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ushroom mycelia

검색결과 228건 처리시간 0.024초

상황버섯 균사체를 이용한 양갱 제조 및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Yanggaeng Supplemented with Sanghwang Mushroom (Phellinus linteus) Mycelia)

  • 홍성수;정은경;김애정
    • 대한영양사협회학술지
    • /
    • 제19권3호
    • /
    • pp.253-264
    • /
    • 2013
  • The principal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yanggaeng supplemented with powder derived from Sanghwang mushroom (Phellinus linteus) mycelia. We analyzed the potential of utilizing Phellinus linteus mycelia as a functional food material by estimating total polyphenol and flavonoid contents, electron-donating abilities, as well as antioxidative activities of the water and ethanol extracts of Sanghwang mushroom mycelia. The total phenol and flavonoid contents of ethanol extracts from Phellinus linteus mycelia were 0.69 mg/ml and 0.16 mg/ml, respectively, while the contents from the water extract of Phellinus linteus mycelia were 0.66 mg/ml and 0.22 mg/ml, respectively. The electron-donating abilities of ethanol and water extracts from Phellinus linteus mycelia were 88.64 and 90.29%, respectively. The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ethanol and water extracts from Phellinus linteus mycelia were 89.74 and 71.35%, respectively. In terms of color values, as the level of powder increased, the value of L (lightness) decreased, whereas those of a (redness) and b (yellowness) increased. In regard to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samples, we not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hardness, springiness, chewiness, and gumminess (P<0.05). The results of the sensory evaluation showed that the score from SHM (Sanghwang mushroom mycelia) with 4% powder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other samples in terms of sweetness, color, taste, texture and overall quality (P<0.05). Taken together, the recommended level of Phellinus linteus mycelia powder in yanggaeng is 4% for optimal sensory characteristics.

푸른곰팡이 대치배양에 의한 꽃송이버섯 균사 생장 특성 및 계통간 교잡균주의 rDNA 분석 (Characteristic of mycelial growth of cauliflower mushroom (Sparassis latifolia) using replacement culture with Trichoderma and rDNA analysis in genealogy of crossbreeding strain)

  • 오득실;김현석;김영;위안진;윤병선;박화식;박형호;왕승진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41-51
    • /
    • 2014
  • ${\beta}$-glucan 함량이 높다고 알려진 꽃송이버섯의 농가재배 활성화를 위하여 푸른곰팡이 내성균주를 선발하고자 푸른곰팡이 대치배양에 의한 꽃송이버섯 균사생장 특성을 확인하였으며, 또한 생장이 우수한 신품종을 개발하고자 교잡육종 균주에 대한 유전 다양성을 분석하였다. 먼저 푸른곰팡이 대치배양에 의한 꽃송이버섯 균사의 생장 특성을 확인한 결과, 6951 (T. viride) 균주에서는 대치선을 형성한 후 별다른 변화를 보이지 않았고, 6952 (T. spp.) 균주에서는 대치선을 형성한 다음 보다 많은 포자를 형성하는 것이 관찰되었다. 그러나 6426 (T. harzianum) 균주에서는 꽃송이버섯 균사가 생장하고 있던 부분까지 모두 덮어버리는 것이 확인되었다. 그 중 특이하게도 구례에서 채집선발한 균주인 JF02-06 균주에서는 다른 균주에 비해 푸른곰팡이 포자가 형성되지 않는 것을 확인되어 다소 푸른곰팡이에 대한 저항성을 갖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전남 산림자원연구소에서 보유 중인 균주 중 생장 및 자실체 발생이 우수한 모균주를 선발하여 교잡을 실시하여 생장특성을 조사한 결과, 미송톱밥배지에서 JF02-47, 49, 50 균주의 균사생장량이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교잡육종 균주의 유전 다양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ITS1, 5.8S와 ITS4 영역에 대한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 Genebank에 등록된 다른 꽃송이버섯 균주와 높은 유의성을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꽃송이버섯의 포자 및 균사를 현미경으로 관찰하여 생장 특성을 확인한 결과, 포자의 크기는 장경 $6{\mu}m$, 단경 $5{\mu}m$의 물방울 모양으로 확인되었고, 균사에서 3가지 형태의 꺽쇠가 관찰되었다. 균사의 폭은 $3{\mu}m$이며 꽃송이버섯 균사의 특징으로는 약 50% 정도 꺽쇠에서 균사가 뻗어나가는 특성을 갖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균사의 생장 속도는 $0.507{\mu}m/min$이며, 2차 균사는 $0.082{\mu}m/min$의 속도로 생장하다가 모균사와 평행을 이루는 시점에서는 모균사의 생장속도와 유사한 속도로 생장하였다. 꺽쇠발생은 약 5시간 동안 균사 내부 전해질의 이동이 관찰된 후 작은 꺽쇠를 형성하였다. 약 3시간 후 격막이 형성되기 시작하였으며, 그로부터 2시간 후 최종적으로 완성되었다. 이러한 특성을 갖는 꽃송이버섯의 푸른곰팡이 저항성을 확인하고, 교잡균주의 유전 다양성 및 균사의 생장 특성을 확인하여 꽃송이버섯에 대한 기초적인 이해를 높이고, 더 나아가 버섯산업 발전에 이바지하고자 한다.

표고버섯의 톱밥재배에 있어 갈변과 관련된 효소작용 (Enzymatic activities related mycelial browning of Lentinula edodes (Berkeley) Sing)

  • 김영호;유창현;성재모;공원식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5권3_4호
    • /
    • pp.91-97
    • /
    • 2007
  • Shiitake mushroom (Lentinula edodes) is usually cultivated on the oak log. Log cultivation of this mushroom is getting difficult to get oak logs and has a weak point of its long cultivation period. Recently sawdust cultivation is getting increase. It is important to make mycelia browning on the substrate surface. This browned surface in sawdust cultivation plays an important role like as artificial bark of the oak log, which protects the other pests and suppresses water evaporation in the substrate. The period for mycelia browning is so long that the sawdust cultivation of Shiitake mushroom can not spread well into the mushroom farms. The development of methods for the rapid mycelia browning is quite required. In this article we would like to discuss about the enzymatic activities related mycelia browning and search the methods of cultivation period reduction.

  • PDF

표고균사 갈변시 세포내 효소의 변화 (The changes in intracellular enzyme during the mycelial browning of Lentinula edodes (Berkeley) Sing)

  • 김영호;전창성;박수철;유창현;성재모;공원식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110-114
    • /
    • 2009
  • 표고균사가 액체배지나 한천배지에서 생장하여 숙성되는 동안 갈변되는 현상을 나타낸다. 표고균사는 접종 25일부터 갈변이 시작되어 30일부터 균총 전반에 걸쳐 이루어지기 시작해 접종 40일까지 갈변이 완전히 이루어진다. 이때 균사내의 효소의 활력을 조사한 결과 phenloxidase계통의 효소들은 laccase는 접종 15일에 가장 높았으며 갈변이 되면서 점점 감소되었으나 tyrosinase는 갈변이 이루어지는 30일부터 급격히 증가하였고 peroxidase는 등전점 전기영동에 의하여 조사한 바 갈변이 이루어지는 30일부터 서서히 증가하였다. 등전점전기영동에 의해 조사된 phosphatase효소는 esterase, acid phosphatase, alkaline phosphatase를 조사하였으며 균사의 갈변이 일어나기 시작하는 접종 30일까지는 증가되었으나 그 이후 갈변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는 급격히 감소되었다.

  • PDF

느타리버섯 형질전환주(形質轉換株)에서 Filamentous Crystal 형성(形成) (Formation of Filamentous Crystal in Transformants of Pleurotus species)

  • 변명옥;차동열
    • 한국균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216-221
    • /
    • 1992
  • 사철느타리버섯, 느타리버섯, 여름느타리버섯 형질전환주(形質轉煥珠)에서 crystal이 형성(形成) 되었으며, crystal은 물에는 녹지않고 고온(高溫)이나 ethanol에 녹으며 ethanol이 휘발되면 재결정이 이루어졌다 . crystal은 고체(固體)배지뿐 아니라 액체(液體) 배지(培地)에서도 형성(形成)되며 균사(菌絲)를 $15-25^{\circ}C$에서 배양(培養)할때 형성(形成)되나 $30-35^{\circ}C$ 에서는 형성(形成)되지 않았다. 또한 uv 를 이용(利用)하여 돌연변이(突然變異)를 유발(誘發)시켰을때도 여름느타리 버섯과 느타리버섯의 1핵(核) 균사(菌絲)에서 crystal을 형성(形成)하는 균주(菌株)를 얻었다 .

  • PDF

버섯균사체를 배양시킨 몇 종의 곡물 중 베타글루칸과 glucosamine 함량 (β-glucan and glucosamine contents in various cereals cultured with mushroom mycelia)

  • 이희덕;이가순
    • 한국균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167-172
    • /
    • 2009
  • Mycelia of Pleurotus ostreatus, Phellinus linteus, Ganoderma lucidum and Lentinus edodes were cultured in the selected cereals to generate functionally active cereals. The optimum water contents for the mycelial growth were 50%(wt/wt) for brown rice, barley and soybean and 75% for wheat and corn, respectively. P. ostreatus grew well in the most cereals while the mycelial growth of P. linteus, G. lucidum and L. edodes in soybean were siginificantly retarded. The contents of β-glucan and glucosamine in the mycelial cereals were determined. Wheat cultured with mushroom mycelia showed high ß-glucan content. Especially, wheat with G. lucidum contained the highest value of 26.16%. Soybean cultured with G. lucidum showed two-fold increase in glucosamine content with 9.63% of total mass while wheat showed 7.91%. Overall, wheat cultured with G. lucidum was the best functional cereal in terms of β-glucan and glucosamine contents.

고지질이 유발된 흰쥐에서 버섯된장 추출물의 Hypolipidemic 효과 (Hypolipidemic Effect of Extracts of Syobean Paste Containing Mycelia of Mushrooms in Hyperlipidemic Rats.)

  • 양병근;박준보;하상오;김기영;금교혁;박건영;윤종원;송치현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228-232
    • /
    • 2000
  • The hypolipidemic effects of soybeam paste containing mycelia of Phellinus linteus, Cordyceps militaris, Ganoderma lucidum were evaluated in hyperlipidemic rats. Body weight of the rats fed with soybean paste containing mycelia of Ganoderma lucidum (ESG)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control group wherea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body weight in order diet groups. Food intake, food efficiency ratio, and liver and kidney weight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diet groups examined. However, the spleen weight of ESG group was markedly lower than other groups. Significant decreases in serum total cholesterol, LDL-cholesterol and liver total cholesterol were also observed in all diet groups tested. All groups fed with soybean paste containing mycelia of mushroom were also observed in all diet groups tested. All groups fed with soybean paste containing mycelia of mushroom were almost equally effective in increasing plasma HDL level and decreasing the atherogenic index, whereas the ratio of HDL to total cholesterol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all experimental diet groups.

  • PDF

Cellulase from the fruiting bodies and mycelia of edible mushrooms: A review

  • Wu, Yuanzheng;Shin, Hyun-Jae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127-135
    • /
    • 2016
  • Cellulose is the most abundant organic polymer constituent of the cell wall of green plants and of various forms of algae. The complexity of lignocellulosic biomass is a major challenge in industrial research. Most mushroom species that naturally grow on soil or wood possess cellulases and the corresponding enzymatic system and, potential candidates for the direct bioconversion of softwood polysaccharides into fermentable sugars. However, there have been fewer studies on mushroom cellulases than on fungi such as Trichoderma spp., exploit the full potential of mushroom cellulases. This review will focus on the current status ofmushroom cellulase research and applications and will provide insight into promising future prospects.

인삼박으로 배양된 버섯 균사체 추출물이 암세포 증식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ycelia Extracts of Mushroom-Cultured Ginseng By-product on Proliferation in Cancer Cell Lines)

  • 박은미;김수정;예은주;배만종;조경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323-329
    • /
    • 2005
  • 인삼박의 가용성 추출물을 용출시킨 후 남은 잔여 묵인 인삼박에 상황버섯, 영지버섯, 운지버섯, 표고버섯 균사체를 접종ㆍ배양하여 얻어진 인삼박 균사체 추출액의 전자공여능 및 간암세포(Hep3B)와 고형암(S-180)의 증식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인삼박 균사체의 전자공여능은 500-10,000ppm 범위에서 농도가 진할수록 높게 나타났으며 운지가 4종류의 균사체 추출물 중 가장 높았다. 간암세포의 형태변화 및 증식 억 제 에 미 치 는 영 향은 에 탄을 추출물이 물 추출물보다 효과적이었으며, 60% 에탄을 추출물 5,000 ppm에서 상황, 영지,운지에 비해 표고가 99.1%로 가장 강한 세포증식억 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S-180 고형 암 억제효과는 대조군에 비해 운지가 65%로 가장 컸으며 영지 61%, 표고 56%, 상황 59%의 고형암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인삼박을 이용하여 배양된 버섯 균사체가 간암세포와 고형암의 증식 억제에 효과적인 것으로 관찰되므로써 항암물질의 자원으로서 그 활용성이 기대된다고 하겠다.

항암성과 향미가 개선된 재래식 버섯균사체메주의 제조 (Preparation of Mushroom Mycelia-cultured Traditional Meju with Enhanced Anticaricinogenicity and Sensory Quality)

  • 김영숙;박철우;김석종;박숙자;류충호;조현종;김정옥;임동길;하영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986-993
    • /
    • 2002
  • 항암성과 향미가 개선된 기능성 재래식 버섯균사체메주는 버섯균을 액체배양하여 재래식메주의 각 면에 5개씩 만든 구멍(1X3 cm)에 버섯균배양액을 메주 무게의 10%를 접종한후 $25^{\circ}C$에서 4주간 배양하여 제조하였다. 제조한 버섯균사체 메주 중 상황, 영지, 또는 신령버섯균사체메주가 항암성과 향미완화능이 우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