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useum Asset Management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2초

모바일 RFID 장치를 이용한 박물관 관리 시스템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Prototype Implementation of Museum Asset Management System Using Mobile RFID Devices)

  • 김영일;정태수
    • 한국전자거래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자거래학회 2005년도 종합학술대회
    • /
    • pp.78-84
    • /
    • 2005
  • As the research activities related to 'Ubiquitous Computing' whose concept was introduced by Mark Weiser are growing,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technology has recently gained attention as a technology to advance the ubiquitous computing and a lot of related researches are also in progress. Research works done so far are mainly linked to the situation that the research outputs apply to meet the requirements for asset tracking and data sharing with partners over supply chain by using fixed RFID readers. However, it is essential that users have access to real-time information about the tagged objects and services whenever and wherever they want in the era of ubiquitous computing, so mobile devices-including PDA, smart phone, cellular phone, etc - which are equipped with an RFID reader can be regarded as an essential terminal for users living in ubiquitous computing environment. As far as the application with mobile devices are concerned, there are many considerations due to their limited capabilities of data processing, battery consumption and so on. In this paper, we review the generic RFID network model and introduce the revised RFID network model in consideration of incorporation with mobile devices equipped with an RFID reader. Also, we derive the requirements for software embedded within an RFID- enabled mobile terminal and then discuss essential components for implementation. Moreover, we develop the applications for asset management at museum by using mobile RFID network model.

  • PDF

제주지역 박물관의 의장적 특징에 관한 사례연구 -제주특별자치도 경관관리지침을 중심으로- (A Case Study on Design Characteristics of Museums in Jeju - Focused on Landscape Management Guideline of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

  • 박정근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15권1호
    • /
    • pp.47-56
    • /
    • 2013
  • As architecture has a role of vessel that contains human life, architecture of museums in a region must be a vessel that contains identity of the region. Jeju Province possesses excellent natural landscape acknowledged by the world. As such, architectural design of museums in Jeju region, differentiated in terms of natural, humanistic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from other regions, must include identity of Jeju. Jeju has established and is operating so many museums with different themes that it is referred to as the heaven of museums. In addition, museums as cultural facilities must be the measure of cultural level representing regional identity and perform the role of advance guard that leads architectural culture of the region. Also, such excellent architectural asset is an important landscape element that increases value of the region. Based on Landscape Management Guideline established in 2009 by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under such critical mind, this study will support design problems and improvements of museums through case study and analysis on design characteristics of national and private museums in Jeju.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to be pursued by future museums that contain identity of Jeju, based upon the results of analysis described above.

장소자산을 활용한 농촌 문화예술공간의 콘텐츠 차별화 방안 (Differentiating Contents for Rural Art Spaces through Place Assets)

  • 정예은;정나은;이병민
    • 예술경영연구
    • /
    • 제56호
    • /
    • pp.275-304
    • /
    • 2020
  • 본 연구는 최근 증가하는 농촌 문화예술공간의 수와 농촌의 문화적 잠재력 확대에 주목하여, 장소자산의 활용을 통해 농촌 문화예술공간의 콘텐츠를 차별화하고 경쟁력을 높이는 방안에 관해 논의하였다. 우선 농촌 문화예술공간의 현황과 역할을 파악하고, 장소 자산에 관한 이론적 논의를 검토하였다. 이를 토대로 사례연구를 진행하였으며 물리적 요소, 인적 요소, 상징적 요소로 장소자산을 분류하여 사례에 적용하였다. 연구 대상은 아미 미술관과 감자꽃 스튜디오로 선정하였으며, 분석을 위해 현장조사와 관계자 심층인터뷰를 진행하였다. 분석 결과 두 사례지는 물리적 장소 자산 중의 하나인 농촌의 폐교를 활용하고 있다는 공통점이 있으나, 그 밖의 장소자산 요소 활용에서는 차이를 보였으며 이는 서로 다른 유형의 콘텐츠 차별화 방안으로 귀결되었다. 사례 분석을 통해 농촌의 문화예술공간을 주민 친화형, 아티스트 친화형, 관광 친화형의 세 가지 유형으로 도출할 수 있었으며, 각 유형에 따라 차별화된 장소 자산의 활용과 콘텐츠 개발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농촌이라는 환경에서 문화예술공간의 지속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하였고, 나아가 농촌 문화예술공간 활성화를 통한 농촌 지역의 문화적 재생을 도모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태안해안국립공원의 번식기 조류상과 관리 (Avifauna and Management of Breeding Season in Taeanhaean National Park)

  • 백인환;진선덕;유재평;백운기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39-146
    • /
    • 2010
  • 태안해안국립공원의 번식기에 서식하는 조류 현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공원내 해안선 지역과 10개의 도서 지역을 선정하여 2009년 7월 5일부터 9일까지 3개 팀으로 나누어 동시 조사하였다. 전체 관찰종은 58종 7,323개체였고, 해안선 지역은 48종 6,187개체, 도서 지역은 33종 1,136개체였다. 공원내 최우점종은 괭이갈매기로서 약 60%에 이르며, 공원과 인접한 도서에서 집단 번식한 개체로 추정된다. 한편, 연안 지역에서만 관찰된 조류는 흰뺨검둥오리, 물닭, 중백로 등 25종 318개체이고, 도서 지역에서만 관찰된 조류는 가마우지, 칼새, 섬개개비 등 10종 308개체였다. 도서지역에서는 가의도를 비롯한 유인도서에서 종과 개체수가 높게 나타났는데, 도서 면적과 수자원 유무, 다양한 서식지와 관련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과거 자료와 금번 조사 결과, 주요 우점종은 유사한 경향을 보이고 있으며, 2007년 기름유출 사고 지역임에도 2004년보다 수조류가 증가한 점에서 회복되어가는 것으로 판단된다. 현재 태안해안국립공원과 인접한 연안은 매립과 조력발전소가 조성 및 예정되고 있고, 도서지역은 펜션증가 등이 예상되면서 중요한 서식지 훼손과 교란이 예상된다. 이러한 위협요인에 대비하고, 공원의 적절한 관리를 위해서는 조류정보가 부족한 도서 지역에 대한 조류모니터링을 강화하거나 탐조가의 조류결과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조류정보시스템이 우선적으로 필요하다고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