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ultimedia routing

검색결과 245건 처리시간 0.046초

모바일 IP에서 Smooth Handoff의 QoS 향상을 위한 SNMP 정보 기반의 계층 라우팅 메카니즘 (SNMP Information Based Hierarchical Routing Mechanism for QoS Improvement of Smooth Handoff in Mobile IP)

  • 유상훈;박수현;이이섭;백두권
    • 한국시뮬레이션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시뮬레이션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61-66
    • /
    • 2003
  • Mobile IP has been designed only to maintain communication as they move form place to place, so it doesn't guarantee Quality of Service(QoS). QoS in mobile IP is important to provide multimedia and real-time applications services in mobile, and it is closely related to handoff delay. Therefore, handoff delay problem is actively studied to guarantee QoS as a main issue in mobile IP research area Next generation Mobile IPv6 resolve this problem somewhat, triangle problem for first packet and handoff delay still remain. In this paper, we suggest SNMP Information-based routing that adds keyword management method to Information-based routing in active network in order to resolve such a problem, and then suggest QoS controlled handoff based on SNMP Information-Based routing. After modeling of suggested method and existing handoff method simulations we carried out with NS-2 for performance evaluation. The results of simulations show the some improvement on handoff delay, and therefore on QoS improvement.

  • PDF

A Network Coding-Aware Routing Mechanism for Time-Sensitive Data Delivery in Multi-Hop Wireless Networks

  • Jeong, Minho;Ahn, Sanghyun
    • Journal of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
    • /
    • 제13권6호
    • /
    • pp.1544-1553
    • /
    • 2017
  • The network coding mechanism has attracted much attention because of its advantage of enhanced network throughput which is a desirable characteristic especially in a multi-hop wireless network with limited link capacity such as the device-to-device (D2D) communication network of 5G. COPE proposes to use the XOR-based network coding in the two-hop wireless network topology. For multi-hop wireless networks, the Distributed Coding-Aware Routing (DCAR) mechanism was proposed, in which the coding conditions for two flows intersecting at an intermediate node are defined and the routing metric to improve the coding opportunity by preferring those routes with longer queues is designed. Because the routes with longer queues may increase the delay, DCAR is inefficient in delivering real-time multimedia traffic flows.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twork coding-aware routing protocol for multi-hop wireless networks that enhances DCAR by considering traffic load distribution and link quality. From this, we can achieve higher network throughput and lower end-to-end delay at the same time for the proper delivery of time-sensitive data flow. The Qualnet-based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our proposed scheme outperforms DCAR in terms of throughput and delay.

혼합형 무선 메시 네트워크를 위한 AODV 개선 연구 (A Study on Improvement of AODV for Hybrid Wireless Mesh Networks)

  • 김호철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6권8호
    • /
    • pp.943-953
    • /
    • 2013
  • 이동 노드의 증가와 무선 네트워크 기반의 서비스 요구의 다양화로 무선 메시 네트워크(WMN)가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하지만 WMN를 실제 서비스하기 위해서는 아직 해결해야 할 과제가 많이 남아있다. 네트워크 계층에서는 라우팅 프로토콜의 성능개선이 주요 해결 과제이다.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다중 홉라우팅과 노드가 호스트와 라우터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한다는 관점에서 WMN은 모바일 에드혹 네트워크(MANET)와 유사하여 MANET의 라우팅 프로토콜의 사용을 통해 쉽게 구축이 가능하다. 하지만 MANET의 라우팅 프로토콜은 대부분이 네트워크의 규모가 커지면 전송 오버헤드나 지연시간이 증가한다는 단점이 있다. 이는 WMN에 의한 무선 네트워크의 확장에 있어 성능저하의 원인이며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AODV를 계층형으로 개선하여 혼합형 WMN에 적용하기 위한 방안으로써 도메인 기반 AODV에 대하여 제안한다. 제안된 방안은 AODV의 요구형 경로 결정을 도메인 단위로 구분 수행함으로써 종단 간 수행되는 평균 경로 결정 거리를 줄여 네트워크의 확장성 문제를 해결한다. 제안된 방안의 시뮬레이션 결과 AODV에 비하여 네트워크의 확장에 대한 지연시간의 증가가 완만하였다.

센서 네트워크에서 RSSI 값과 위치 추정 기반의 에너지 효율적인 라우팅 프로토콜 (Energy-efficient routing protocol based on Localization Identification and RSSI value in sensor network)

  • 김용태;정윤수;박길철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1호
    • /
    • pp.339-345
    • /
    • 2014
  • 본 연구는 기존에 연구된 다양한 라우팅 기법들보다 노드의 이동에 따른 적응력 향상과 에너지 관리의 효율성을 향상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각각의 센서 노드들에 의해 수신되는 RSSI 값과 센서의 위치 정보를 라우팅에 활용하는 기법이다. 본 연구는 주변 1-홉(hop) 거리의 노드 정보를 저장하지 않는다. 그리고 근거리 다중홉 전송 기법에서 중계 노드 선택을 위한 정보 교환 과정에서 발생하는 에너지 비효율적인 트래픽 문제를 해결한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라우팅 프로토콜 기법은 각각의 노드들이 수신하는 RSSI 값이 설정된 전송 범위에 해당하는 노드를 선택하고 그리고 선택된 노드의 위치 정보를 바탕으로 목적지 노드에 가장 가까운 노드를 중계 노드로 선정하는 기법이다. 따라서 목적지 노드까지 데이터 전달 홉 수를 줄이고,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관리하여 노드의 에너지 고갈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공유기반 트리 멀티캐스트 라우팅 프로토콜을 위한 후보 코어 선택 방법 (A Method of Selecting Candidate Core for Shared-Based Tree Multicast Routing Protocol)

  • 황순환;윤성대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7권10호
    • /
    • pp.1436-1442
    • /
    • 2004
  • 코어 기반 트리 멀티캐스트 라우팅 프로토콜, PIM-SM, 코어 관리자 기반 멀티캐스트 라우팅 등에 의해 확립된 공유 기반 트리는 코어 또는 랑데뷰 포인트라는 센터 노드를 루트로 하는 구조이다. 공유 기반 트리에서 코어(또는 랑데뷰 포인트)로부터 멀티캐스트 그룹의 모든 구성원들에 대한 전송 경로는 가장 짧은 거리를 사용한다. 트리의 구성 비용은 코어에 의해 결정되고, 패킷들의 지연은 코어의 위치에 의해 좌우된다. 따라서 코어의 위치 선정은 비용과 성능 측면에 많은 영향을 끼친다. 본 논문에서는 후보 코어 그룹 선택을 위한 세 가지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제안한 최소 평균 비용 선택, 최대 차수 선택, 최대 가중치 선택 방법은 각각 임의 선택 방법과 트리 비용, 평균 패킷 지연, 최대 패킷 지연의 세 가지 성능 평가 요소를 통해 비교하였다. 모의실험 결과 후보 코어 그룹 선택에 있어서 제안한 세 가지 방법이 임의 선택방법보다 성능 평가요소인 트리 비용, 평균 패킷 지연, 최대 패킷 지연 측면에서 더 낮은 결과를 보임으로써, 우수함을 입증하였다.

  • PDF

무선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터널 내 환경 관리 시스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nvironment Management System in Tunnel using Wireless Sensor Networks)

  • 주양익;김재완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6권10호
    • /
    • pp.1196-1203
    • /
    • 2013
  • 일반적으로 무선 네트워크는 유선 네트워크에 비하여 고가의 무선 송수신기를 사용하여 설치 및 유지비용이 높다. 하지만, 터널 내 환경관리 시스템의 경우는 기본적으로 터널 내 환경 정보를 감지하여 최소한의 정보만을 중앙통제장치와 유선으로 연결된 지시 노드로 보내는 것이기 때문에 전송되는 데이터양이 매우 적고, 따라서 저속의 무선 송수신기는 낮은 비용으로 구현하여 적용 가능하다. 그리고 무선 네트워크에서는 유선 네트워크와는 달리 데이터 전달 경로를 결정하는 라우팅 문제가 발생한다. 센서에서 감지한 신호를 디지털화하여 얻은 데이터를 무선 송신기를 사용하여 직접 지시노드로 보내는 경우에는 라우팅 문제가 발생하지 않지만, 이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고출력의 무선 송신기가 요구되어 무선 송신기 구현 비용이 증가하게 되고, 해당 센서 노드의 전력소모가 커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무선송신기의 출력을 줄이는 대신 인접한 센서 노드의 무선 송수신기를 이용한 중계를 통하여 지시노드까지 전달하도록 하는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해당 센서 노드에서 지시노드까지는 복수의 경로가 존재하기 때문에 최적의 경로를 선택하는 라우팅 알고리즘이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터널 내 자동환경 관리 시스템에 적합한 라우팅 알고리즘을 제안하였으며, 추가로 센서 노드들을 각 터널 내에 부착 후 노드 등록 등의 초기화 과정을 거치면 자동으로 노드 간의 협업과정을 통해서 무선 네트워크가 구성될 수 있는 방안을 구현하였다.

무선 Ad-hoc 네트워크를 위한 QoS DAG 기반의 QoS 라우팅 기법 (A QoS DAG-based QoS Routing Scheme for Mobile Ad-hoc Networks)

  • 강용혁;김현호;김정희;엄영익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4권10A호
    • /
    • pp.736-745
    • /
    • 2009
  • 무선 기기들의 발전과 사용의 증가는 무선 환경에서도 실시간 멀티미디어 응용에 대한 지원을 필요로 하게 되었으며, 무선 ad-hoc 네트워크와 같이 중앙 집중화된 관리 시스템이 없고 동적으로 변하는 네트워크에서는 다양한 멀티미디어 응용을 위한 QoS 라우팅 연구가 더욱 필요하게 되었다. 하지만, 네트워크의 동적 특성으로 인해 완전한(hard real-time) QoS를 지원하는 것은 어려운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무선 ad-hoc 네트워크 환경에서 각각의 이동 호스트들이 주위의 노드들의 QoS 상태 정보를 QoS DAG에 유지하고 이를 통해 QoS 라우팅 경로를 찾는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기법에서 이동 호스트들은 자신의 유지하는 QoS 상태 정보를 지역적인 메시지 전송을 통해 이웃노드들에게만 전송하며, 이웃 노드들은 전송받은 메시지를 통해 QoS DAG을 갱신한다. 이를 통해 제안기법은 QoS 정보를 전역적으로 검색하는 것을 줄이며 효율적으로 QoS 라우팅 경로를 찾을 수 있다.

방향성 안테나에 기반을 둔 이동 애드 혹 네트워크에서의 대체 경로 설정 (On Alternative Path Setup for Directional Antenna Based Mobile Ad Hoc Networks)

  • 차영환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0권9호
    • /
    • pp.1165-1174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방향성 안테나를 이용하는 애드 혹 네트워크에 있어서 노드의 고장이나 이동에 따라 라우팅 경로가 이용 불가능하게 되는 경우 해당 노드의 braid라 명명된 이웃 노드로 우회하도록 함으로서 신속하게 경로를 복구하도록 하는 다중 경로 라우팅 기법을 제안 한다. $1,000m{\times}1,000M$의 영역에 50개의 노드가 균등하게 분포되며 10m/s 이하의 노드 이동 환경에서 전방향 안테나를 사용하는 경우(사용 안테나 요소수 K=1)와 비교하여 방향성 안테나를 사용하는 경우(K>1), 제안 방식은 패킷 전송률과 라우팅 홉 수 등의 측정 항목에 있어 우수하였다. 개선점으로 경로 설정 시 수반되는 지연시간을 단축하는 것이 필요하다.

  • PDF

ATM 네트워크에서 다자간 통신을 위한 다중점대 다중점 연결 제어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P-2-MP CONNECTION CONTROL FOR THE MULTI-WAY COMMUNICATIONS IN ATM NETWORKS)

  • 정지훈;한미숙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1998년도 추계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281-284
    • /
    • 1998
  • The multimedia services like video-conferencing and interactive multimedia services require the support for the multipoint-to multipoint connections from the networks. The routing and signaling protocols for supporting these connections in ATM networks have been a interesting topics in the Telecommunication standardization sector such as ATM-Forum. In this paper, we survey and discuss the various well-known switching algorithms for multi-way communication.

  • PDF

가상현실 저작툴을 이용한 가상 신호등 시스템 설계 및 구현 (An Implementation of virtual traffic lamp system using VR authoring Tool)

  • 김외열
    • 한국멀티미디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멀티미디어학회 2001년도 추계학술발표논문집
    • /
    • pp.531-535
    • /
    • 2001
  • 인터넷에서 가상현실 기법의 도입은 인터넷의 범용성과 함께 사용자가 쉽게 접할 수 있고 다양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발전해 가고 있다. VRML은 이러한 인터넷에서 가상세계를 구현하는 표준언어로 자리잡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많이 활용되고있는 VRML 저작툴인 ISA(Internet Scene Assembler)와 ISB(Internet Scene Builder)를 이용해 가상신호등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하는 것이 목적이다. 가상 신호등 시스템의 시뮬레이션을 위해 애니메이션 기법과 Sensor Node 및 Time_Bool_Converter 등의 Logic 함수를 사용하게 되고, Routing Diagram의 연결을 통해 시뮬레이션을 제작하게 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