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uscat Bailey A

검색결과 36건 처리시간 0.025초

만생종 중립계 포도 품종 Sheridan, Tano Red 및 Muscat Bailey A의 저장성 비교 (Storage Life Comparison of late Maturing Medium Sheridan, Tano Red and Muscat Bailey A Seed Grapes)

  • 남상영;강한철;김태수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6권4호
    • /
    • pp.376-379
    • /
    • 1999
  • 만생종 중립계 포도에 대한 저장성을 검토하기 위해 재배면적이 많은 Sheridan, Tano Red 및 Muscat Bailey A 등 3품종을 공시하여 저장전 SO$_2$훈증처리, 저장온도 $0^{\circ}C$, 습도 90% RH의 조건에서 polyethylene film으로 밀봉하여 저장성을 시험하였다. 중량 감소는 저장기간이 경과할 수록 많았으며, Sheridan 품종이 감소의 정도가 가장 적었다. 비정상과는 저장기간이 경과할수록 많았고, 저장 90일 이후 급격히 증가하여 상품성이 저하되었으며, 135일 저장 시 Sheridan

  • PDF

에틸렌 흡착제와 활성탄 처리에 의한 저장 포도의 품질 특성 (Quality of Stored Grape (Vitis labruscana) Treated with Ethylene-Absorbent and Activated Charcoal)

  • 장금일;이제홍;김광엽;정헌상;이희봉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5권9호
    • /
    • pp.1237-1244
    • /
    • 2006
  • 포도의 저장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기 위하여 'Sheridan'과 'Muscat Bailey A' 품종을 에틸렌 흡착제 및 0.1, 0.5, 1.0 및 2.0%의 활성탄을 처리하여 $0{\pm}1^{\circ}C$에서 $90{\pm}2%$의 습도상태에서 60일간 저장하면서 중량감모율, 비정상과 발생률, 탈립율, 당도, 유리당함량, 총산, anthocyanin 색소 함량, 진균수를 조사하였다. 전체적으로 'Sheridan', 'Muscat Bailey A' 두 품종 모두 무처리에 비하여 에틸렌 흡착제 및 활성탄을 처리하였을 때 저장성이 증가하였다. 품종별로는 'Sheridan'이 'Muscat Bailey A'보다 저장성이 우수하였으며, 처리구별로 무처리구에 비하여 에틸렌 흡착제, 활성탄 수준이 높을수록 중량감모율, 비정상과 발생률, 탈립율, 당도 및 진균수의 증가에 대한 억제 효율이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유리당 함량 및 포도과피의 anthocyianin 함량을 조사한 결과 'Sheridan', 'Muscat Bailey A' 두 품종 모두 저장 기간 중 유리당 함량 및 포도 과피의 anthocyanin 함량이 조금 증가하였고, 품종별로는 'Sheridan'이 'Muscat Bailey A'보다 증가율이 높게 나타났지만, 처리구간 유의적인 차이는 적었다, 또한, 총산은 'Sheridan'과 'Muscat Bailey A' 두 품종 모두 저장 기간 중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낸 반면, 처리구별 차이는 적었고 품종별로는 'Sheridan'이 'Muscat Bailey A'보다 적게 감소하였다. 전체적인 결과를 종합해보면 포도 저장 중 활성탄 처리 효과가 에틸렌 흡착제에 의한 효과와 유사하게 저장성을 향상시키는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처리구별로는 에틸렌 흡착제, 2% 활성탄>1% 활성탄>0.5% 활성탄 처리 순으로 저장성이 우수하게 나타났다.

양조용(釀造用) 우량(優良)포도품종(品種) 선발(選拔)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y on the Selection of Wine Grape Varieties for High Yielding and Low Production Cost)

  • 이재창
    • 농업과학연구
    • /
    • 제2권1호
    • /
    • pp.187-197
    • /
    • 1975
  • 1. 다수성(多收性)이고 당함량(糖含量)이 높아 원료생산비(原料生産費) 저렴한 양조용(釀造用) 포도품종(品種)을 선발(選拔)하기 위하여 33품종(品種)을 공시(供試)하였다. 2. 구라파에서 육성(育成)한 대부분(大部分)의 양조용품종(釀造用品種)은 원산지(原産地)에서 보다 현저하게 당함량(糖含量)이 낮았다. 양조전용품종(釀造全用品種)은 당함량(糖含量)이 모두 17% 미만이었다. 3. 과방중(果房重)이 큰 품종은 Dattier(Ga), Golden Queen, Muscat Bailey A, Danored 등(等) 4품종(品種)이었다. 4. Juice율(率)은 60~90%의 범위로써 Himrod Seedless. Delaware(Ga), Fredonia가 가장 높았다. 5. 양조용품종(釀造用品種)은 생식용(生食用)에 비(比)하여 과방중(果房中) 종자(種子) 및 과경율(果梗率)이 높아 과육율(果肉率)이 떨어졌다. 6. 가장 수량(收量)이 높은 품종(品種)은 Muscat Baiely A이었고 다음이 Danored, Golden Queen이었다. 7. Juice 생산량(生産量)이 가장 높은것은 Campbell Early, Danored, Muscat Bailey A 및 Golden Queen이었다. 8. 포도주원료생산비(原料生産費)로 보아 양조용(釀造用)으로 유망한 품종(品種)은 적주용(赤酒用)은 Muscat Bailey A, Alden, Steuben, Danored, Campbell Early, S-1000 및 S-13053 등(等)이고 백주용(白酒用)은 Dattier de St-Vallier(Ga), Golden Queen 및 S-9110(Ga)등(等)이었다.

  • PDF

머루포도 씨 추출물의 $\alpha$-Melanin Stimulating Hormone으로 자극한 B16세포에서 melanin 생성억제 효과 (Inhibitory Effect of Muscat Bailey A Seed Extract on Melanin Production in $\alpha$-Melanin Stimulating Hormone-stimulated B16 Cell)

  • 이평재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477-482
    • /
    • 2009
  • 한국에서 주요하게 재배되는 세 개의 품종(켐벨, 청포도, 머루포도)을 대상으로 껍질과 씨 추출물의 미백효능을 검색하였다. Mouse melanoma인 B16세포에 $\alpha$-MSH와 샘플을 처리하여 melanin 생성을 측정하였다. 세 품종의 껍질은 효과가 없었으며 켐벨과 청포도의 씨 추출물은 세포독성이 매우 강하였다. 머루포도 씨 추출물은 $50{\mu}g/ml$에서 대조구에 비해 melanin 생성은 $51.6{\pm}20.5%$ 이었으며 세포 생존율은 $90.4{\pm}11.3%$ 이어서 약간의 세포 독성에도 불구 melanin 생성 억제 효과가 뚜렷하였다. 머루포도 씨 추출물은 B16세포에서 $\alpha$-MSH에 의한 tyrosinase 발현량 증가를 억제하였다. 이후 연구는 1) 머루포도 씨의 생리활성 단일물질 검색과 2) $\alpha$-MSH의 신호전달 과정에 추출물 및 생리활성 단일물질이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하는 점이고 현재 실험에 진행 중에 있다.

포도주(葡萄酒) 제조방법(製造方法)에 관(關)한 비교연구(比較硏究) (A Comparative Study on the Manufacturing Processes of Red Wine)

  • 변상숙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13권3호
    • /
    • pp.139-144
    • /
    • 1980
  • 포도주(葡萄酒)의 제조방법(製造方法)과 품종(品種)에 따른 제품(製品)의 물리(物理) 화학적(化學的) 변화(變化)를 조사(調査)하였다. 또 그들의 기호성(嗜好性)에 대(對)한 관능검사(官能(檢査)를 하므로서 평가(評價)한 몇가지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원료포도(原料葡萄)의 성분(成分)에서 수분함량(水分含量)은 $90.70{\sim}90.82%$로서 품종간(品種間)에는 차별(差別)이 없고 Brix 당도(糖度) 및 당분함량(糖分含量)은 Muscat Bailey A>Alden>Campbell Early의 순(順)이였다. 적정산도(滴定酸度)는 Muscat Bailey A Alden>Campbell Early의 순(順)이였고 PH 는 Campbell Esrly>Muscat Bailey A Alden의 순(順)이였다. 2) 발효(醱酵)가 진행(進行)됨에 따라 포도주(葡萄酒)의 비중(比重)은 약간 낮아지는 경향을 보이었다. 3) 포도주(葡萄酒)의 주정도(酒精度)는 초기(初期)에는 효모첨가배양구(酵母添加培養區)>비세척자연발효구(非洗滌自然醱酵區)>세척자연발효구(洗滌自然醱酵區)의 순(順)이였으나 숙성(熟成)이 됨에 따라 차(差)는 적어졌다. 4) 발효액(醱酵液)의 PH는 효모첨가배양구(酵母添加培養區)에 비(比)하여 자연발효구(自然醱酵區)가 약간 낮으나 숙성(熟成)됨에 따라 차(差)가 적어졌다. 5) 총(總) Ester 양(量)은 발효(醱酵) 초기(初期)에는 효모첨가배양구(酵母添加培養區)가 자연발효구(自然醱酵區) 보다 약간 높았으며 발효(醱酵)가 진행(進行)됨에 따라 전반적(全般的)으로 증가(增加)되는 경향(傾向)을 보인다. 6) 발효성(醱酵性)에 따른 관능검사(官能檢査)의 결과(結果) 발효조건(醱酵條件)에 따라서는 효모첨가구(酵母添加區)>비세척자연발효구(非洗滌自然醱酵區)>세척발효구(洗滌醱酵區)의 순(順)이였고 품종(品種)에 따라서는 Alden>Muscat Bailey A>Campbell Early 순(順)으로 우수성을 나타내었다.

  • PDF

동결건조 Muscat Bailey A 포도로 만든 아이스와인의 발효 특성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Ice Wines Prepared with Freeze-dried Muscat Bailey A Grapes)

  • 전은정;김재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173-179
    • /
    • 2014
  • 국내산 포도주의 품질 개선을 위한 발효 방법으로 국내산 포도 Muscat Bailey A를 동결건조기를 이용하여 인공적으로 당분을 농축시키고 이를 발효하여 아이스와인을 제조하였으며 시중 아이스와인과 같이 환원당이 많이 잔존하면서 알코올 도수는 $10{\pm}5%$ 내외로 발효를 종료해 일반적으로 제조한 포도주와 비교하여 품질 특성을 조사하였다. 일반적 아이스와인 기준과 유사한 포도즙(must) 당도 $34.8^{\circ}Bx$와, 보당에 따른 포도주 발효에서 정상 발효될 수 있는 한계점으로 생각된 포도즙 당도 $40.8^{\circ}Bx$로 포도를 동결건조한 후 포도주를 제조하였으며, 포도주 발효 과정 중에 발효특성을 알코올, 당도, 환원당 함량과 pH, 총산, 효모생균수, 포도주 생산량을 측정해 보았는데, ice wine $34^{\circ}Bx$와 ice wine $40^{\circ}Bx$는 농축된 당, 산으로 인해 발효가 종료되었을 때 잔존하는 환원당은 대조구가 0.3%인 반면 ice wine $34^{\circ}Bx$와 ice wine $40^{\circ}Bx$는 각각 21.5%와 23.9%를 나타내었다. 또한 알코올 함량은 대조구 9.6%에 비해 각각 10.3%와 10.6%를 나타냈으며, 총산 함량이 높았고 정상발효가 일어났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유리당, 유기산 조성을 보아도 아이스와인의 경우가 발효전후에 함량이 높게 나왔으며, 총 페놀함량도 468 mg/L인 대조구와 비교하여 ice wine $34^{\circ}Bx$와 ice wine $40^{\circ}Bx$는 각각 1,304, 1,350 mg/L로 높아 건강기능적인 측면에서도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메탄올, 알데히드함량은 식품공전의 기준치를 넘지 않았으며, 농축되어 진한 색을 띈 ice wine $34^{\circ}Bx$와 ice wine $40^{\circ}Bx$는 520 nm 흡광도에서 높았으며, 이는 색도 L, a, b 값을 통해서도 확인하였다. 시중 판매되는 레드 아이스와인인 Pinot Noir ice wine과 sweet wine인 Concord 품종 와인을 포함하여 5가지 포도주의 색, 향, 단맛, 종합적 기호도를 조사한 결과 환원당이 가장 높은 Pinot Noir ice wine이 단맛에서 강도가 가장 높았고, ice wine $34^{\circ}Bx$와 ice wine $40^{\circ}Bx$가 색, 향, 종합적 기호도에서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전체적인 기호도에서는 색, 향이 우수하면서도 적당한 단맛을 가진 ice wine $34^{\circ}Bx$가 가장 우수한 기호도를 보였다.

동결농축 Muscat Bailey A 포도 과즙으로 제조한 무가당 적포도주의 품질 특성 (Properties of Red Wine Fermented Using Freeze-Concentrated Muscat Bailey A Grape Juice)

  • 황성우;박희동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7권6호
    • /
    • pp.807-813
    • /
    • 2010
  • 국산 포도주의 품질을 향상시키고 개선하기 위한 발효방법의 일환으로 국내산 Muscat Baily A 포도 과즙을 약 $24^{\circ}Brix$가 되게 동결농축한 후 포도주 발효를 수행하였다. 효모로는 산업용 포도주 효모인 S. cerevisiae $OC_2$, S. cerevisiae Fermivin, S. cerevisiae W-3를 이용하였으며 이들에 의한 농축 과즙의 알코올 발효를 행하면서 발효 특성과 발효 후 여과하여 제성한 포도주의 품질 특성을 조사하였다. 발효가 끝날 시점의 알코올 함량은 12.6-13.0%로 비슷하였으며 환원당의 함량은 거의 흔적 정도로 검출되었다. pH는 약 3.4-3.7, 총산 함량은 0.62-0.71%로 모든 시험구에서 정상적으로 발효가 일어났음을 알 수 있었다. 발효 종료 후 여과한 포도주의 아세트알데히드, 메탄올, fusel oil의 함량은 식품공전에 명시된 과실주의 기준치보다 매우 낮게 나왔으며 총 폴리페놀 함량은 1.42-1.56 mg/mL 정도를 나타내었다. 각 시험구의 포도주는 모두 농축으로 인하여 진한 색을 띄었고 특히 적색을 나타내는 520 nm에서의 흡광도가 높았으며 이는 색도인 L, a, b 값을 통해서도 확인하였다. 관능검사를 실시한 결과는 색, 향, 전반적인 기호도에서 S. cerevisiae OC2$OC_2$ 포도주가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향과 맛은S. cerevisiae Fermivin 포도주가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Muscat Bailey A 품종 포도주의 청징과 여과에 따른 이화학적 특성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Based on Fining and Filtering of Muscat Bailey A Grape Wine)

  • 방병호;백진경;이승옥;정은자;이문수;이동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4권11호
    • /
    • pp.1687-1692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국내산 포도 품종을 이용한 'unfined' 혹은 'unfiltered' 포도주의 제조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경북 영천에서 재배된 Muscat Bailey A 품종을 이용하여 제조하였으며 가당을 하여 $28^{\circ}Brix$로 조절하였다. 알코올 발효 후 정제 과정에 들어가기에 앞서 청징제 첨가와 여과기 사용 여부에 따라 시료 A, B, C로 나누어 청징, 여과, 병 숙성 후의 각 시료별 이화학적 성분을 측정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시료 A는 청징제를 첨가하고 여과기도 사용하였고 시료 B는 청징제만 첨가하고 여과기는 사용하지 않았으며, 시료 C는 청징제도 여과기도 사용하지 않았다. 병 숙성을 마친 후의 각 시료별 총 페놀 함량, intensity, hue, color, 유기산 함량, 휘발성 향기 성분을 측정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총 페놀 함량은 시료 C가 다른 시료들에 비교해 최대 19% 정도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고, intensity와 hue, color의 측정 결과는 예상대로 여과 과정을 거친 시료 A가 다른 시료들과 비교하여 가장 선명하고 투명한 색상을 나타냈으나 색의 안정성 면에서는 떨어졌다. 유기산 함량과 휘발성 향기 성분의 측정은 전체적인 결과에서 각 시료별로 차이가 크게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청징 과정과 여과 과정의 유무에 따른 차이라고 하기보다 다른 요인들에 의해 영향을 받게 된다고 사료된다. 실험 결과 중에서 시료별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던 유기산 함량은 발효 중 malo-lactic fermentation 과정이 이루어졌더라면 더욱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을 것이라 생각되며, 휘발성 향기 성분은 청징 과정이나 여과 과정이 아닌 다른 양조 과정에서의 조건의 변화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Impact of a reduction in the quality of Shine Muscat on the grape variety market using the Armington model

  • Byung Min, Soon;Sumin, Cho;Sounghun, Kim
    • 농업과학연구
    • /
    • 제48권4호
    • /
    • pp.911-926
    • /
    • 2021
  • We devised a grape variety model to estimate the impact of lowering the Shine Muscat quality level on the grape market. Shine Muscat has become a popular grape variety in Korea. Accordingly, the area devoted to the harvesting of Shine Muscat has increased dramatically since 2016. Our study examines how a reduction in the quality of Shine Muscat affects other grapes such as Campbell Early, giant peak, and Muscat Bailey A (MBA). The Armington model was used to impose consumer preferences and product differentiation assumptions. We found that a decrease in the consumer preference for Shine Muscat realized by lowering the quality of Shine Muscat largely reduces the price of this variety. Also, the prices of other grape varieties fell via a substitute effect. Moreover, if grape varieties were more differentiated, the reduction in the price of Shine Muscat would be greater, while the decreases in the prices of other grape varieties would be smaller. These results imply that farmers of Shine Muscat must continue with quality management efforts to avoid the negative effect of changing consumer behavior with regard to Shine Muscat against a reduction in its quality. Our model introduces a product differentiation model for the fruit market and helps policymakers and farmers understand the impact of changing market conditions in the fruit market.

포도주에 관한 연구 (제2보) - 포도주 양조방법 및 숙성촉진에 대하여 (Studies on the Grape Wines (part II) - On the browing methods and the aging)

  • 박찬조;김성열;오만진
    • 농업과학연구
    • /
    • 제2권2호
    • /
    • pp.451-462
    • /
    • 1975
  • Steuben. Muscat Baily. A, Merlot, Campbell Early 및 Alden으로 포도주를 시양(試釀)하여 품질을 비교하고 Muscat Baily A를 원료로 몇가지 담금법을 검토하였으며 또한 포도주의 인공적 숙성법을 검토하기 위하여 후발효가 끝난 포도주에 가열처리와 초음파 처리를 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품종별 포도주 성분에 있어서 Extract는 Steuben이 2.55%, Alden이 1.88%, 색도(O.D)는 Merlot가 3.5, Alden이 1.05였으며 다른 성분에 있어서는 품종간에 별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다. 한편 관능검사 결과에 의하면 Steuden과 Muscat Baily A가 가장 양호 하였고 다음으로는 Merlot, Campbell Early, Alden의 순이었다. 2. 포도주 파쇄물료를 $55^{\circ}C$에서 20분간 처리 함으로서 잡균 번식 억제에 있어서 $SO_2$100ppm 첨가구와 같은 효과가 인정 되었으며 가열처리구의 색도는 $SO_2$ 첨가구에 비하여 훨씬 진하였으나 약간의 혼탁이 있었다. 3. 보당(補糖)재료로서 물엿은 부적당 하였으며 주발효가 끝난 포도주에 소정량의 주정을 첨가하여 후발효 시키면 주질은 대조구에 비슷하였다. 4. Campbell Early로 발효시킨 포도주를 $50^{\circ}C$에서 50분간 처리한 결과 총 Ester는 0.45%에서 0.6%로, 색도(O.D)는 2.8에서 3.17로 증가 하였다. 5. Muscat Baily A로 발효시킨 포도주를 $40^{\circ}C$에서 50분간 처리한 결과 총 Ester는 0.37%에서 0.65%로, 색도(O.D)는 3.7에서 4.20으로 증가 하였다. 6. Muscat Baily A를 발효시킨 포도주를 초음파(15watt, 20kc)로 10시간 처리한 결과 총 Ester가 0.3%에서 0.47%로 증가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