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ultiple regression equation

검색결과 487건 처리시간 0.031초

전통시장 내 소매업 경쟁구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Retail Competition Structure in Traditional Market)

  • 이철성;김영기;김승희
    • 유통과학연구
    • /
    • 제16권6호
    • /
    • pp.55-63
    • /
    • 2018
  • Purpose - Our Research is a study on the competition structure between retailers in traditional markets. Specifically,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SSM, commodity supply store, Hanaro mart, food mart and other mart in traditional markets on retail stores of small business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solution to the market encroachment of large retailers in traditional market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This study is based on the data of 'Market Survey of Traditional Market·Shopping Mall and Store Management in 2016' and 'Current status of SSM(Super SuperMarket), commodity supply store, Hanaro mart, food mart and other mart in the traditional market in 2017' conducted by Small Enterprise and Market Service. In this study, a multiple regression equation was constructed using the number of SSM, commodity supply store, Hanaro mart, food mart and other mart as an independent variable and sales, number of customers as a dependent variable for analysis. Results - The increase of SSM and commodity supply stores in the traditional market affects the sales decrease of the surrounding small merchants in the traditional market. This means that the SSM and commodity supply stores can lead to the decline of the traditional market. However, it has been found that the penetration of these companies in traditional markets does not affect the number of visitors. Second, Hanaro mart's entry into the traditional market has a negative impact on the sales and visitor numbers of the surrounding small-scale merchants.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food mart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sales and the number of visitors to the small store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e food mart can contribute to the revitalization of traditional markets. Lastly, other mart with more than medium size were found to affect the sales of small stores, the number of visitors. Conclusions - We examines the competitive structure among retailers in traditional markets. The penetration of large retailers in traditional markets has a negative impact on traditional markets, particularly Hanaro mart has a greater impact than SSM. We provide practical and theoretical implications for the retail competition structure in traditional markets.

기체크로마토그래피에서 황화합물의 구조를 통한 용리시간 예측 (Retention Time Prediction form Molecular Structure of Sulfur Compounds by Gas Chromatography)

  • 김영구;김원호;박형석
    • 대한화학회지
    • /
    • 제42권6호
    • /
    • pp.646-651
    • /
    • 1998
  • 기체크로마토그래피에서 황화합물의 분자구조와 용리시간과의 관계를 연구하였다. 분석대상인 황화합물은 황화수소, 이산화항, 이황화탄소, 에틸메르캅탄, 황화이메틸, 이소프로필메르캅탄, 노말프로필메르캅탄, 황화에틸메틸, 황화이에틸, t-부틸메르캅탄, 테트라히이드로티오핀, 티오핀, 2-클로르티오핀이었다. 다중선형회귀분석방법으로 용리시간과 분자의 설명인자 사이의 상관관계를 설명할 수 있었다. 기체크로마토그래피에서 오븐 온도 프로그램을 30$^{\circ}C$에서 10.5분간 유지 후 15$^{\circ}C$/min 비율로 150$^{\circ}C$까지 증가하는 것으로 설정하였다. SAS를 사용하여 사대적 용리시간에 대한 예측식을 다음과 같이 얻을 수 있었다. $RRT=0.121bp+14.39dp-8.94dp^2+0.0741sqmw-35.78\;(N=8,\;R^2=0.989, \;Variance=0.175,\;F=66.21)$. 상대적 용리시간은 끓는점, 분자량의 제곱근 및 분자쌍극자모멘트의 함수이며 끓는점에 의한 영향이 가장 컸다. 무극성 컬럼 사용시 분자쌍극자모멘트가 0.805D에서 용리시간이 가장 길었다. 분자구조가 평면성을 띠면서 대칭성이 높은 물질은 용리속도가 작았다. 훈련세트(training set)에서 SAS 프로그램을 통해 얻은 예측식의 상관계수의 제곱$(R^2)$은 0.989이며 분산은 0.175이다. 시험세트(testing set)에서 3개의 황화합물에 대하여 예측식을 통해 얻은 상대적 용리시간과 관측된 값 사이의 분산은 0.432 이었다.

  • PDF

병원행정직의 직무소진과 관련된 융복합적 요인 (Convergent Factors Related to Job Burnout among Hospital Administrative Staff)

  • 김승희;배상윤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10호
    • /
    • pp.349-356
    • /
    • 2017
  • 본 연구는 병원행정직의 직무소진(MBI-GS: Maslach Bunout Inventory-General Survey)과 관련된 융복합적 요인들을 조사하고자 수행되었다. 조사대상은 임의로 선정된 J지역 9개 종합병원의 재직자 201명으로 하였으며, 자료수집은 2017년 7월 3일부터 2017년 7월 29일까지 무기명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통해 이루어졌다. 위계적 다중회귀분석 결과, 조직헌신(OCQ: Organizational Commitment Questionnaire) 점수가 낮을수록, A형행동유형(TABP: Type A Behavior Pattern) 점수가 높을수록, 우울수준(CES-D: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Depression scale)이 높을수록 직무소진이 높았으며 이들의 설명력은 52.1%이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볼 때, 병원행정직의 직무소진을 낮추기 위해서는 조직헌신을 높이고, A형행동유형과 우울수준을 낮추는 노력이 필요하다. 이러한 결과는 병원행정직의 직무소진을 낮추는 프로그램 및 인적자원관리에 활용이 기대된다. 향후연구에서는 병원행정직의 직무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추가요인에 대한 구조방정식 모형의 분석이 필요하다.

종합병원 일부 행정직원의 우울과 관련된 융복합적 요인 (A Study on the Convergent Factors Related to Depression among Some Administrative Staff in General Hospital)

  • 김승희;배상윤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6호
    • /
    • pp.251-258
    • /
    • 2018
  • 종합병원 행정직원의 우울수준(CES-D: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Depression scale)과 관련된 융복합적 요인들을 조사하였다. 설문조사는 2017년 7월 3일부터 2017년 7월 29일까지 임의로 선정된 J지역 9개 종합병원의 재직자 201명에 대하여 무기명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위계적 다중회귀분석 결과, 자아존중감(RES: Rosenberg Self-Esteem Scale)이 낮을수록, 피로(MFS: Multidimensional Fatigue Scale)가 높을수록, 사회심리적 스트레스(PWI-SF: Psychosocial Well-being Index Short Form)가 높을수록 우울이 높았으며 이들의 설명력은 32.5%이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볼 때, 종합병원 행정직원의 우울수준을 낮추기 위해서는 자아존중감을 높이고, 피로 및 사회심리적 스트레스를 낮추는 노력이 필요하다. 이러한 결과는 종합병원 행정직원의 우울수준을 낮추는 조직인사관리 및 산업보건교육에 활용될 수 있다. 추후연구에서는 종합병원 행정직원의 우울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구조방정식 모형의 분석이 필요하다.

위탁급식 전문업체 운영요인들이 거래관계의 질과 재이용의사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Operational Practices of Contract Foodservice Management Company on Relationship Quality and Recontract Intention)

  • 전달영;구혜경;인지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5호
    • /
    • pp.331-345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위탁급식업체의 직 간접 운영요인이 거래관계의 질과 재이용의사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는 것이다. 위탁급식업체 E사의 고객사 담당자들을 대상으로 유효표본 126부의 자료를 수집하였고, 구조방정식 모형과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연구모형과 가설들을 검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위탁급식업체의 운영요인들은 급식의 질과 신뢰 즉 거래관계의 질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첫째, 급식의 질에는 운영비용, 메뉴에 대한 관리 및 서비스관리의 직접운영요인과 브랜드 이미지의 간접운영요인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서비스관리와 메뉴관리가 급식의 질에 상대적으로 큰 영향을 주었다. 둘째, 위탁급식 업체와 고객사간의 신뢰에는 메뉴관리, 위생/시설관리, 브랜드이미지, 영업관리능력 등이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영업관리능력과 브랜드이미지가 신뢰 형성에 상대적으로 큰 영향을 주었다. 셋째, 위탁급식업체의 급식 질은 신뢰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고, 마지막으로 급식의 질과 신뢰는 재이용의사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재이용의사를 높이기 위해서는 급식의 질 뿐만 아니라 무엇보다도 거래 상대방과의 신뢰가 더 중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온도와 압력이 들깨종자의 압착착유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emperature and Pressure on the Oil Expression of Perilla Seed)

  • 민용규;정헌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28-32
    • /
    • 1993
  • 들깨종자의 압착착유에 미치는 온도와 압력의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생들깨와 볶은들깨의 기름의 추출율 및 압착케이크의 부피변형율을 각각의 온도, 압력 및 압착시간에서 관찰하였다. 본 실험을 위해 들깨종자의 수분함량은 2.5%로 조절하였고 온도는 30, 40, 50 및 $60^{\circ}C$가 사용되었고 압력은 10, 30, 50 및 70 MPa을 적용하였으며 압착시간은 5, 7, 9 및 11분을 적용하였다. 온도, 압력 그리고 압착시간이 증가할수록 기름의 추출율 및 압착케이크의 부피변형율은 증가를 하였다. 생들깨와 볶은들깨의 최대 추출율은 $60^{\circ}C$, 70 MPa, 11분에서 각각 85.59% 및 85.30%이었다. 추출된 기름의 점도는 지수함수적인 온도의존성을 보여주었으며, 점도가 낮을수록 즉, 온도가 높을수록 기름의 추출율은 증가하였다. 압착요인과 기름의 추출율 및 압착케이크의 부피변형율과의 상관관계 분석에서 압착요인의 효과는 압력, 온도, 온도${\times}$압력 그리고 압착시간 순으로 감소하였다. 온도(T), 압력(P) 그리고 압착시간(D)과 기름의 추출율(Y)과의 관계는 생들깨는 $Y=7.95+36.85P+1.12T^2-0.55TP-5.08P^2(r^2=0.97\;p<0.01)$였으며, 볶은들깨는 $Y=4.50T+39.23P+0.83T^2-1.71P-5.07P^2(r^2=0.99,\;p<0.01)$이었다.

  • PDF

외국인 근로자의 문화적응 스트레스 영향요인 (Factors Influencing Acculturative Stress of Migrant Workers)

  • 김지현;김보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8호
    • /
    • pp.277-287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에 거주하는 외국인 근로자들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사회적지지, 자아존중감을 파악하고 문화적응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자는 편의표집방법으로 선정하였으며, 충청 남 북도에 거주하는 외국인 근로자 18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는 2016년 6월 1일부터 9월 27일까지 수집되었으며 연구 자료는 SPSS 23.0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사회적지지(r=-.465, p<.001)와 자아존중감(r=-353, p<.001)은 유의한 역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단계별 다중회귀분석결과, 문화적응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자아존중감(${\beta}=-.21$, p<.001), 직업(${\beta}=-.02$ p<.05)으로 나타났으며, 가장 큰 영향력을 가진 변수는 자아존중감이었다. 모형의 설명력 23.0%로 나타났다(F=27.672, p<.001). 이러한 연구결과 볼 때, 외국인 근로자들의 문화적응 스트레스를 경감시키기기 위해서는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키고, 사회적 지지를 증진시키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는 외국인 근로자들의 문화적응을 증진시키기 위한 중재 및 프로그램 개발에 활용이 기대된다. 향후 외국인 근로자들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추가요인에 대한 구조방정식 모형의 분석 연구가 필요하다.

담배 연기발생과 Tipping 재료와의 상관성 연구 (The Relationship Between Smoke-Yields and Tipping Materials of the Cigarette)

  • Kim, Young-Hoh;Lee, Young-Taek;Kim, Sung-Han;Kim, Chung-Ryul;Kim, Jong-Yeol;Shin, Chang-Ho;Lee, Keun-Hoi
    • 한국연초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31-138
    • /
    • 1998
  • In order to minimize the trial frequency in the new filter cigarette design, we studied the relationship between smoke yield and tipping materials of cigarette. A three levels full factorial design involving filament denier (X1,2.5-3.3d), Porosity of the acetate filter plug wrap (X2, 3,500-16,000CU) and porosity of the tip paper (X3, 400-1,200CU) was used. Three independent factors (Xl, X2, X3) were chosen for their effects on the various responses and the function was expressed in terms of a quadratic polynomial equation, Y : $\beta$o + $\beta$1Xl + $\beta$2X2 + $\beta$3X3 + $\beta$11Xl2 + $\beta$22X22+ $\beta$33X32 + $\beta$12X1X2 + $\beta$13XIX3 $\beta$23X2X3 which measures the linear, quadratic, and interaction effects. Twenty-nine trial numbers were obtained as a results of using a three levels full factorial design and it was analyzed by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ith backward stepwise in STATISTICA/pc under restricted conditions. Tar yields of the cigarette was affected by porosity of tip paper (0.66), filament denier (0.47) and porosity of plug wrap (0.28) in the decreasing order, and linear effect of tip paper porosity (B3) and filament denier (91) were significant at a level of 0.01($\alpha$). The filament denier and tipping paper porosity interaction F ratio among three factors had a P-value of 0,000041, indicating higher interaction between these factors. Based on the analysis of variance, the model fitted for Tar (Y1) was significant at 5% confidence level and the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0.96) was the proportion of variability in the data fitted for by the model.

  • PDF

정상 한국인의 하악 전방운동시 시상과로각과 절치로각에 관한 연구 (THE STUDY OF RELATIONSHIP BETWEEN SAGITTAL CONDYLAR GUIDE ANGLE AND INCISAL GUIDE ANGLE DURING MANDIBULAR PROTRUSION IN NORMAL KOREAN)

  • 권긍록;우이형;최대균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1-36
    • /
    • 1989
  • Mandibular movements are guided mainly by three determinants, namely the two posterior controls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nd the anterior control (the incisal guidanc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incisal guide angle in effort to reconcile a patient's condylar guide angle and incisu guide angle, to develop criteria for incisal guidance in clinical practice. 48 subjects (male 33, female 15) with intact intercuspation, without past history and symptoms of stomatognathic system,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All of the subjects had not anterior prostheses. The sagittal condylar guide angles and incisal guide angles were measured and estimated statistically by cephalogram and articulator (Whip-Mix 8500A).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Average of condylar guide angle was 43.33 degree by cephalogram, and was 35.18 degree by articulator. 95% confidence interval was from 40.43 to 46.23 degrees in cephalogram and was from 32.98 to 37.38 degrees in articulator. 2. Average of incisal guide angle was 51.51 degree by cephalogram, and was 44.11 degree by articulator. 95% confidence interval was from 49.12 to 54.95 degrees in cephalogram and was from 40.67 to 47.56 douses in articulator. 3. Difference between condylar and incisal guide angle was 8.18 degree by cephalogram, and was 8.94 degree by articulator. 95% confidence interval was from 4.61 to 11.74 degrees in cephalogram and was from 4.90 to 12.98 degrees in articulator. 4. In case of the incisal guide angle steeper than condylar guide angle, subjects were 69% (33 of 48) in cephatogram and 75% (36 of 48) in articulator. 5. By the multiple regression equation, condylar guide angle was more influenced by the anterior teeth. 6. When the mandible protrudes from the intercuspal position to the edge to edge position the incisal linear movement was 4.18mm (S.D.:1.30mm) and the condylar linear movement was 4.38mm (S.D.:1.26mm).

  • PDF

Methane Production Potential of Feed Ingredients as Measured by In Vitro Gas Test

  • Lee, H.J.;Lee, S.C.;Kim, J.D.;Oh, Y.G.;Kim, B.K.;Kim, C.W.;Kim, K.J.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6권8호
    • /
    • pp.1143-1150
    • /
    • 2003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in vitro methane production of feed ingredients and relationship between the content of crude nutrients and methane production. Feed ingredients (total 26) were grouped as grains (5 ingredients), brans and hulls (8), oil seed meals (9) roughages (3), and animal by-product (1) from their nutrient composition and their methane production protential were measured by in vitro gas test. Among the groups, the in vitro methane productions for both 6 and 24 h incubation were highest in grains, followed by brans and hulls, oil meals and roughages, animal byproducts. Within the group of grains, methane production from wheat flour was the highest, followed by wheat, corn, tapioca, and then oat. Within the brans and hulls, soybean hull showed the highest methane production and cotton seed hull, the lowest. Methane production from oil meals was lower compared with grains and brans and hulls, and in decreasing order production from canola meal was followed by soybean meal, coconut meal, and corn germ meal (p<0.01). Three ingredients were selected and the interactions among feed ingredients were evaluated for methane production.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measured and estimated values of the combinations were 0.91. Methane production from each feed ingredient was decreased with increasing amount of crude fiber (CF), protein (CP) and ether extract (EE), whereas positive relationship was noted with the concentrations of N-free extract (NFE). The multiple regression equation (n=134) for methane production and nutrient concentrations was as follows. Methane production (ml/0.2 g DM)=(0.032${\times}$CP)-(0.057${\times}$EE)-(0.012${\times}$CF)+(0.124${\times}$NFE) (p<0.01; $R^2$=0.929). Positive relationship was noted for CP and NFE and negative relationship for CF and EE. It seems possible to predict methane production potential from nutritional composition of the ingredients for their effective application on formulating less methane emitting r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