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usic Streaming Service

검색결과 33건 처리시간 0.026초

고객화, 네트워크 효과, 서비스 품질 및 고객 충성도 : 음원 스트리밍 서비스를 중심으로 (Customization, Network Effect, Service Quality and Customer Loyalty : An Investigation of Music Streaming Services)

  • 음상원;임호순;한영미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115-134
    • /
    • 2019
  • The global music industry has been growing steadily every year. In particular, the proportion of music streaming services in the overall market are expanding. It shows same pattern in domestic market. Also, several companies are providing music streaming services competitively. It is clear that there is growing interest in effective operations of music streaming services. In this study, we examine the impact of customization and network effect on service quality and customer loyalty. We collect survey data and analyze relationships between latent variables using structural equations modeling. We find that customization and network effect of music streaming services positively affect service quality. However, the effect of customization on customer loyalty is not significant and there is a negative effect of network effect on customer loyalty. Finally, we find that service quality works as a mediator between customization and customer loyalty, and service quality also works as a mediator between network effect and customer loyalty.

모바일 음악 스트리밍앱의 사용자 행태에 따른 GUI 사용성 연구 (A Study on the Usability of Graphic User Interface by the User Behavior in a Mobile Music Streaming App)

  • 박일권
    • 디자인융복합연구
    • /
    • 제14권2호
    • /
    • pp.151-168
    • /
    • 2015
  • 모바일시대로 접어들면서 음원시장 역시 폭발적으로 성장하였다. 최근 기존의 Mp3 음원 다운로드 시장은 점차 스트리밍서비스로 옮겨가는 추세이고 번거로운 다운로드와 제한적인 저장용량에 상관없이 무한대의 음원을 인터넷이 연결된 곳 어디서나 이용이 가능하다. 모바일 음악스트리밍서비스에 대한 사용자행태 리서치 결과 주로 추천음악, 인스턴트재생, 메인플레이어 그리고 공유하기를 주로 사용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모바일음악스트리밍서비스의 중요한 특징이자 기존 다운로드서비스와 차별화되는 요소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기존 다운로드서비스의 UI디자인을 그대로 답습하고 있으며 스트리밍서비스에 특화된 UI디자인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대해 상위 음악스트리밍서비스 3사 모바일앱의 GUI에 대한 사용성평가를 진행하였다. 결과 벅스와 네이버뮤직이 추천음악, 인스턴트재생, 메인플레이어 및 공유하기에서 전반적으로 높은 평가를 받았으며 멜론의 경우 다른 서비스에 비해 낮은 결과를 보였으나 색상 적용에서는 타사 앱보다 높은 평가를 받았다. 본 연구는 사용자행태를 기반으로 스트리밍서비스에 대한 본질적 기능을 파악하고 이에 대한 UI디자인의 사용성을 평가하여 스트리밍서비스의 UI디자인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디지털 음악시장에서 음원사용료 징수 개정안의 고찰-2013년 징수개정안을 중심으로 (Pricing Policy of Music Service in Digital Music Market-focused on the Regulations for the Digital Music Service)

  • 정지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4호
    • /
    • pp.341-348
    • /
    • 2015
  • 디지털 음악시장이 급속히 성장함에 따라 법률적 제도의 측면에서 창작의 주체인 저작권자들의 권익이 논쟁의 중심이 되고 있다. 전 세계 음악시장에서 이미 디지털 음악 매출이 음반매출을 추월하고 있으며 이러한 디지털 음악시장의 높은 상승세는 이전의 다운로드 방식에서 실시간 재생 서비스의 형태로 급속히 바뀌어 가고 있다. 이러한 추세는 국내 음악산업에서도 동일하며 이로 인해 음원 사용료 징수와 창작자들에 대한 이익분배는 큰 이슈가 되고 있다. 2013년 문체부에서는 음원 사용료 징수 규정을 발표하였는데 음원에 대하여 기존의 정액제가 아닌 종량제로 바뀌어 사용자가 이용횟수에 따라 요금을 지불하는 방식이 되었다. 그러나 종량제의 시행에도 불구하고 저작권자에게 돌아가는 이익은 여전히 낮고 소비자에게는 서비스 요금 인상을 가져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창작자들의 창작의식 고취와 소비자들의 만족도를 아울러 높일 수 있는 제도개선과 올바른 인식의 변화가 요구되어진다.

The AHP Analysis of Music Streaming Platform Selection Attributes

  • Tae-Ho, Noh;Hyung-Seok, Lee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8권1호
    • /
    • pp.161-170
    • /
    • 2023
  • 본 연구는 음원 스트리밍 서비스 및 e-service 관련 기존 연구를 바탕으로 음원 스트리밍 플랫폼에 대한 선택요인들을 도출하고, 각 요인들 간의 중요도를 파악하기 위해 AHP기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음원 스트리밍 플랫폼의 1단계 선택요인들인 안전성, 경제성, 정보성, 편리성, 응답성 중에서 경제성이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1단계 요인과 2단계 요인의 가중치를 종합화한 결과에서는 합리적인 가격이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성별과 연령에 따라 음원 스트리밍 플랫폼의 선택요인간 중요도 차이의 유무를 판단하고자 추가적인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서 소비자들이 음원 스트리밍 플랫폼를 이용할 때 가장 중요하게 고려하는 요인이 무엇인가를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한국 온라인 음악시장의 음악사용료 징수규정과 창작자를 위한 저작권료 수익구조 (The Levy System of Music Service and Revenue Structure of Copyright's Royalty in the On-line Music Market in Korea)

  • 정지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1호
    • /
    • pp.429-438
    • /
    • 2015
  • 한국의 음악저작권은 신탁체제를 도입하고 있으며 대부분의 음악저작물들이 정부에서 승인한 신탁관리단체에 의해 관리되고 있다. 음악의 산업구조가 음반산업에서 온라인 음악시장위주로 변하면서 음악저작물에 대한 권익이 필요한 부분들이 늘어났다. 한국 정부는 시대적 요구 및 산업환경의 변화와 업계와 저작작들의 요구에 따른 징수체제를 계속적으로 개정하여 발표하였다. 그러나 실질적인 창작의 주체인 저작권자들의 수익분배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한국의 저작권료 분배체제와 현황을 파악하고, 최근 논쟁의 중심에 있는 온라인 상에서 음원서비스에 대한 징수 체제인 정액제와 종량제를 고찰하여 창작자에 대한 저작권료 분배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로 우선 정액제와 종량제는 아직도 창작자에 대한 권익이 타당하게 책정되지 못하고 있다. 그러므로 제도적 개선이 여전히 필요하다.

국내 포털사이트 음원서비스 취약점분석 및 대응방안 제안 (Security Analysis on Commercial Online Music Streaming Service and Countermeasures)

  • 이상식;최동현;원동호;김승주
    • 정보처리학회논문지C
    • /
    • 제16C권6호
    • /
    • pp.681-690
    • /
    • 2009
  • 현재 국내 음악산업은 음반시장에서 디지털음악시장으로 중심이 이동하고 있으며, 대부분의 대형 포털사이트에서 디지털 음원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추세이다. 본 논문에서는 국내 포털사이트(도시락, 싸이월드, 네이버)에서 제공하고 있는 음원서비스프로세스를 살펴보고 취약점을 분석한다. 또한 분석된 취약점을 바탕으로 실제 공격을 수행하여 음원서비스의 문제점을 보여준다. 마지막으로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취약점을 해결할 수 있는 기술적인 대응방안을 제안함으로써 기업과 저작권자의 이익을 보호하고자 한다.

디지털 음악의 다운로드와 스트리밍 서비스 간에 보완성과 대체성 및 LTE 보급률의 조절효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ubstitutability and Complementarity of Music Downloading and Streaming and the Moderating Role of LTE Penetration on Its Relationship)

  • 허경석;최석웅;김남일;김원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5호
    • /
    • pp.490-501
    • /
    • 2018
  • 정보통신기술의 발달에 기반을 둔 디지털화의 급속한 기술 혁신은 디지털 콘텐츠 산업을 크게 변화시켰으며 스트리밍 서비스와 같은 새로운 형태의 서비스 출현으로 이어졌다. 그러나 스트리밍 서비스가 전통적인 다운로딩 서비스에 대한 위협인지 여부는 여전히 논란의 여지가 있으며, 어떻게 관련되어 있는지는 중요한 문제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가 음악 다운로드 서비스에 대해서 보완관계인지, 대체관계인지 여부를 분석하였다. 또한, LTE의 보급률이 이러한 대체 보완 관계에 어떻게 영향을 미쳤는지 살펴보았다. 한국의 온라인 음악 시장에서 선두적인 플랫폼 자료를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 음악 다운로드 서비스가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를 보완한다는 것을 보였고, 이러한 보완 관계는 LTE 기술 도입으로 강화되고 있다.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 사용자 경험 모델에 관한 실증 연구 (An Empirical Study on the User Experience Model of Music Streaming Service)

  • 이정아;김형진;이호근
    • 정보화정책
    • /
    • 제30권3호
    • /
    • pp.92-121
    • /
    • 2023
  •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는 음악 소비 과정에서 사용자와의 다양한 상호작용이 발생한다는 점에서 사용자 경험(User Experience: UX)에 대한 이해가 중요하다. 본 연구는 사용자 경험의 '구조'(Structure)를 분석한 선행연구, 음악 서비스 사용자가 중요하게 생각하는 '품질 특성'(Quality Characteristics)에 관한 선행연구를 토대로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의 사용자 경험 모델을 개발하고 그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 사용자를 대상으로 한 설문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기능성(검색, 브라우징, 개인화된 추천), 유저 인터페이스 사용성, 콘텐츠 품질(현재성, 충분성, 관련성), 금전적 비용이 해당 서비스에 관한 사용자 경험 결과(사용자 만족)를 결정하는 주요 요인인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국내 서비스들과 글로벌 서비스를 비교한 결과, 기능성과 콘텐츠 품질에 대해서 사용자 경험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 사용자 경험 모델은 관련 이론 기반 연구에 새로운 토대가 될 수 있으며, 실제 플랫폼들 간의 경쟁 구도 및 그들의 경쟁 전략에 대한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에서 음원과 메타데이터 노출 분석력 및 방지 방안 (Analysis and Prevention of Contents Exposure in Music Streaming)

  • 정우식;남현규;이영석
    • KNOM Review
    • /
    • 제21권2호
    • /
    • pp.10-17
    • /
    • 2018
  • 스마트기기의 대중화와 무선 인터넷의 발달로 음원 콘텐츠의 소비방식이 다운로드가 아닌 스트리밍으로 변화하고 있다. 그러나 취약한 스트리밍 콘텐츠 보호 방식으로 인해 음원 데이터와 메타데이터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국내외 19개의 음원 스트리밍 서비스를 대상으로 네트워크 트래픽 상에서 노출되는 음원과 음원의 메타데이터를 분석하고 이에 대한 방지방안을 제안한다. 분석결과 19개의 서비스에서 모두 음원의 메타데이터의 노출이 있었다. 이러한 음원과 메타데이터의 노출을 막고자 인증서 고정 방법 등의 음원 및 메타데이터 보호방법을 제안한다.

컨조인트 분석을 통한 디지털 음악콘텐츠 서비스의 소비 속성별 가치 추정 (Consumption Attribute Value Estimation of Digital Music Contents Service by Conjoint Analysis)

  • 신동명;김보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12호
    • /
    • pp.924-934
    • /
    • 2014
  • 지난 10년 동안 디지털 음악콘텐츠 시장은 급속도로 확산되고 있으나 다양한 음원 상품과 서비스 상품에 대한 소비자 사용 및 소비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콘텐츠 상품의 가치 요인들을 고려한 상품 구성과 가격 정책에 대한 자료는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재 국내에서 이루어지는 스트리밍과 다운로드 방식의 디지털 음악콘텐츠 서비스 상품을 중심으로 소비자의 서비스 상품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속성으로 장르, 가격, 음질, 이용기기를 정의하고, 헤도닉 가격모형이론과 컨조인트 분석방법을 통해 소비자가 지각하고 있는 속성 요인별 중요도와 부분 가치를 추정하여 디지털 음악콘텐츠 서비스에 대한 소비자 중심의 시장가격과 상품 구성에 대한 전략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국내 디지털 음악콘텐츠 서비스 사용자 405명의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분석 결과 다운로드 방식에서는 '음질' 속성이 스트리밍 방식에서는 '이용기기' 속성이 '가격' 속성보다 중요하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디지털 음악콘텐츠 서비스 상품 구성 및 가격 책정의 경우 생산자 중심의 가치에 대한 고려를 넘어 소비자 중심의 시장과 소비 속성을 고려한 차별화가 이루어질 수 있어야 함을 살펴볼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