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ultiple Intelligences

검색결과 69건 처리시간 0.026초

다중지능이 도서 선호 양상에 미치는 영향 분석 (An Analysis of Multiple Intelligences' Effect on Book Selection Preferences)

  • 최영임;한복희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101-115
    • /
    • 2009
  • 본 연구는 다중지능 이론을 바탕으로 학생들의 다중지능 유형에 따른 도서 선호 양상을 분석하여 그 결과를 학업 성취 수준 간에 비교분석하였다. 자료조사를 위하여 충남 천안의 인문계 고등학생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 자료를 기초로 하여 학업 성취도 상위집단과 하위집단 각각 50명을 표본으로 학생 개개인의 다중지능에 따른 도서 선호도를 조사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가 효과적인 독서지도를 위한 자료로서 후속연구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부모의 양육신념, 양육태도 및 양육행동이 유아의 다중지능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the Parental Beliefs, Parental Attitude and Parental Behavior of Parents on the Multiple Intelligences of Preschoolers)

  • 하순련;서현아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9권5호
    • /
    • pp.131-156
    • /
    • 2013
  • 본 연구는 유아부모의 양육신념과 양육태도 및 양육행동의 각 변인들의 중요성에 관한 충분한 이해와 또한 이들 간의 관련성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유아의 흥미와 관심, 강점과 약점 등 유아의 구체적인 욕구를 중심으로 유아의 다중지능 경험을 보다 통합적으로 실천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유아부모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변인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유아의 성별에 따른 다중지능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유아의 성별구분에 따라 언어지능, 음악지능, 논리수학지능, 공간지능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언어지능, 음악지능, 공간지능은 여아가 높은 수준을 나타냈으나 논리수학지능은 남아가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 연령에 따른 다중지능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유아의 연령구분에 따라 전체 다중지능가운데 논리수학지능, 신체운동지능, 자연지능에서 만 5세 유아가 만 4세 유아와 비교하여 높은 수준을 보여주었다. 셋째, 유아부모의 양육신념, 양육태도, 양육행동이 유아 다중지능의 각 하위변인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한 중다회귀분석 결과, 전체적으로 유아 다중지능의 가장 큰 변인은 유아부모의 양육태도였으며, 그 다음이 유아부모의 양육행동이었으며, 양육신념은 극히 영향력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유아의 다중지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부모의 양육태도 및 양육행동을 증진시킬 수 있는 다양한 지원이 요구됨을 알 수 있다.

다중지능에 의한 부모-교사의 유아 잠재능력 평가간의 인식비교 연구 (Assessment by Parents and Teachers of Young Children's Potential Abilities Based on Multiple Intelligences Theory)

  • 김명희;신화식
    • 아동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33-50
    • /
    • 2001
  • This research analyzed differences between parents and teachers in assessment of young children's potential abilities based on multiple intelligences theory. Subjects were 10 boys and 10 girls, 4 and 5 years of age and their parents and teachers. Children's potential abilities were measured by the Korean Project Spectrum(KPS) and by the assessments of parents and teachers. Data were analyzed by SPSS. Statistical methods were Cronbach's ${\alpha}$, t-test, and Pearson's and Spearman's correlations. Results revealed differences between the assessments of parents and of teachers. While teacher assessments were very similar to the results of the KPS on logical mathematical and linguistic intelligence, the results of parents' assessments were different from the results of the KPS on musical, interpersonal-intrapersonal, and naturalistic intelligence.

  • PDF

다중지능이론에 의한 학교도서관 정보교육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f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al Method through Multiple Intelligences)

  • 이병기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43-60
    • /
    • 2003
  • 정보활용능력이 지식정보사회에 있어서 하나의 리터러시로 등장하면서 정보교육(ILI)은 학교도서관의 주요 역할로 인식되고 있다. 효과적으로 학교도서관 정보교육을 전개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체험을 제공하고, 학생들의 동기 유발과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교수학습 활동 모형이 필요하다. 이에 본고에서는 인간의 다양한 지적 능력과 이에 적합한 활동을 강조하는 다중지능이론(multiple intelligences theory)을 바탕으로 학교도서관 정보교육의 교수학습 활동 모형을 개발하고, 이를 전개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개인적 지능과 정의적 교육 (Personal Intelligences and Affective Education)

  • 정태희
    • 아동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119-139
    • /
    • 1999
  • The present study developed teaching-learning activities to improve personal intelligences and to investigate their effectivenes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both interpersonal and intrapersonal intelligence. Positive effects appeared in cooperative attitudes, capacity to care for and understand others, and in reflective thinking abilities. The results suggest the importance of a balanced educational curriculum in order to enhance human affective aspects, self-esteem, cooperative classroom climate formation and the moral and character development of students. Consistent and systematic investigation is needed on multiple intelligences theory, development of teaching-learning activities, their longitudinal effects, and a fair assessment instrument.

  • PDF

다중지능을 활용한 실천적 문제 중심 가정과 수업이 고등학생들의 학교폭력 예방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Practical Problem Based Home Economics Instruction Using Multiple Intelligences for the Prevention of School Violence by High School Students)

  • 최성연;채정현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56권3호
    • /
    • pp.283-300
    • /
    • 2018
  •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a practical problem based home economics instruction using multiple intelligence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for the prevention school violence by high school students'. The conten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1) Develop the practical problem-based instruction using multiple intelligence and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ies for each protective factor both in teaching method aspects and learning content aspects during the 29-period of lesson plans. 2) Examine the effects of the instruction in the changes of pre- and post- impulsivity and aggression, self-esteem, empathy and attitudes to school violence after implementing home economics lesson plans. 3) Evaluate the instruc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88 first grade students (124 male and 164 female students). The study utilizes a quasi-experimental pre-post design. The effect of the instruction by the paired t-test results showed that the aggression and impulsivity by the learners had been lowered; however, empathy and self-esteem increased; in addition, learners' attitudes toward school violence had changed positively. In conclusion, self-esteem in school as sub-variables of self-esteem increased; however,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다중지능이론 기반의 게임중독치료 프로그램 (Intensive Treatment Program for Students with Game Addiction based on Multiple Intelligences)

  • 전수진;김수환;이원규;한선관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8권1호
    • /
    • pp.13-23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게임중독 학생들을 위한 가드너의 다중지능 이론을 기반으로 한 게임중독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게임중독척도에 의해 선발한 I 교육청 초등학생 54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프로그램 개발 전 무작위로 선발된 비교 학생들과 게임중독학생들의 다중지능을 검사하였다. 다중지능 검사결과, 게임중독 학생들은 일반 학생들에 비해 신체지능, 자연친화지능, 공간지능에서 강점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논리수학지능, 대인관계지능, 자기성찰지능에서는 일반학생에 비해 약점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는 게임중독 학생들의 강점을 고려하여 학생들의 흥미를 높이기 위해 다양한 게임과 학습놀이 위주로 프로그램을 구성하였으며, 그들의 약점을 보완하기 위한 활동들을 추가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은 5일간 30시간에 걸쳐 진행하여 효과성을 검증한 결과, 학생들의 게임 중독 수준(G척도)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낮아졌으며(p<0.001) 다른 활동으로의 시선돌리기에 도움을 주었음을 보였다. 또한, 일주일간 게임시간과 컴퓨터 사용시간이 줄었으며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도 매우 높았다.

협동학습(Cooperative Learning)을 적용한 보건교육 수업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mprehensive Approach to Health Education: Cooperative Learning)

  • 김은주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151-177
    • /
    • 2004
  • Recently, the educational community has attempted to implement the theory of multiple intelligences. In approaching multiple intelligences, teachers have applied the same structural approach which has been so successful with cooperative learning. Cooperative learning is easy to learn and implement, fun for teachers and students, and produce profoundly positive outcomes along a remarkable number of dimensions. Different structures are designed for different outcomes, including enhanced mastery of subject matter, improved thinking skills, team building, class building, development of social character and social skills, communication skills, classroom management, classroom discipline, and development of and engagement of each of the multiple intelligences. Cooperative learning is becoming an increasingly popular teaching strategy. In this study, it is aimed to clarify the application of cooperative learning in health education. Cooperative Learning in health education enhances student learning by: 1) providing a shared cognitive set of information between students, 2) motivating students to learn the material, 3) ensuring that students construct their own health knowledge, 4) providing formative feedback, 5) developing social and health group skills necessary for success outside the classroom, and 6) promoting positive interaction between members of different cultural and socio-economic groups. Cooperative Learning structures and techniques in health education are following. Flash Card, Focused Listing, Structured Problem-solving, Paired Annotations, Structured Learning Team Group Roles, Send-A-Problem, Value Line, Uncommon Commonalities, Team Expectations, Double Entry Journal, Guided Reciprocal Peer Questioning, What if. Because the purpose of health education is the practice, therefore health specialists have to guide powerful and effective teaching method The application of cooperative learning in health education may improve its effectiveness.

유소년영재의 창의적 성향.창의적사고력.다중지능.도덕성에 관한 탐색 (An Exploration on the Creative Disposition, Creative Thinking Power, Multiple Intelligences and Morality of Gifted Children)

  • 류봉선;이경은;홍성용
    • 영재교육연구
    • /
    • 제21권4호
    • /
    • pp.979-992
    • /
    • 2011
  • 영재들은 경험을 통해 많은 재능을 발달시켜나간다. 영재들의 재능 혹은 능력을 최대한 발현시키기 위해서 학령기 초기부터 다양한 환경을 제공하고 탐색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또한 영재들이 가진 그들의 관심과 적성 및 흥미를 학령기 초기부터 알 수 있다면 성장하고 발달하며 진로를 탐색하는데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학령기 초기에 해당하는 유소년영재의 창의적 성향 창의적사고력 다중지능 도덕성의 검사를 통해 유소년 영재의 정의적 인지적 특성을 탐색하여 유소년 영재연구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관찰추천을 통해 선발된 유소년 영재 9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그 결과 창의적 성향 창의적사고력 다중지능 도덕성의 학년에 따른 결과는 2학년과 3학년의 차이가 많음을 알 수 있었다. 성별에 따른 차이는 창의적 성향 다중지능 도덕성의 하위영역에서 여학생이 2학년에서 높았으며 3학년은 차이가 없는 결과를 보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유소년 영재들은 남녀 구분 보다 발달적 이해와 영재의 특성을 고려한 질 높은 적절한 학습 환경의 초기노출이 유능한 인재로의 성장에 도움을 주며, 학년이 높을수록 앞으로 자기 목표의식을 분명히 가지고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초등과학 수업에서 다중지능 요소별 관찰전략을 활용한 관찰학습이 학생의 관찰능력, 성취도 및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An Effect of Multiple Intelligences-Specific Observation Strategy on Observation Skills, Achievement and Scientific Attitude in Elementary Science Class)

  • 이시은;최선영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7권1호
    • /
    • pp.1-10
    • /
    • 2013
  • 본 연구는 초등학교 4학년 2학기 1단원 '식물의 세계'에서 학습자 중심의 다양한 관찰학습을 적용하기 위해 다중지능 요소별 관찰 전략을 개발하여 과학수업에 관찰 학습 프로그램을 적용하고 초등학생들의 관찰능력, 학업성취도,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단원 차시별 관찰 대상 및 주제를 선정하고 다중지능 활용 교수 학습 방법 중 적합한 방법을 추출하여 다중지능 요소별 관찰전략을 개발하였다. 개발한 관찰전략을 활용하는 관찰학습 프로그램 단계를 구상하였으며 관찰능력, 학업성취도, 과학적 태도에 관한 사전검사를 실시하였다. 관찰학습 프로그램 단계마다 개발한 다중지능 요소별 관찰전략 중 적절한 전략을 선택하여 교수학습을 계획하고 수업에 투입하였다. 수업 실시 후 관찰능력, 학업성취도, 과학적 태도에 관한 사후 검사를 통해 효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다중지능 요소별 관찰전략을 적용한 관찰 능력을 검사에서 학생들의 관찰 능력 수준을 상위단계로 발전시키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끼친 것으로 보인다. 관찰 능력 검사의 하위 영역인 진술문 구별하기, 정량관찰, 정성관찰 영역에서 실험반이 비교반보다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둘째, 관찰 전략의 적용은 학생들의 과학적 개념 이해에 효과적이었으며 초등 과학 생물 영역 성취도 검사에서 실험반이 비교반보다 점수가 높은 점수를 받도록 하였다. 셋째, 과학적 태도 검사에서는 과학적 태도의 하위 요소인 개방성, 자진성, 창의성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다중지능 요소별 관찰전략은 과학적 태도 변화에도 긍정적인 효과를 끼쳤음을 알 수 있다. 이 연구 결과를 종합하면 다중지능 요소별 관찰전략을 적용한 결과 관찰능력, 학업성취도, 과학적 태도 모든 영역에서 효과가 있었다. 따라서 다중지능 요소별 관찰 전략은 초등학교의 과학 수업 현장에서 교수 학습 방법의 하나로 제시 될 수 있으며 의미있는 과학수업이 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