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ushroom cultivation house

검색결과 36건 처리시간 0.022초

산느타리버섯 원목재배 시 수종별 생육 및 수량특성 (Growth and yield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ree species in the log cultivation of Pleurotus pulmonarius)

  • 이재홍;이남길;문윤기;정태성;권순배;박영학;김인종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105-110
    • /
    • 2016
  • 산느타리버섯의 원목재배 시험결과 플라스틱 콘테이너 상자($50cm{\times}35cm{\times}30cm$)내에 토양매립하였을 경우 '향산' 품종에서는 원목당 수량이 340 g 정도로 톱밥종균 접종과 액체종균 접종에서 큰 차이가 없었고, '호산' 품종에서는 톱밥종균 접종이 원목당 450 g으로 수량이 높았으나 액체종균 접종은 259 g으로 낮게 나타났다. 원목을 비가림하우스내 토양에 매립하였을 경우 미루나무에 비해 가중나무의 수량이 높게 나타났고, 품종에 있어서는 '향산' 품종보다 '호산' 품종의 수량이 더 높게 나타났다. 산느타리버섯의 적정 수종 선발시험에서는 버드나무와 벚나무가 '호산' 품종 및 '향산' 품종 모두에서 수량이 높게 나타났다.

균상재배 느타리버섯에서 분리한 Hypocrea속 균의 생리적 특성 (Physiology characteristics of genus Hypocrea isolated at oyster mushrooms of the shelf cultivation)

  • 이찬중;문지원;정종천;공원식;전창성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68-73
    • /
    • 2015
  • Hypocrea속 병해는 전남 해남 및 고흥지역에 심하게 발생하여 재배농가에 큰 피해를 주고 있으며 최근에는 전국적으로 발생되고 있다. 병원균은 자낭균에 속하며 초기에는 유백색이나, 후기에는 갈색 또는 황갈색을 띠며, 0.5~2.0 cm 크기의 자실체들이 다수가 뭉쳐 기형적인 형태를 형성하며, 자실체가 형성된 부위에서는 버섯이 발생되지 않는다. 자낭각은 자실체의 표면 바로 아랫부분에 매몰부분에 형성하고. 그 안에 다수의 자낭을 형성한다. 자낭이 어린 상태에서는 자낭포자가 8개로 보이나 성숙되면서 16개의 자낭포자가 형성된다. 수집균주의 배양온도별 균사생장 및 자실체 형성정도를 조사한 결과 균사생장은 $15^{\circ}C$에서 H-1과 H-12균주가 가장 빨랐지만, $20^{\circ}C$$25^{\circ}C$에서 H-8, H-9, H-13, H-14 등 4 균주는 매우 느린 생육을 보였다. 자실체는 $20^{\circ}C$$25^{\circ}C$에서 발생하였지만, $15^{\circ}C$에서는 발생하지 않았으며, 수집균주 중 H-2, H-3, H-6, H-13, H-14 등 5 균주가 자실체를 형성하였다. 영양원의 C/N율에 따른 균사생장 및 자실체 형성정도는 H3균주의 경우 질소원 $NH_2SO_4$와 asparagine을 첨가한 처리한 구에서는 C/N율 30에서 생육이 가장 좋았고, H14 균주의 경우 질소원 $NH_2SO_4$와 cystin을 첨가한 처리한 구에서는 C/N율 100에서 생육이 가장 좋았다. 자실체는 histidine과 asparagine 처리구에서 주로 발생하였으며, histidine-70과 asparagine-100 처리구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였다. 이 병은 균사생장기간에는 발병여부가 확인되지 않고, 하온후 균상표면에 버섯과 비슷한 병원균 자실체가 발생한다. 병원균 자실체는 버섯의 자실체보다 딱딱하고, 초기에는 유백색이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갈색으로 변색된다.

영구형 큰느타리버섯 재배사의 환경요인 분석 (Analysis of Environment Factors in Pleurotus eryngii Cultivation House of Permanent Frame Type Structure)

  • 윤용철;서원명;이인복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25-137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큰느타리버섯 재배사의 환경조절을 최적화하고 시스템 설계에 대한 기초자료를 얻기 위하여 진주인근에 위치한 샌드위치패널을 이용한 영구형 재배사 2동을 대상으로 2003년 11월부터 2005년 10월까지 재배사 내부에서 측정한 환경인자들을 중심으로 검토하였다. 실험지역의 외기온은 평년의 것과 대체로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시스템 변경전의 경우, 동절기에는 전체적으로 설정온도보다 낮게 유지되었고, 또 최상부와 최하부의 최대온도 편차도 $5.1^{\circ}C$ 정도로 상층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시스템의 변경 후의 경우, 난방시 대체로 설정온도 범위에서 조절되는 경향을 보였고, 공기정체나 온도층의 역전현상이 나타나지 않았다. 상대습도는 시스템 변경 후, $80{\sim}100%$ 정도의 범위로서 권장상대습도 범위에 있었다. 전체 재배기간동안 탄산가스 농도는 $400{\sim}3,300mg{\cdot}L^{-1}$ 정도의 범위에 있었다. 조도는 권장조도보다 전반적으로 낮게 유지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고, 산도는 대체로 일정하게 유지되었다. 수확량은 전체적으로 일정하지 않았고, 포기재배의 경우가 상대적으로 등외품이 적었으며, 증수 효과도 있었다. 전력소비량은 계절별로 일정한 경향이 있음을 알 수 있었고, 하절기보다 동절기에 전력소비량이 현저히 많은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Tunnel System에 의(依)한 양송이 합성배지(合威培地) 발효(醱酵) 및 자실체(子寶體) 생산(生産)에 관한 연구(硏究) (Studies on Fermentation of Compost and Mushroom Production of Agaricus bisporus (Lange) Sing. in the Tunnel System)

  • 박정식;신관철;김광포;박용환
    • 한국균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117-122
    • /
    • 1981
  • 본연구(本硏究)는 노동비(勞動費), 광열비(光熱費)의 다량(多量) 소모(消耗)와 높은 생산비투여(生産費投與)를 요비(要求)하는 한국(韓國)의 단순재배체계(單純栽培體系)를 개선(改善)할 수 있는 방법(方法)으로서 tunnel system을 개발실용화(開發實用化)하기 위(爲)하여 실시(實施)하였다. 1. Tunnel system은 후발효(後醱酵) 중(中)의 배지(培地) 및 공기온도(空氣溫度)를 관행방법(慣行方法)보다 정확(正確)히 조절(調節)하므로 배지(培地)와 공기온도(空氣溫度)의 편차(偏差)를 $2^{\circ}C$ 이내(以內)로 좁힐 수 있었다. 2. Tunnel system은 후발효시(後醱酵時) 가온(加溫)없이 퇴비자체열(堆肥自體熱)을 이용(利用)할 수 있었으므로 고압(高壓)스팀 보이라 사용(使用)으로 인(因)한 다량(多量)의 연료투입(燃料投入)이 불필요(不必要)하였다. 3. Tunnel 후발효시(後醱酵時) 퇴비(堆肥)의 전실소(全室素) 및 수분함량(水分含量)은 관행방법(慣行方法)보다 높았고, 배지(培地)의 암모니아 태실소(態室素) 잔류량(殘留量) 은 300ppm 이하(以下)로 양질(良質)의 배지(培地)를 제조(製造)할 수 있었다. 4. Tunnel system으로 제조(製造)한 퇴비배지(堆肥培地)에 균사(菌絲)를 배양(培養)할 때 관행방법(慣行方法)과 차이(差異)가 없었고 균사생장(菌絲生長) 중(中) 가온(加溫)이 불필요(不必要)하였다. 5. 자실체수량(子責體收量) 및 개체중(個體重)은 tunnel system이 관행방법(慣行方法)보다 높아서 본(本) 방법(方法)은 한국(韓國)에서 채용(採用)할 수 있는 재배체계(栽培體系)임이 입증(立證)되었다.

  • PDF

버섯재배사에서 긴수염버섯파리, Lycoriella mali의 발생양상 (Occurrence of Lycoriella mali (Diptera: Sciaridae) in Mushroom House)

  • 이흥수;김형환;박정규;신현열
    • 한국균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420-423
    • /
    • 1999
  • 버섯재배에 피해를 주는 긴수염버섯파리의 발생양상을 알아보기 위하여, 경남 산청과 사천의 느타리버섯 재배사에서 성충과 유충 및 용의 밀도변동을 조사하였다. 긴수염버섯파리는 버섯재배 전기간 동안 유아등 및 배지에서 발견되었으며 버섯재배가 진행됨에 따라 밀도가 증가하였다. 유충의 경우 종균접종후 30일 경부터 배지에서 발생하기 시작하였다. 발생이 가장 많은 시기는 봄재배기간인 $3{\sim}6$월 하순이었고 $8{\sim}9$월 중에는 발생이 적었다. 가을재배시에 다시 밀도가 높아지며 겨울재배시에도 상당한 발생과 피해를 나타냈다. 가해양상으로는 유충이 배지와 균사를 가로지르며 섭식하고, 균사간 결합을 끊어서 균사생장과 발이가 불량하게 되고, 버섯대의 기부에서 주름살까지 파고들어 버섯형성과 상품성에 피해를 줄뿐만 아니라 배지도 직접 가해하였다.

  • PDF

β-glucan 함량과 관능검사를 통한 상황버섯 품질기준 모색 (Exploring the quality standard of Phellinus spp through β-glucan content and sensory evaluation)

  • 신용욱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47-52
    • /
    • 2017
  • Objective : Phellinus spp. mushroom is an object of interest because it has excellent anticancer effect. Owing to the similalarities in the morphology, Phellinus linteus and Phellinus baumii are often used as same Sang Hwang Mushroom in the Korean market.. The quality control for mushrooms is needed because there are many differences in the efficacy according to cultivation method and cultivation area. Therefore, a reliable authentication method of these herbal medicine is necessary to compare and measure the amount of beta-glucan which is known to have a hypoglycemic effect, from the mushrooms collected in various regions Methods : 7 samples of medicinal mushrooms supplying phellinus spp. were collected in Korea, China and Cambodia. We investigated the hardness, colors, extract ratio, ${\alpha}-amylase$ and ${\alpha}-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ies, glucose transporter 4 (GLUT-4) expressions of water extracts from Phellinus spp and also MTT assay were examined for cell toxicity. Results : The results revealed that Phellinus spp.water Ext.inhibited ${\alpha}-glucosidase$ activity. glucose transporter 4 (GLUT-4), the key insulin signaling pathway transcription factor, was remarkably increased by the Phellinus baumii water extract Conclusions :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more yellowish the mushroom is, the lower the hardness, the more the content of ${\beta}-glucan$ is proportional. Because the more ${\beta}-glucan$, the greater the effect of hypoglycemia. compared to the hypoglycemic effect, Phellinus Baumii grown at hanging on selves for 7 month in the green house is the best.

큰느타리버섯 재배사의 실태분석 - 서부경남지역을 중심으로 - (Analysis of Actual State of Facilities for Pleurotus eryngii Cultivation - Based on Western Gyeongnam Area -)

  • 윤용철;서원명;유찬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217-225
    • /
    • 2004
  • 본 조사는 최근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새송이버섯 재배농가의 안정적 영농을 위해 재배사 설계, 시공 및 환경조절과 관련한 기초 자료를 마련하기 위해 서부 경남지역을 대상으로 새송이버섯 재배사의 재배사 규모, 환경조절시스템 등의 실태조사 및 검토를 하였다. 재배사의 형태는 반영구재배사와 영구재배사로 대별 할수 있었고, 반영구재배사는 대부분 단동이었고, 영구재배사의 경우는 단동에 비해 상대적으로 연동이 많았다. 그리고 재배사의 규모는 형태에 관계없이 다양하였지만, 길이, 폭 및 동고는 각각 20m, $6.6\~7.0m$$4.6\~5.0m$정도의 농가가 가장 많았으며, 동당 바닥면적은 $132\~140m^2$(40-42평)정도의 범위로서 대부분 콘크리트로 처리하여 각종 균에 의한 버섯의 오염을 방지 할 수 있도록 되어 있었다. 반영구 및 영구재배사의 지붕경사각은 각각 $41.5^{\circ}$$18.6\~28.6^{\circ}$로 나타나 반영구재배사의 지붕경사도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재배상의 폭 및 단수는 재배사의 형태에 관계없이 각각 $1.2\~1.6m$정도와 4단이 주류를 이루고 있었다. 버섯을 연중재배 하는 재배사에는 모두 냉${\cdot}$난방시설, 가습장치 및 환기팬이 설치되어 있었다. 난방방식의 경우, 온수보일러, 전기히터, 증기보일러 순으로 나타났다. 냉방장치의 경우는 모두 산업용 에어컨을 설치하여 운용하고 있었다. 그리고 가습은 초음파가습기와 원심분리가습기를 사용하고 있었으며, 보조 장치로 분무노즐을 사용하는 농가도 일부 있었다. 또한 온${\cdot}$습도 조절 및 탄산가스 조절을 위한 장치의 제어는 동별 제어시스템을 많이 채택하고 있었다. 그리고 온도센서 이외는 모두 타이머를 이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배지병의 크기는 850 cc 및 1,100 cc를 사용하는 농가가 주류를 이루고 있었고, 이 밖에도 800cc와 950 cc, 1,200 cc병을 사용하는 농가도 있었다. 출하형태는 대부분 유통회사와 공판장을 동시에 이용하고 있었다.

느타리버섯 재배사에서 한국산 Steinernema와 Heterorhabditis를 이용한 버섯혹파리(Mycophila speyeri)의 생물적 방제 (Biological Control of Mycophila speyeri Barnes (Diptera: Cecidomyiidae) using Korean Steinernema and Heterorhabditis Isolates in Pleurotus ostreatus Cultivation House)

  • 김형환;추호렬;이동운;이흥수;전흥용;하판정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233-239
    • /
    • 2004
  • 느타리버섯 재배사에서 버섯혹파리(Mycophila speyeri)에 대한 한국산 곤충병원성 선충 Steinernema carpocapsae 포천 계통, S. logicaudum 논산 계통, S. glaseri 동래 계통, Heterorhabditis bacteriophora 함양 계통과 Heterorabditis sp. 경산 계통의 방제효과를 평가하였다. 5종의 한국산곤충병원성 선충 중 버섯혹파리에 대한 방제는 steinernema 속 3종보다 Heterorhabditis 속 2종의 효과가 높았다. 방제효과가 가장 높았던 종은 H. bacteriophora 함양 계통이었으며, $1.5 m^2$$1\times10^6$ 마리로 처리한 7일, 14일, 21일째 방제효과는 창녕에서 $49.0\%,\;89.5\%,\;89.1\%$였고, $1\times10^5$마리로 처리했을 때는 $46.5\%,\;76.7\%,\;85.4\%$였다. 그리고 진주에서는 $1\times10^6$마리로 처리한 7일, 14일, 21일째 방제효과가 $54.0\%,\;74.5\%,\;79.8\%$였으며, $1\times10^5$마리로 처리했을 때는 $49.0\%,\;76.6\%,\;61.1\%$였다.

한국(韓國)에 있어서 풀버섯[Volvariella volvacea(Bull. ex Fr.) Sing.] 재배(栽培)에 관(關)한 몇가지 시험(試驗) (Some Experiments on the Cultivation of Straw Mushroom, Volvariella volvacea (Bull. ex Fr.) Sing. in Korea)

  • 박용환;장학길;정청삼;김동수
    • 한국균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21-24
    • /
    • 1974
  • 본(本) 시험(試驗)은 우리나라에서 열대(熱帶)및 아열대(亞熱帶) 지방(地方)에서 재배(栽培)되고 있는 풀버섯[Volvariella volvacea(Bull. ex Fr.) Sing.]의 재배(栽培) 가능성(可能性)및 다수확방법(多收穫方法)을 구명(究明)코자 실시(實施)되었다. 1. 우리나라에 있어서 재배적기(栽培適期)는 6월말경(月末頃)부터 8월말(月末)의 2개월(個月) 내외(內外)의 기간(期間)이었다. 2. 볏짚은 5일간(日間) 수침(水浸)한 후 재배사내(栽培舍內)에서 정열(頂熱)($60^{\circ}C$. 6시간(時間))후(後) $55^{\circ}C$ 내외(內外)에서 6일간(日間) 후발효(後醱酵)한 것이 야외퇴적(野外堆積)한 후 후발효(後醱酵)시킨 것보다 증수(增收)되었다. 3. 5일간(日間) 수침(水浸)한 볏짚을 6일간(日間) 후발효(後醱酵)하여 배지(培地)를 만들고 종균접종(種菌接種) 7일(日) 후(後)에 양토(壤土)로서 복토(覆土)하였을 때 볏짚 100kg당 20.49kg으로 가장 높은 수량(收量)을 얻을 수 있었다.

  • PDF

새송이 버섯 재배사의 환경요인 계측 (Analysis of Environment Factors in eryngii Cultivation House)

  • 박성우;윤용철;서원명;이근후
    • 한국농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공학회 2003년도 학술발표논문집
    • /
    • pp.347-350
    • /
    • 2003
  • Pleurotus eryngii is one of the most promising mushrooms produced on the domestic farms. The quality as well as quantity of Eryngii is sensitively affected by micro climate factors such as temperature, relative humidity, $CO_2$ concentration, and light intensity. At the commercial mushroom cultivation houses,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find out reasonable range of each environmental factor and yield together with economic and safe structures influencing on the optimal productivity of Eryngii.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from Jan. 26, 2003 to Aug. 2, 2003. Ambient temperature during the experiment period was not predominantly different from that of a normal year. The capacity of the hot water boiler and the piping systems were not enough. Maximum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upper and lower growth stage during a heating time zone was about $6^{\circ}C$. The max. and min. relative humidity were ranged approximately $42{\sim}100%$. The $CO_2$ concentration and the illuminance were lowly maintained during growing period. The average yield per bottle was about $54{\sim}102g$.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