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ultiple regression equation

검색결과 487건 처리시간 0.032초

경호학과 학생들의 전공수업만족도가 진로 결정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lass Satisfaction among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Security Services on Career Decision Efficacy)

  • 백경화;지치환
    • 시큐리티연구
    • /
    • 제21호
    • /
    • pp.19-33
    • /
    • 2009
  • 본 연구는 경호학을 전공하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전공수업만족도가 진로 결정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는데 있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성별에 따른 전공수업만족도와 진로 결정 효능감의 차이에서는 전공수업만족도의 하위변인 중 학습요인, 대인관계, 적성요인, 진로요인, 진로 결정 효능감의 하위변인 중 미래계획, 목표해결, 직업정보, 문제해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소속 학교와 학년에 따른 전공수업만족도와 진로 결정 효능감의 차이에서는 전공수업 만족도의 하위변인 중 학습요인, 대인관계, 적성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전공수업만족이 미래계획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전공수업만족도의 학습요인, 적성요인, 진로요인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전공수업만족이 목표해결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전공수업만족도의 학습요인, 적성요인이 목표해결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전공수업만족이 직업정보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전공수업만족도의 적성요인, 진로요인이 직업정보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전공수업만족이 문제해결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전공수업만족도의 진로요인이 문제해결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오차드그라스 ( Dactylis glomerata L. ) 품종들의 예취에 따른 엽생장과 수량형성 II. 오차드그라스 품종들의 생장지수들과 건물수량과의 관계 (Leaf Growth and Forage Yield in Three Cultivars of Orchardgrass ( Dactylis glomerata L. ) over Cutting Stages II. Relationship between forage yield and growth indices)

  • 이호진;김훈기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110-116
    • /
    • 1988
  • 1. 분얼수는 3차 예취기에서가장 많았으며, 이시기까지 계속 증가를 하였지만 가을 예취기에서 급격히 감소했다. 엽면적 지수는 3차 예취기에서 가장 높았으며, 보통 예취직후 서서히 증가를 하다가 15~20일부터 빠르게 증가하였다. 2. 各 예취기 건물수량은 1次와 3次 ~예취가 다른 時期에 比하여 높게 나타났으며, 예취기별 건물중 變化는 葉面積 指數의 變化와 비슷한 樣相을 보이고 있었다. 3. LER은 예취후 20-30일l, SLW는 25-30日, CGR은 25~25日 사이에 最大速度에 도달했다. CGR은 1次 빛 3次 예취기에서 비교적 높았다. NAR은 約 20일 정도에 최대에 도달했는데, 棄乾物 重에는 NAR보다 다른 生長指標들이 더욱 크게 作用함을 알 수 있었다. 4. 乾物收量과 가장 높은 相關은 LAI와 CGR 으로서 각각 0.905와 0.962를 보여 고도의 正의 相關을 나타내였고 LER과 LAI 間에도 正의 相關인정되었다. 收量의 추정에 최적식은 LAI와 CGR을 변수로 사용하여 얻어 졌다. 5. LAI와 CGR 및 收量과의 관계로서 결정한 예취의 適期는 各 예취기별로 다르게 나타났으나 32일에서 36일 사이에 존재하였다.

  • PDF

전남 유통 브랜드쌀 품질의 연중 및 연차 변이 특성 (Characterization of Seasonal and Annual Variations in Quality of Rice Brands Distributed in Jeonnam Province)

  • 안규남;이인;신서호;민현경;권오도;박흥규;신해룡;김한용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2권2호
    • /
    • pp.79-86
    • /
    • 2017
  • 본 연구는 전남지역 시군에서 생산, 유통되고 있는 브랜드쌀의 품질평가를 실시하여 연차간 변이와 유통쌀의 품질에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자 수행되었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전남의 연중 브랜드쌀 품질 변이는 도요윤기치 3.1%, 백도 2.1%, 단백질함량 1.6%, 수분함량 1.0%, 완전미율 0.4% 순으로 컸고 4월 이후부터 품질특성이 저하되었다. 2. 연차별 브랜드쌀 품질 변이는 단백질함량(5.6%), 도요윤기치(5.2%)가 컸고 백도(2.7%), 완전미율(1.8%)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3. 식미치와 단백질함량은 최저기온, 일조시간, 강수량, 일교차와 높은 상관을 보였고 완전미율은 일교차와 부의 상관을, 분상질립율은 강수량과 높은 정의 상관을 보였다. 4. 단백질함량, 수분함량, 백도, 완전미율 등 밥맛과 상관이 높은 항목을 이용한 식미추정회귀식 산정 결과 y = - 6.71a + 2.27b + 1.29c + 0.51d - 15.34 ($R^2$=0.51*)이었으며 이 때 y는 관능식미, a는 단백질함량(%), b는 수분함량(%), c는 백도, d는 완전미율(%)이었다.

구조방정식모형을 이용한 병원행정직의 인성, 정신건강 및 피로가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분석 (Analysis of the Influence of Human Nature Factors, Mental Health Factors and Fatigue on Occupational Stress among Hospital Administrative Staff Us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

  • 배상윤;김승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3호
    • /
    • pp.221-229
    • /
    • 2015
  • 본 연구는 병원행정직 근무자들의 인성요인, 정신건강요인 및 피로와 직무스트레스 간의 관련성을 파악하고 직무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측정하였다. 2014년 6월 1일부터 2014년 7월 31일까지의 조사기간에 전라북도 지역 30개 병원의 재직자 189명을 조사 하였다. 직무스트레스는 인성요인, 정신건강요인 및 피로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위계적 다중회귀분석 결과, 남성보다는 여성에서, 우연신념이 높을수록, 외적통제신념이 낮을수록, 자아존중감이 낮을수록, 상황적 피로수준이 높을수록, 사회심리적 스트레스 수준이 높을수록, 우울수준이 높을수록 직무스트레스가 높았으며 이들의 설명력은 60.4%이었다. 공분산 구조분석 결과, 인성, 정신건강 및 피로 요인과 직무스트레스의 인과관계가 확인되었으며, 인성요인은 정신건강요인이나 피로수준보다는 직무스트레스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참기름의 회분식 착유의 최적화 (Optimization of Batch Expression of Sesame Oil)

  • 민용규;정헌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785-789
    • /
    • 1995
  • 참기름의 회분식 압착 최적화와 압착요인들의 상호관계를 규명하기 위하여 생참깨와 볶은 참깨를 온도($30, 40, 50, 60^{\circ}C$), 압력(10, 30, 50, 70MPa), 압착 시간(5, 7, 9, 11min) 및 수분 함량(2.5, 4.5, 6.5, 8.5%) 별로 압착하였다. 추출율은 수분 함량 2.5~4.5%, 30~$50^{\circ}C$, 30~50MPa일 때 높았으며, 수분 함량을 4.5% 이상으로 증가시키면 급격히 감소하였다. 최적 조건은 생참깨가 온도 $40.1^{\circ}C$, 압력 54.4MPa, 압착 시간 21.7분, 수분 함량 1.3%이었으며, 볶음 참깨는 각각 $44.4^{\circ}C$, 37.8MPa, 14.4분, 2.52%이었다. 최적 조건에서의 추출율은 생참깨가 84.6%, 볶음 참깨가 81.7%이었다. 통계분석 결과 수분 함량이 기름의 추출율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으며, 그 다음으로는 압력, 온도 순이었다. 상호작용 효과는 압력X수분 함량, 온도X수분 함량, 온도X압력의 영향이 컸다. 온도(T), 압력(P), 압착 시간(D) 및 수분 함량(M)과 기름 추출율(Y) 간에는 생참깨가 $Y=18.20$ $35.66P$$24.52M-4.45P^{2}-1.20TM-4.02PM-6.62M^{2},\;r^{2}=0.89$, 볶은 참깨가 $Y=117.93$$16.40P-58.61M-2.75P^{2}$$1.79TM-1.65PM$$7.16M^{2},\;r^{2}$$=0.91$의 관계를 보였다.

  • PDF

일부 병원행정직의 조직시민행동과 관련된 융복합 요인의 관련성 분석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vergence Factors Related to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of Some Hospital Administrative Staffs)

  • 김승희;배상윤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3호
    • /
    • pp.259-266
    • /
    • 2020
  • 본 논문은 병원행정직원의 조직시민행동과 관련된 융복합적인 요인을 찾아보고자 시도되었다. 설문조사는 무기명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사용하여 임의로 선정된 J지역 22개 병원의 행정직원 274명에 대하여 시행되었다. 설문조사 기간은 2019년 7월 1일부터 7월 31일까지 약 한 달간 소요되었다. 위계적 다중회귀분석 결과, 조직공정성의 하위영역인 절차공정성이 높을수록, 집단내신뢰가 높을수록, 조직헌신도가 높을수록 조직시민행동이 높았으며, 이들의 설명력은 41.9%이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볼 때, 병원행정직원의 조직시민행동을 높이기 위해서는 조직공정성의 하위영역인 절차공정성 및 분배공정성을 높이고, 집단내신뢰를 높이고, 조직헌신도를 높이는 노력이 필요하다. 이상의 결과는 병원행정직원의 조직시민행동을 높이는 의료기관의 인적자원관리 및 산업보건교육에 활용이 기대된다. 추후연구에서는 병원행정직원의 조직시민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구조방정식 모형의 수립이 필요하다.

병원행정직의 직무만족도와 관련된 융복합적 요인 분석 (Analysis of Convergent Factors Related to Job Satisfaction among Hospital Administrative Staff)

  • 김승희;배상윤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4호
    • /
    • pp.365-375
    • /
    • 2017
  • 본 연구는 병원행정직의 직무만족도와 관련된 융복합적 요인들을 조사하고자 수행되었다. 조사대상은 임의로 선정된 전라북도 지역 11개 종합병원의 재직자 221명으로 하였으며, 자료수집은 2016년 11월 1일부터 2017년 1월 31일까지 무기명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통해 이루어졌다. 위계적 다중회귀분석 결과, 비교대근무 군이, 병원직원수가 많을수록,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직무특성의 직무다양성이 높을수록, 직무스트레스의 관계갈등 및 보상부적절이 낮을수록, 직무만족도가 높았으며 이들의 설명력은 61.0%이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볼 때, 병원행정직의 직무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자기효능감을 높이고 직무특성 및 직무스트레스를 관리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이러한 결과는 병원행정직의 직무만족도를 높이는 프로그램 및 인적자원관리에 활용이 기대된다. 향후연구에서는 병원행정직의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추가요인에 대한 구조방정식 모형의 분석이 필요하다.

일식 레스토랑 서비스품질이 고객만족을 매개로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the Effect of the Mediator of the Service Quality of Japanese Restaurants to Behavior Intention)

  • 송혜영;이종호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74-190
    • /
    • 2015
  • 본 연구는 일식레스토랑의 서비스 품질요인과 행동의도(재방문, 추천, 충성도)와의 인과관계를 분석하여 일식레스토랑 경영자들에게 단골고객의 유치 전략의 시사점을 제공하기 위하여 부산지역에 거주하는 외식소비자 2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여 실증분석을 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SPSS 18.0 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요인분석, 상관관계분석과 가설검정을 위해서 다중(단순)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분석결과, 일식레스토랑의 서비스품질이 고객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종사원의 서비스가 가장 큰 영향력을 있는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인적서비스가 고객에게 가장 큰 만족을 주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겠다. 일식레스토랑의 고객만족도는 행동의도 즉, 재방문, 추천의도, 충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일식당 서비스품질이 행동의도에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는 요인은 음식의 품질이었고, 가장 낮은 영향력은 물리적 환경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일식레스토랑을 이용하는 외식 소비자들은 음식의 품질이 재방문 및 추천에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겠다. 본 연구를 통해 일식당을 방문하는 고객들은 인지된 서비스품질이 결과적으로 고객만족 및 행동의도에 영향을 준다는 이론적 기반을 검증함으로써, 일식당 경영자들은 높은 수준의 서비스품질을 고객에게 제공하는 것이 영업이익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사실을 고찰하였다. 특히 고객만족에는 종사원의 서비스가 가장 큰 영향력이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지표홍수 빈도곡선의 개발에 의한 미 계측지점의 확률 홍수량 추정 (An Estimation of Flood Quantiles at Ungauged Locations by Index Flood Frequency Curves)

  • 윤용남;신창건;장수형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8권1호
    • /
    • pp.1-9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지표홍수 빈도곡선을 개발하여 미계측 지점에서의 확률 홍수량을 추정해 보았다. 홍수빈도 분석은 한강유역의 9개 지점에 대하여 연최대치 홍수량 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홍수빈도 곡선을 작성한 후 각 지점별 연평균홍수량( $Q_{2.33}$)을 결정하였고, 각 지점별 재현기간에 따른 연평균 홍수량에 대한 비를 산정 후 평균하였다. 그 결과 재현기간별로 다른 홍수량비가 산정되었다. 연평균 홍수량과 유역의 지형인자와의 상관 분석을 통해 다중선형 회귀식을 도출하였다. 미계측 지점의 확률 홍수량은 그 지점의 유역면적과 하상경사를 이용하여 경험식에 의해 연평균 홍수량을 산정 한 후 재현기간에 따른 홍수량비를 곱하여 산정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검증을 위하여 하천정비 기본계획에 수록되어 있는 재현기간별 확률홍수량과 비교한 결과 유역면적 2,000k $m^2$ 이하의 유역에서는 유사한 값을 모의 할 수 있었다. 기존 강우-유출 해석을 기반으로 한 설계 홍수량 추정 방법에의 적용은 재평가되어야 한다. 왜냐하면, 수문자료와 강우-유출모형은 많은 불확실성이 내포하고 있기 때문이다.

김치 동결시의 물리적 특성 및 동결시간 예측 모델 개발 (Development of Freezing Time Prediction Model and Thermo-physical Properties of Frozen Kimchi)

  • 정진웅;김병삼;김종훈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25-130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냉동처리한 김치의 동결에 따른 물리적 특성을 조사하고 적정 동결시간을 예측하기 위한 모델을 개발하였다. 김치의 동결 전후의 밀도를 부피에 대한 중량의 비로 산정한 결과 김치의 밀도는 1001.9$\pm$0.03 kg/㎥(동결전), 987.0$\pm$0.07 kg/㎥(동결후)이었고 김치의 체적팽창은 4.67%(-15$^{\circ}C$)이었다. 김치의 빙결점은 양념액에서 -2.5$^{\circ}C$, 고형분은 -4.$0^{\circ}C$로 측정되었다. 김치의 빙결율은 -5.$0^{\circ}C$일 때 약 50%이상, -1$0^{\circ}C$일 때 약 75% 이상, -$25^{\circ}C$일 때 약 90% 수준이었다 시료의 초기온도( $X_1$), 시료의 두께( $X_2$)와 시료의 초기빙결점에서 동결매체 온도사이의 차의 역수( $X_3$) 및 표면열전달계수의 역수( $X_4$)를 독립변수로 하고 동결시간(Y)을 종속변수로 설정하여 다중회귀 분석을 실시한 결과, $Y_{kimchi}$=3.856 $X_1$+13982.8 $X_2$+8305.166 $X_3$+ 3559.181 $X_4$-639.189($R^2$=0.9632)의 방정식을 구하였다. 이 식은 기존의 모델에 비해 측정치와 예측치가 비교적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평균 절도오차도 10% 수준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