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usical Therapy

검색결과 110건 처리시간 0.025초

사물놀이 연주자의 악기 대상관계 경험 (Samulnori Musicians' Experiences of Object Relations With Their Instruments)

  • 김천사;김경숙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
    • 제18권2호
    • /
    • pp.87-107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연주자가 사물놀이에서 경험하는 악기와의 대상관계 현상을 탐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사물놀이 연주자 5명을 대상으로 반구조화된 개방형 질문을 통한 심층 면담을 시행하고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Giorgi(2004)의 현상학적 연구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121개의 의미단위, 7개의 하위 범주, 3개의 대범주가 도출되었다. 3개의 대범주는 '중간대상의 매체', '내적 욕구 표현 및 인식의 수단', '타인 인식과 소통의 도구'로 나타났다. 사물놀이에서 악기는 연주자에게 내적 몰입을 도와주는 대상 경험을 하게 하는 매체가 된다. 또한 연주자는 악기연주를 통해 자신의 내적 욕구를 표현하고 자신의 성격과 정체성에 대해 새롭게 인식한다. 이와 동시에 연주자는 악기 특성과 사물놀이에서의 역할에 따라 악기를 사람처럼 대상화하여 내적 표상을 형성하고 이를 중심으로 연주에서의 관계를 이해하고 타연주자와 소통한다. 마지막으로 사물놀이에서 악기는 연주자에게 이상적 자기 성격에 따른 대리적 대상의 역할을 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사물놀이라는 합주 형태가 연주자의 대상관계 발달을 촉진하며 연주자의 내면화된 표상체계와 상호작용 방식을 외화하고 있음을 알 수 있게 해준다. 본 연구는 연주자와 악기 간의 심리내적인 기능적 관계를 밝히고 음악치료에서 사물놀이 악기 활용에 대한 기초를 제시해주었다는데 의의가 있다.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의사소통기술 향상을 위한 사회적 상황 기반 음악극 적용 사례 (A Case Study of Social Context-Based Musical Play Program for Improving Communication Skills of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 모세희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
    • 제19권2호
    • /
    • pp.27-53
    • /
    • 2022
  • 본 연구는 고기능 자폐스팩트럼장애(ASD) 아동을 대상으로 학교에서 보편적으로 경험하게 되는 사회적 상황을 기반으로 구성된 음악극을 적용하였을 때 의사소통기술에 어떠한 변화를 보이는 지 알아보고자 진행되었다. 본 연구에 적용된 음악극은 실제적 상황에 대한 이해, 음악 안에서의 목표 행동 및 언어적 표현의 습득, 역할극을 통한 상황적 맥락 내 목표 행동의 실제적 적용을 유도하는 단계적 구조로 구성되었다. 대상자는 평균 연령 9세의 ASD 아동 3명이며, 주 2회 40분씩 총 8회기의 그룹 중재가 진행되었다. 결과분석을 위해 또래 및 성인(즉, 연구자) 대상 의견 개시 및 조율 행동, 대상자 간 자발적 상호작용 행동을 관찰하였으며, 사회적 기술 평정척도 실시를 통해 중재 전후 일상생활에서 나타나는 사회적 행동에 변화가 있는지 비교하였다. 분석 결과, 모든 대상자는 또래 대상 의견 개시 및 조율 행동과 성인 대상 자발적 상호작용 행동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또래에게 나타나는 자발적 상호작용 행동과 성인 대상 의견 개시 및 조율 행동에 있어서는 대상자 언어 및 발달 수준에 따라 개별적인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사회적 상황 기반 음악극이 ASD 아동이 경험하는 사회적 환경과 유사한 맥락을 제시함으로써 실제적으로 요구되는 의사소통 행동과 타인과의 상호작용 시 자신의 행동을 보다 효과적으로 조절하도록 촉진할 수 있는 가능성을 뒷받침한다. 또한, 본 연구는 ASD 아동의 사회적 의사소통 향상을 위한 중재의 범위를 확장하고, 다각적 전략을 제시했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레트 증후군의 이해 (Understanding of Rett Syndrome)

  • 노효련
    • 대한물리의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85-91
    • /
    • 2007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understanding of Rett Syndrome. Rett Syndrome is a common developmental - neurologic disorder that has been reported almost exclusively in female. Recently mutations in the gene encoding X-linked methyl-CpG binding protein 2 (MECP2) have been identified as the cause of Rett syndrome. Consistent with the diagnostic criteria, hand skills, verbal or non - verbal communication skills and common motor skills were lost during regression. Regression most commonly occurred between 12 and 18 months of age. Methods : This is a literature study with books, articles, web site for Rett syndrome international association. Results : There is a continuing need to further elucidate the pre- and post - regression features of Rett syndrome. Rett syndrome need to physical therapy, musical therapy, special education and medical interventions. Conclusion : There has not been therapeutic method to the root of Rett syndrome but our goal is relaxation of symptom and physical therapist's study of Rett syndrome.

  • PDF

Synergistic effect of Samulnori performance and Ajaeng playing on music therapy (https://youtu.be/QHIciJTTY0w)

  • Ko, Kyung-Ja;Cho, Hyun-Yong
    • 셀메드
    • /
    • 제12권3호
    • /
    • pp.13.1-13.3
    • /
    • 2022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synergistic effect of Samulnori and Ajaeng combination in music therapy. Samulnori is the Korea's most successful traditional music. The Ajaeng, Korean traditional string instrument, generally plays the bass part in ensemble music. However, we have tried a new kind of musical style. (As you can see in the Youtube, https://youtu.be/QHIciJTTY0w). Samulnori and Ajaeng combination of our style have not been tried by any other musicians in Korea. Results from this study showed that Samulnori-induced excitation and Ajaeng-induced dynamics probably contributed to the synergistic effect of Samulnori and Ajaeng.

조건부 기소유예 판결을 받은 학교폭력 가해 청소년의 음악치료 경험에 관한 연구: 자기결정성을 중심으로 (Juvenile Offenders' Experience of Music Therapy within the Framework of Self-determination: A Modified Grounded Theory Study)

  • 윤주리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
    • 제11권1호
    • /
    • pp.63-82
    • /
    • 2014
  • 본 연구는 학교폭력 가해로 인해 조건부 기소유예 판결을 받은 청소년이 음악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한 경험을 자기결정성 이론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음악치료에 참여한 6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접을 실시하여 변형된(modified) 근거이론 방식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85개의 개념, 21개의 하위범주, 7개의 범주가 도출되었으며 이를 자기결정성 이론의 기본 심리욕구인 자율성, 유능성, 관계성 및 추가적으로 치료경험이 어떻게 치료외적 환경으로 전이와 확장 되었는지 분석하였다. 자율성은 음악선곡, 악기선택, 연주방식의 선택과 음악에 대한 의사표현의 다양한 속성으로 나타났다. 유능성은 악기연주 기법을 익히고, 자신의 생각대로 음악작업을 완성하고 몰입하며 자신의 능력을 발휘함으로써 나타났다. 이 과정에서 음악적 난이도가 유능성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계성은 그룹공동의 음악작업 안에서 의견을 교류하고 각자 음악적 역할을 담당함으로써 나타났다. 이 때 참여자는 음악 안에서 의식과 행동의 변화 및 내적인 통찰을 경험할 수 있음을 깨닫고 그룹원간의 상호교류와 지지를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음악활동에서 경험한 긍정적 정서 및 적극적인 행동 양식이 학교생활에서도 이어지는 경험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추후의 음악치료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에 대한 제언과 연구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음악요법이 위내시경 대상자의 검사전 불안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Music Therapy on Reduction of Anxiety before Gastroscopy)

  • 박경숙;나명주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247-255
    • /
    • 2003
  •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music therapy on the pre-exam anxiety of gastroscopy clients. Method: The research period is from June 17 2002 to August 30 2002, and the subjects were 60 individuals, 30 for the experimental and 30 for the control group among adult clients. The data were analyzed by using the SPSS program. Resul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score of the experimental group was lower than the score of the control group for the situational anxiety (t=-12.56, p=0.000) and systolic blood pressure (t=-3.97, p=0.000) before the examination was supported. The vital sign was partially supporte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t=-1.05, p=0.297) in the diastolic blood pressure (t=-1.05, p=0.297) and pulse rate(t=-1.30, p=0.199) before the examination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lower than the score of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Music therapy could be useful in the nursing practice, and be utilized as a way of nursing intervention to reduce anxiety of the patients in specific clinical situations. Finally, it is recommended that further studies be conducted on this therapy by utilizing different musical selections.

  • PDF

음악요법이 국소마취 요관부목술 환자의 불안과 통증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Music Therapy on Anxiety and Pain in Patients with Retrograde Ureteral Stenting under Local Anesthesia)

  • 채수정;양수;박호란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73-180
    • /
    • 2007
  • Purpose: The present study was done to examine the effect of music therapy on anxiety and pain in patients for whom a ureteral stent was inserted under local anesthesia. Method: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22 patients who received a ureteral stent at the Day Surgery Center of C University Hospital during the period from May to October in 2006. The patients were divided into a control group (n=11) and an experimental group (n=11). For the experimental group, music was played according to their musical preference using headphones. The music was provided from the point when the patient took the posture for the operation and was covered with a sterilized drape to the point when the cystoscope was removed after finishing the operation. The control group was only provided with ordinary nursing services. Results: The results show that the provision of music therapy to these patients is effective in reducing the patients' salivary cortisol and Vas-anxiety score and stabilizing their systolic blood pressure. Conclusion: We conclude that music therapy can be actively used as a nursing intervention for reducing anxiety in patients who receive operations under local anesthesia.

  • PDF

정신지체아동의 의사소통 증진을 위한 노래활동 사례 분석 (A Case Study of Music Therapy with Song for the Improvement of Mentally Disable Children's Communications)

  • 강성미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
    • 제1권1호
    • /
    • pp.33-46
    • /
    • 2004
  • 정신지체 아동은 타인과의 제한되고 미분화된 의사소통으로 인해 실패감을 느끼고 상대방에게도 좌절감을 갖게한다. 의사표현이 부족한 정신지체 아동은 언어습득과 의사소통 활동의 측면에서 자발적인 의사소통이 이루어지도록 많은 경험을 우선적으로 해야 한다. 음악은 비언어적 의사소통 수단으로 비위협적이면서 흥미로운 자극을 제공한다. 그래서 정신지체아의 음악적 경험은 말하기와 언어 발달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다감각적 경험을 촉진한다. 이에 의사소통 중재로써 여러가지 접근방법 중에서 노래를 중심으로한 음악치료활동은 정신지체 아동에게 더 자연스럽고 즐겁게 언어를 표현함으로 의사소통 기술을 습득하게 한다. 본 연구는 노래를 중심으로 하는 음악치료활동이 정신지체 아동의 의사소통 기술(반응하기, 시도하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 보았다. 대상은 초등부 저학년 네 명의 정신지체아동으로, 이들은 구어능력을 가졌으나 적절한 표현어휘의 부족으로 자발적인 의사소통 시도와 반응에 어려움을 지녔다. 음악치료활동은 학령기 아동들이기에 실생활에 활용되고 기초적 학습개념의 가사를 지닌 노래를 중심으로 진행하였다. 음악치료활동은 개별아동마다 한 세션에 20분씩 주 2회, 총10주 동안 진행하였다. 전체 활동은 매 세션마다 시작노래, 의사소통 중심의 프로그램으로 이루어진 본 활동, 헤어지는 노래의 형식으로 구성하였다. 본 활동은 5회기 동안 연속적으로 반복하는 형식으로 세션을 실시하였다. 비디오 관찰을 통하여 대상아동의 반응하기와 시도하기에 대한 의사소통 기술에 대해 파악하였다. 또한 각 대상 아동에 대한 사전, 사후의 언어능력을 알아보기 위해 치료활동 전,후에 검사도구인 취학전 아동의 수용언어 및 표현언어 발달 척도(PRES, Preschool Receptive-Expressive Language Scale)를 사용하여 수용언어 및 표현언어를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노래를 중심으로한 음악치료 활동이 정신지체아동의 의사소통 반응하기와 시도하기 기술을 중심으로 의사소통 행동 발생률을 증가시킴으로 네 아동의 의사소통 기술을 향상시켰다. 둘째, PRES 검사도구를 이용한 사전, 사후 검사 비교를 통하여 노래를 중심으로한 음악치료 활동이 네 아동의 수용 및 표현언어 능력을 향상시켰다.

  • PDF

음악치료가 만성정신장애인의 자기표현 및 자아존중감 향상에 미치는 효과 (Musical Therapeutic Approch for Improving Self-expression and Self-esteem of Persons with Chronic Mental Disorder)

  • 김계원;정광조;최애나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9권3호
    • /
    • pp.43-57
    • /
    • 2011
  • Chronic mental-handicapped people are lacking in non-verbal expression such as eye contact, intonation, voice volume, facial expression, and gesture as well as the contents of speech, speak with a monotonous voice, fail to be vivid and clear in voice, and have absence of expression, thereby bringing about difficulty even for social adjustment and about low self-esteem.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effectiveness for enhancing self-expression and self-esteem by applying music therapy to the chronic mental-handicapped. The subjects were the chronic mental-handicapped who receive rehabilitation service at the community rehabilitation center, and who have over 10 years in the duration of disease. 1he music therapy activity was progressed with totally 14 sessions during 7 weeks with twice a week. This study confirmed t-test that is verification of difference in the mean, in order to examine difference between before and after music therapy in self-expression and self-esteem of the chronic mental-handicapped, and researched into qualitative case.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score in self-expression scale, the significant improvement was shown after music therapy compared to before music therapy. The significant difference was indicated in verbal self-expression, phonetic self-expression, and non-verbal self-expression, which are its sub-spheres. Thus, the conclusion was obtained as saying that music therapy is effective for enhancing self-expression. Second, as a result of score in self-esteem scale, the significant difference was shown after music therapy compared to before music therapy. Thus, the conclusion was obtained as saying that music therapy is effective for enhancing self-esteem. Through the above results, the music therapy showed effectiveness of self-expression ability and self-esteem in the chronic mental-handicapped at the community rehabilitation center, thereby having been confirmed to be possibly utilized as rehabilitation program for the social skill ability and the social adjustment of the chronic mental-handicapped.

우울성향 여중생의 블루스 음악형식을 활용한 자기효능감 증진 연주활동 (Musical Instrumental Playing Activity using Blues Music Structure for the Improvement of Self-Efficacy in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who have Depressive Tendencies)

  • 구새롬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
    • 제4권2호
    • /
    • pp.1-17
    • /
    • 2007
  • 청소년기는 성장과 발달의 과도기적 단계로 모든 영역에서의 발달과 새로운 역할 수행, 학업수준의 향상으로 인한 부담감 등 커다란 변화를 겪게 된다. 이 시기의 청소년은 발달 과제를 해내지 못하거나 변화로 인한 좌절이나 갈등을 반복하는 경우 스트레스와 우울 같은 심리적 어려움을 토로하게 되고, 성숙한 대처를 못하거나 극복하지 못하는 경우 우울이나 불안 같은 정신장애를 얻기도 한다. 오늘날 현대 사회의 청소년을 위한 실질적인 정신건강이나 정신장애에 대한 대응과 예방은 미비하며, 이에 청소년을 위한 상담이나 심리치료 프로그램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우울 성향을 가진 여중생에게 블루스 음악형식을 활용한 자기효능감 증진 연주활동을 시행하여 참여자들의 우울과 자기효능감에 대해 미치는 영향과 대상자들이 연주를 통해 어떠한 경험을 했는지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서울시 소재 D중학교 1학년에 재학 중인 여자 중학생 3명으로 연구자가 70여명의 학생들에게 아동우울척도(CDI)와 자기효능감척도 검사를 실시하여 선별한 여학생들이다. 실시된 10회기의 연주활동은 3단계로 나누어지는데, 1단계에서는 자기소개와 라포형성, 블루스 음악소개와 블루스 음악형식 연주를 통한 활동에 대한 흥미 유발을 목표로 진행하였다. 2단계에서는 블루스 음악에서 자주 볼 수 있는 특징적인 부분인 부점, 셋잇단음표, 엇박자를 활용한 블루스 음악형식을 연주해 익히고, 5회기 동안 각 회기에서 수행하는 음악과제의 난이도를 달리하여 음악연주과제(즉흥연주 포함)를 수행하도록 하였다. 3단계에서는 전 단계에서 배워 연주했던 곡들을 정리하고 각 대상자들이 곡을 선택하거나 새로운 곡을 창작하여 연습한 뒤 음악연주 발표시간을 가짐으로써 완수경험의 극대화로 음악연주에 대한 경험을 확장하는 시간으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연주활동에 참여한 참가자들의 우울 점수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진 않았으나 우울과 자기효능감이 부적상관관계가 있음을 볼 수 있었다. 둘째, 연주활동에 참여한 참가자들의 자기효능감에 미친 영향으로는 자기효능감의 세 가지 하위영역 중 과제난이도선호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주었다. 셋째, 연주활동에 참가자들의 음악연주에 대한 자기효능감의 세 가지 하위영역 중 과제난이도 선호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주었다. 넷째, 사후 인터뷰 질문지의 내용과 대상자들의 각 회기 세션 내용을 질적으로 서술하고 분석해 본 결과 대상자들은 블루스 음악형식 연주활동을 통해 과제난이도를 달리하여 연주활동을 했을 때, 자신감을 경험하고 긍정적인 정서를 경험했으며 대상자들에게 의미 있는 경험이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주활동의 효과와 대상자들의 음악경험의 결과와 의미를 볼 때에 블루스 음악형식을 활용한 연주활동이 치료적인 중재 도구로서의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