{\mu}g/l$) in a culture broth in 14 days. The mutagenic effects of $AFB_1$ treated with A. oryzae MAO103 and MAO104 significantly decreased to 5.7% and 6.4%, respectively, in the frame-shift mutation of Ames tests using Salmonella typhimurium TA98. The base-substituting mutagenicity of $AFB_1$ was also decreased by the two fungi. Moreover, $AFB_1$ production by Aspergillus flavus was significantly decreased by the two A. oryzae strains on soybean-based agar plates. Our data suggest that the two $AFB_1$-detoxifying A. oryzae strains have potential application to control $AFB_1$ in foods and feeds.

In vivo micronucleus test of 4-butylaniline and N-butylaniline to classify a chemical's mutagenicity according to the globally harmonized system of classification and labelling of chemicals (GHS)

  • Kim, Soo-Jin;Shin, Seo-ho;Kim, Hyun-ock;Rim, Kyung-Taek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2권4호
    • /
    • pp.355-359
    • /
    • 2019
  • In vivo micronucleus tests were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mutagenic potential of 4-butylaniline and N-butylaniline, which are used in dye intermediates and organic intermediates respectively. Groups of 5 male ICR mice were treated with vehicle or 4-butylaniline for 2 consecutive days by oral gavage at concentrations of 0 (control), 64, 160, 400, and 1000 mg/kg.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dose-dependent increases were found for micronuclei frequencies in male mice (p <0.05). These results suggest that 4-butylaniline can induce genetic effects in the micronuclei of male mouse bone marrow cells. Based on the positive results obtained in cytogenetic analyses of somatic cells in vivo, Globally Harmonized System of Classification and Labelling of Chemicals Category 2 was assigned. N-butylaniline was administered for 2 consecutive days by oral gavage to male ICR mice at dose of 0 (control), 64, 160, 400, and 800 mg/kg. N-butylaniline tested negative for micronuclei induction in mice, although N-butylaniline was associated with micronucleus induction at the highest dose. Based on the negative results obtained for cytogenetic analyses of somatic cells in vivo, "Not Classified" was assigned.

고선량 조사된 시판 분말죽의 유전독성학적 안전성평가 (Genotoxicological Safety of High-Dose Irradiated Porridges)

  • 강일준;강영희;정차권;오성훈;이주운;변명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261-266
    • /
    • 2005
  • 분말죽의 위생화 및 물리적 특성 개선을 위해 감마선조사 기술의 이용가능성이 높아짐에 따라 이들의 안전성을 확보할 목적으로 30 kGy 고선량 감마선조사 분말죽의 유전독성학적 안전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감마선 조사 및 비조사 분말죽의 S. Typhimurium TA98, TA100, TA1535 및 TA1537에 대한 복귀변이 집락수를 조사한 결과, 대사활성계 도입 및 부재시 모두 시험적용 농도인 0.625∼10mg/plate의 범위에서 복귀변이 집락수의 농도 의존적인 증가 혹은 감소를 보이지 않아 감마선 조사 분말죽(30 kGy)은 돌연변이원성이 없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설치류 망상적혈구를 이용하여 감마선 조사된 분말죽의 소핵 형 성시험을 수행한 결과, 감마선 조사 분말죽은 시험적용 용량인 625∼5,000 mg/kg의 범위에서 소핵을 가진 망상적혈구의 출현율이 음성대조군과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아 소핵을유발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포유류 배양세포를 이용한 염색체 이상시험에서도 감마선 조사 분말죽(30 kGy)은 시험적용 용량에서 염색체이상 유발능이 5% 미만이었다.

An Outer Membrane Protein Preparation as a Vaccine against Pseudomonas aeruginosa Infection

  • Park, Wan-Je;Cho, Yang-Je;Ahn, Dong-Ho;Jung, Sang-Bo;Lee, Na-Gyong;Kim, Hyun-Su;Hahm, Kyung-Soo;Kim, Yu-Sam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7권2호
    • /
    • pp.144-150
    • /
    • 1997
  • We developed a simple and efficient method to prepare a Pseudomonas vaccine of outer membrane (OM) proteins free from lipopolysaccharide (LPS). A three step purification process including extraction, ultrafiltration and ultracentrifugation effectively removed LPS from the OM protein fraction. Approximately 2 mg of the OM proteins was obtained from 1 g of wet cell. LPS contaminant in the vaccine preparation was less than 0.003% (w/w) of protein and protease activity was not detectable. To achieve a wide range of protection, OM proteins prepared from four attenuated P. aeruginosa strains were mixed in equal amounts and used as a vaccine, which elicited in rabbits a high titer of antibody reactive to all of the seven Fisher types. The antisera from the immunized rabbit had a strong reactivity to vaccine proteins larger than 25 kDa. In a burned mouse infection model, immunization with the vaccine significantly enhanced bacterial clearance in the Pseudomonas infected skin. The vaccination also provided mice an excellent protection against Pseudomonas infection (11, 16). Data on antigenicity, mutagenicity, acute, subacute toxicity and pharmacological tests confirmed the safety of the vaccine (1, 3, 10, 12, 17). These data demonstrate that this method can be applied to manufacture a bacterial vaccine of OM proteins with safety and prophylactic efficacy at a practical low cost.

  • PDF

감마선 조사된 과메기의 유전독성학적 안전성 평가 (Genotoxicological Safety of Gamma-Irradiated Kwamegi(semi-dried Colobabis seira))

  • 육홍선;정영진;송현파;이주운;변명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182-192
    • /
    • 2004
  • 과메기의 위생화를 위한 방사선 조사기술의 이용 가능성을 검토할 목적으로 방사선 조사를 실시한 후 독성학적 안전성 실험인 in vitro Ames test SOS chromotest 및 CHL 세포를 이용한 염색체 이상시험과 ICR 수컷 마우스를 이용한 in vivo 소핵세포실험을 실시하였다. 감마선 조사 및 비조사된 과메기의 Salmonella typhimurium(TA98, TA100, TA1535, TA1537)과 Escherichia coli WP2 uvrA 균주에 대한 복귀변이 집락수 시험, SOS chromotest(Escherichia coli PQ37) 시험 및 CHL 세포를 이용한 염색체 이상시험을 수행한 결과 물추출물과 용매추출물 및 대사활성계 도입 혹은 부재시 모두, 모든 시험균주에서 시험적용 농도인 10,000 $\mu\textrm{g}$/plate까지의 농도에서 감마선 조사된 시료는 비조사된 시료와 같이 음성을 나타내었다. 또, 감마선 조사 및 비조사된 과메기의 in vivo 소핵세포실험에서도 소핵이 발견되지 않았다. 따라서, 10 kGy까지 고선량 감마선 조사된 과메기는 위 수행된 in vitro 및 in vivo 유전독성시험을 실시한 결과 음성을 나타낸 것으로 보아 유전독성학적으로 돌연변이원성이 없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고선량 감마선조사 곡류 분말의 유전독성학적 안전성평가 (Genotoxicological Safety of High-Dose Gamma-Irradiated Cereal Powders)

  • 한삭명;김혜미;정승경;이주운;변명우;강일준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524-529
    • /
    • 2006
  • 곡류분말의 위생화 및 물리적 특성 개선을 위해 감마선 조사기술의 이용 가능성이 높아짐에 따라 이들의 안전성을 확보할 목적으로 30 kGy의 고선량 감마선조사 곡류분말의 유전독성학적 안전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감마선 조사 및 비조사 곡류분말의 S. typhimurium TA 98, TA100, TA1535 및 TA1537에 대한복귀변이 집락수를 조사한 결과, 대사활성계 도입 및 부재시 모두 시험적용 농도인 0.625-10 mg/plate의 범위에서 복귀변이 집락수의 농도 의존적인 증가 혹은 감소를 보이지 않아 감마선 조사 곡류분말(30 kGy)은 돌연변이원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설치류 망상적혈구를 이용하여 감마선조사 곡류분말의 소핵 형성 시험을 수행한 결과, 30 kGy 감마선 조사 곡류분말은 시험적용 용량인 625-5,000 mg/kg의 범위에서 소핵을 가진 망상 적혈구의 출현율이 음성대조군과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아 소핵을 유발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포유류 배양세포를 이용한 염색체 이상시험에서도 30 kGy 감마선 조사곡류분말은 시험적용 용량에서 염색체이상 유발능이 5% 미만이었다.

살구 추출물의 항산화성, 항돌연변이성 및 세포독성 효과 (Antioxidative, Antimutagenic and Cytotoxic Effects of Prunus armeniaca Extracts)

  • 유수정;김수현;전미선;오현택;최현진;함승시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220-225
    • /
    • 2007
  • 살구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은 RC50값이 살구씨와 살구과육 에탄을 추출물의 경우 각각 $48.3{\mu}g$$43.9{\mu}g$으로서 강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살구 에탄을 추출물의 항돌연변이 효과의 검토는 Salmonella typhimurium의 변이주인 TA98과 TA100을 이용한 Ames test로 확인하였다. 그 결과 살구씨 및 과육 에탄올 추출물 자체의 돌연변이원성은 없었고 직접변이원인 MNNG에 대해 시료농도 $200{\mu}g/plate$에서 살구씨와 살구과육 에탄올 추출물 각각에서 TA100이 69.4% 및 65.9%의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같은 농도에서 4NQO에 대해서는 살구과육 에탄을 추출물의 경우TA98과TA100이 각각45.9% 및 44.3%의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암세포 성장억제효과를 검토한 결과 살구씨 에탄올 추출물 4mg/mL첨가 시 A549, AGS, MCF-7, HeLa 및 Hep3B에서 각각 63.7, 56, 86.3, 78 및 53.7%의 억제 효과를 보였다. 살구과육 에탄을 추출물 4mg/mL 첨가시 위암세포 AGS에서 58.0% 억제효과를 보인 반면 모든 암세포에서 72.8%이상의 높은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암세포에 대한 높은 억제 효과에 비해 인간정상신장세포 293에 대해서는 37.2% 이하의 생육 억제율을 나타냄으로서 정상세포에 대해서는 낮은 독성효과를 가짐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