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fferentiating Contents for Rural Art Spaces through Place Assets

장소자산을 활용한 농촌 문화예술공간의 콘텐츠 차별화 방안

  • 정예은 (건국대학교 문화콘텐츠학과) ;
  • 정나은 (건국대학교 문화콘텐츠학과) ;
  • 이병민 (건국대학교 문화콘텐츠학과)
  • Received : 2020.09.30
  • Accepted : 2020.11.13
  • Published : 2020.11.30

Abstract

This paper discusses a way to differentiate contents and enhance the competitiveness of art spaces in rural regions through place assets, noting the growing number of rural art spaces and their great potential as cultural spaces in recent years. First, we surveyed existing research and resources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us and roles of rural art spaces in the context of theoretical discussions on place assets. Based on this, we classified place assets into physical, human, and symbolic elements. After that, we conducted two case studies that apply this classification. For the case studies on the Ami Art Museum and the Potato Flower Studio, we investigated the sites and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the directors following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Our findings through the case studies show that Ami Art Museum and Potato Flower Studio remodeled closed school buildings, which are known as physical place assets in rural areas. However, there was a difference in utilizing other place asset elements, and this resulted in different types of differentiated contents. We found three types of rural art spaces from two case studies: inhabitant-friendly, artist-friendly, and tourist-friendly. Finally, in our research, we presented a method of utilizing place assets that differentiate rural art places along with a method for developing differentiated contents. To conclude, the significance of our study is that it attempted to find out a way to make rural art spaces sustainable, and sought cultural regeneration in rural areas through revitalization of rural art spaces.

본 연구는 최근 증가하는 농촌 문화예술공간의 수와 농촌의 문화적 잠재력 확대에 주목하여, 장소자산의 활용을 통해 농촌 문화예술공간의 콘텐츠를 차별화하고 경쟁력을 높이는 방안에 관해 논의하였다. 우선 농촌 문화예술공간의 현황과 역할을 파악하고, 장소 자산에 관한 이론적 논의를 검토하였다. 이를 토대로 사례연구를 진행하였으며 물리적 요소, 인적 요소, 상징적 요소로 장소자산을 분류하여 사례에 적용하였다. 연구 대상은 아미 미술관과 감자꽃 스튜디오로 선정하였으며, 분석을 위해 현장조사와 관계자 심층인터뷰를 진행하였다. 분석 결과 두 사례지는 물리적 장소 자산 중의 하나인 농촌의 폐교를 활용하고 있다는 공통점이 있으나, 그 밖의 장소자산 요소 활용에서는 차이를 보였으며 이는 서로 다른 유형의 콘텐츠 차별화 방안으로 귀결되었다. 사례 분석을 통해 농촌의 문화예술공간을 주민 친화형, 아티스트 친화형, 관광 친화형의 세 가지 유형으로 도출할 수 있었으며, 각 유형에 따라 차별화된 장소 자산의 활용과 콘텐츠 개발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농촌이라는 환경에서 문화예술공간의 지속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하였고, 나아가 농촌 문화예술공간 활성화를 통한 농촌 지역의 문화적 재생을 도모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2019년도 건국대학교 우수연구인력 양성사업 지원에 의한 논문임.: 이 연구는 2017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NRF-2017S1A3A2067374).

References

  1. 고정민.신한나.최지원(2019), 미술관 전시에서의 사진 촬영이 체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예술경영연구」, 49: 37-63.
  2. 곽수정(2007), 유휴공간의 문화공간화를 위한 콘텐츠 연구,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 전문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 김광선.유은영.허주녕(2017), 「농촌문화자원을 활용한 문화.여가정책 개선방안」, 한국농촌경제연구원.
  4. 김성희(2011), 폐교를 활용한 문화시설의 네트워크를 통한 지역 문화예술 활성화 방안연구-평창군 폐교 네트워크를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미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김응천.김재범(2014), 예술 공론장 개념을 통한 예술의 공공성에 관한 탐색적 연구, 「예술경영연구」, 29: 5-28.
  6. 김태연.필립 로우(2012), 신내생적 농촌발전의 개념적 특성과 활용 가능성 모색 세계화에 대응하는 대안적 농촌개발모델의 모색, 「공간과 사회」, 39: 115-161.
  7. 김학수(2019), 도시재생을 위한 문화공간의 유동적 특성에 관한 연구 : 들뢰즈의 생성 사유를 중심으로, 국민대학교 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김현정(2010), 공간콘텐츠 도입을 통한 공간의 재기호화과정 연구-< 2010 새만금 깃발 축제> 를 대상으로,「기호학 연구」, 28: 345-370.
  9. 김현호(2003), 장소판촉적 지역발전을 위한 장소자산형성에 관한 연구, 「국토연구」, 36: 77-95.
  10. 김현지.문정민(2012), 지역축제 활성화를 위한 문화공간콘텐츠 개발방향에 관한 연구 -전남지역 '꽃' 축제 중심으로-, 「한국디자인포럼」, 37: 143-153.
  11. 김현호.한표환(2004), 「지역발전을 위한 향토자원의 개발 및 활용방안」, 한국지방행정연구원 기본연구과제.
  12. 김혜영.김세준(2014), 박물관의 장소성 형성요인이 장소애착과 장소가치인식, 행위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예술경영연구」, 30: 185-217.
  13. 나보리(2015), 농촌의 문화공간 현황과 과제, 「문화농촌.창조농촌-농촌의 가치와 문화전략」, 북코리아.
  14. 류정아(2010), 농촌지역 문화환경 개선방안 연구, 「한국문화관광연구원」.
  15. 문화체육관광부(2019), 「2019전국문화기반시설총람」.
  16. 박은실(2002), 문화활동의 유형에 따른 문화지구 형성과 장소마케팅, 「공간과사회」, 17: 30-61.
  17. 박신재(2017), 미술관 도슨트의 미술작품 해설 유형이 관람자 감상에 미치는 영향,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백선혜(2004), 소도시의 문화예술축제 도입과 장소성의 인위적 형성, 「대한지리학회지」, 39(6): 888-906.
  19. 백현충(2015), 「폐교, 문화로 열리다」, 산지니.
  20. 안유미.김주연.백승경(2016), 장소기억 기반 문화예술공간의 재생디자인에 관한 연구,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11(5): 105-117.
  21. 안지언(2013), 지역문화예술공간으로서 예술촌에 관한 탐색적 연구, 「예술경영연구」, 26: 137-177.
  22. 윤세정.이정교(2016), 서비스디자인을 적용한 문화예술공간에 관한 연구 -금호아트홀 연세를 중심으로-,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11(5): 163-173. https://doi.org/10.35216/KISD.2016.11.5.163
  23. 윤유석.이상영.강방훈(2011), 농촌 활성화를 위한 문화콘텐츠 개발 방안, 「인문콘텐츠」, 21: 105-125.
  24. 이무용(2003), 장소마케팅 전략에 관한 문화정치론적 연구, 서울대 지리학과 박사논문.
  25. 이상문(2019), 농촌다움의 담론 전개와 개념 체계 정립, 「농촌계획」, 25(4): 129-149. https://doi.org/10.7851/Ksrp.2019.25.4.129
  26. 이영주.이병훈(2019). 지역문화공간 설립을 위한 문화공간 콘텐츠 연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14(1): 129-140.
  27. 이응규.고동우(2013), 농촌 폐교의 문화시설로의 활용을 위한 기초적 연구 - 김영갑 갤러리 두모악 미술관을 대상으로,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15(2): 83-90.
  28. 이해진(2009), 농촌정책 패러다임의 변화와 농촌지역개발사업: 농촌마을종합개발사업을 사례로, 「농촌사회」, 19(1): 7-47.
  29. 임학순(1997), 도시 문화예술공간의 확충방향, 「국토」, 189: 30-36.
  30. 전병태(2013), 「지역 문화관광 활성화를 위한 융합형 레지던스 공간 설립 및 운영 방안 연구」, 한국문화관광연구원.
  31. 정도채.정유리.김정승.김유나(2019). 저밀도 경제 기반의 농촌산업 활성화 방안, 한국농촌경제연구원 기본연구보고서.
  32. 정수희.이병민(2014), 창조적 장소자산으로서 예술자산의 유형과 사례 연구,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7(1): 28-44.
  33. 정수희.이병민(2016), 지역의 문화자산으로서 문화콘텐츠와 문화콘텐츠관광 연구. 「관광연구논총」, 28(4): 55-80.
  34. 존 크레스웰(2013), 질적 연구방법론: 다섯 가지 접근, Qualitative Inquiry & Research Design: Choosing Among Five Approaches(조흥식.정선욱.김진숙 역), 서울: 학지사.
  35. 최연구(2006), 「문화 콘텐츠란 무엇인가」, 살림.
  36. 한종구.장동민 (2009), 소도시 문예회관 계획에 대한 연구 - 홍성군 광천복지문예회관을 중심으로,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11(1): 1-8.
  37. Balfour, B., Michael W-P Fortunato, M., & Alter, T.(2016), "The creative fire: An interactional framework for rural arts-based development", Journal of Rural Studies, 63: 229-239. https://doi.org/10.1016/j.jrurstud.2016.11.002
  38. Kotler, P., Haider, D., & Rein, I.(1993), Marketing Places: Attracting Investments, Industries, and Tourism to Cities, States, and Nations, New York: The Free Press.
  39. Markusen, A.(2007), "An Arts-Based State Rural Development Policy", The Journal of Regional Analysis & Policy, 37(1): 7-9.
  40. McHenry, J.(2011), "Rural empowerment through the arts: The role of the arts in civic and social participation in the Mid West region of Western Australia", Journal of Rural Studies, 27: 245-253. https://doi.org/10.1016/j.jrurstud.2011.03.001
  41. OECD.Publishing.(2006), The New Rural Paradigm: Policies and Governance, Organis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42. Yin, Robert K.(2009), Case Study Research: Design and Methods, Los Angeles, Calif. :Sage Publications.
  43. 강원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웹진 http://gwarte.or.kr/webzine_eatda/
  44. 국가법령정보센터 http://www.law.go.kr/
  45. 문화체육관광부 https://www.mcst.go.kr/
  46. 아미미술관 홈페이지 http://amiart.co.kr/
  47. 감자꽃스튜디오 홈페이지 https://potatoflower.modoo.a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