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ultidetector Computed Tomography

검색결과 130건 처리시간 0.033초

Assessment of Breast Volume Change after Transverse Rectus Abdominis Myocutaneous Flap

  • Park, Sang Uk;Shim, Jeong Su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39권6호
    • /
    • pp.631-635
    • /
    • 2012
  • Background The evaluation of a breast after breast reconstruction depends on a surgeon's subjective criteria. We used computed tomography (CT) scans to obtain an objective evaluation of the postoperative results by measuring the breast volume of patients who had undergone breast reconstruction using pedicled transverse rectus abdominis myocutaneous (TRAM) flaps. This research will help in the objective postoperative evaluation of reconstructed breasts, and also in the preoperative flap size designs. Methods A total of 27 patients underwent breast reconstruction using pedicled TRAM flaps after mastectomy from September 2007 to July 2010. Of these, 10 patients who were followed up and underwent CT scans 2 or more times during the follow-up period were included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change in breast volume over time using CT scans, and the interval breast volume change between CT scans. Results All of the 10 patients' reconstructed breasts showed a volume decrease over time. The breast volume changes in the intervals between CT scans were as follows: 5.65% decrease between the first CT and second CT scan, 2.3% decrease between the second CT and third CT scan,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1.89% decrease between the third CT and forth CT scan.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s This research shows the possibility of objectively evaluating the postoperative breast volume changes. The findings will be helpful in designing the size of TRAM flaps to use on defects after mastectomy. Based on these results, we should also closely observe the reconstructed breast volume for at least 2 years.

Comparison of the diagnostic performance of panoramic and occlusal radiographs in detecting submandibular sialoliths

  • Kim, Jun Ho;Aoki, Eduardo Massaharu;Cortes, Arthur Rodriguez Gonzalez;Abdala-Junior, Reinaldo;Asaumi, Junichi;Arita, Emiko Saito
    • Imaging Science in Dentistry
    • /
    • 제46권2호
    • /
    • pp.87-92
    • /
    • 2016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ssess and compare the diagnostic performance of panoramic and occlusal radiographs in detecting submandibular sialoliths. Materials and Methods: A total of 40 patients (20 cases and 20 controls) were included in this retrospective study. Cases were defined as subjects with a submandibular sialolith confirmed by computed tomography (CT), whereas controls did not have any submandibular calcifications. Three observers with different expertise levels assessed panoramic and occlusal radiographs of all subjects for the presence of sialoliths. Intraobserver and interobserver agreement were assessed using the kappa test. Sensitivity, specificity, accuracy, positive and negative predictive values, and the diagnostic odds ratio of panoramic and occlusal radiographs in screening for submandibular sialoliths were calculated for each observer. Results: Th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values for occlusal and panoramic radiographs all ranged from 80% to 100%. The lowest values of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bserved among the observers were 82.6% and 80%, respectively (P=0.001). Intraobserver and interobserver agreement were higher for occlusal radiographs than for panoramic radiographs, although panoramic radiographs demonstrated a higher overall accuracy. Conclusion: Both panoramic and occlusal radiographic techniques displayed satisfactory diagnostic performance and should be considered before using a CT scan to detect submandibular sialoliths.

전형적 및 비전형적 충수염의 다중검출기컴퓨터단층촬영 소견: 임상화보 (Multi-Detector CT Findings of Typical and Atypical Appendicitis: A Pictorial Essay)

  • 윤나리;원유동;이수림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4권5호
    • /
    • pp.1047-1065
    • /
    • 2023
  • 다중검출기컴퓨터단층촬영(multi-detector CT; 이하 MDCT)은 높은 정확도를 가진 진단도구로서 충수염과 그 합병증을 평가하기 위해 보편적으로 사용된다. MDCT 소견에 근거한 충수염의 진단은 영상 소견이 전형적인 모습과 일치하지 않을 때 어려울 수 있다. 비전형적인 충수염에는 충수 및 맹장의 위치이상을 동반하는 경우, 합병증이 나타난 경우 그리고 충수염을 모방하거나 유발하는 병리학적 소견을 동반한 경우 등 다양한 스펙트럼의 질환이 포함된다. 본 임상화보는 비전형적이고 복잡한 충수염 및 충수염과 유사한 상태의 다양한 스펙트럼을 위치이상, 드문 합병증 및 종양, 반응성 충수염, 충수게실염, IgG4 연관 질환을 포함한 병리학적 이상의 관점에서 설명했다. 본 임상화보를 통해 독자들은 다양한 스펙트럼의 비전형적 충수염 MDCT 소견에 더 익숙해질 수 있다.

The Association between Morphological and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Bicuspid Aortic Valve and Bicuspid Aortopathy

  • Bo Hwa Choi;Sung Min Ko;Je Kyoun Shin;Hyun Keun Chee;Jun Seok Kim
    • Korean Journal of Radiology
    • /
    • 제22권6호
    • /
    • pp.890-900
    • /
    • 2021
  • Objective: To identify the association between morphological and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bicuspid aortic valve (BAV) and bicuspid aortopathy and to identify the determinants of aortic dilatation using transthoracic echocardiography (TTE) and cardiac computed tomography (CCT). Materials and Methods: This study included 312 subjects (mean [SD] age, 52.7 [14.3] years; 227 males [72.8%]) who underwent TTE and CCT. The BAVs were classified by anterior-posterior (BAV-AP) or right-left (BAV-RL) orientation of the cusps and divided according to the presence (raphe+) or absence of a raphe (raphe-) based on the CCT and intraoperative findings. The dimensions of the sinus of Valsalva and the proximal ascending aorta were measured by CCT. We assessed the determinants of aortic root and proximal ascending aortic dilatation (size index > 2.1 cm/m2) by Univariable and multivariable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Results: Of the 312 patients, BAV-AP was present in 188 patients (60.3%), and 185 patients (59.3%) were raphe+. Moderate-to-severe aortic stenosis (AS) was the most common hemodynamic abnormality (54.8%). The most common type of aortopathy was the combined dilated root and mid-ascending aortic phenotype (62.5%). On multivariable analysis, age and AS severity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aortic root dilatation (p < 0.05), and age, sex, and AS severity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ascending aortic dilatation (p < 0.05). However, the orientation of the cusps, presence of a raphe, and severity of aortic regurgitation were not associated with aortic root and ascending aortic dilatation. Conclusion: BAV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were not determinants of aortic dilatation. Age, sex, and AS severity were predictors of bicuspid aortopathy. Therefore, age, sex, and AS severity, rather than valve morphology, need to be considered when planning treatment for BAV patients.

다중 검출 전산화단층촬영 영상에서 바터 팽대부의 샘근종과 국소적 샘암종의 감별 (Differentiation of Adenomyoma from Localized Adenocarcinoma of the Ampulla of Vater Using Multidetector CT)

  • 박영태;이지선;김육;조범상;박길선;우창곡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2권2호
    • /
    • pp.393-405
    • /
    • 2021
  • 목적 다중 검출 전산화단층촬영(multidetector CT; 이하 MDCT) 영상에서 바터 팽대부의 샘근종과 국소 샘암종을 감별할 수 있는 영상 소견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MDCT 영상을 이용하여 바터 팽대부의 샘근종이 있는 16명의 환자와 국소 샘암종이 있는 30명의 환자를 평가하였다. 우리는 병변의 크기와 감쇠정도, 병변의 균일한 조영 증강의 여부, 간외담관과 주췌관의 직경, 국소 림프절 종대 유무를 측정하였고, 혈액검사 결과도 분석하였다. 바터 팽대부의 국소 샘암종과 비교하여 샘근종을 시사하는 독립적 소견을 확인하기 위해 다변량 분석을 수행하였다. 결과 병변의 크기와 간외담관의 직경은 샘근종에서 국소 샘암종군보다 유의하게 작았다(all p < 0.001). 다변량 분석에서 병변의 크기가 1.3 cm보다 작은 것, 간외담관의 작경이 1.3 cm 보다 작은 것, alanine transaminase level이 31보다 낮은 소견은 바터 팽대부의 국소 샘암종과 비교하여 샘근종을 시사하는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독립적 소견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세 소견을 모두 만족하는 경우 바터 팽대부에 생긴 샘근종의 진단적 특이도는 93.3%였다. 결론 MDCT 영상에서 병변의 크기와 간외담관의 직경을 측정하여 바터 팽대부의 샘근종과 국소 샘암종의 감별에 도움을 받을 수 있다.

2018 개정 미국외상수술협회 복부고형장기 손상척도에 따른 다중검출 CT 소견 (Multidetector CT Findings of Solid Organ Injury Based on 2018 Updated American Association for the Surgery of Trauma Organ Injury Scaling System)

  • 유효현;원유동;이수림;구영미;송선화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1권6호
    • /
    • pp.1348-1363
    • /
    • 2020
  • 2018년에 새롭게 개정된 장기 손상척도는 이전 미국외상수술협회의 응급수술분류체계와 유사한 형식을 가지며, 고형장기 손상의 등급을 지정하는 기준을 영상(imaging), 수술(operative), 병리(pathologic) 세 가지 세트로 나누어 분류하였다. 2018년 개정에서 가장 중요한 변화는 거짓동맥류와 동정맥 누공을 포함한 혈관 손상의 다중검출CT (multidetector CT; 이하 MDCT) 소견을 정의하여 장기 손상척도에 통합한 것이다. 이전 장기 손상척도와 동일하게 세 가지 기준 중에 가장 높은 등급이 최종 등급이 된다. 또한 한 장기 내에 여러 개의 1등급 또는 2등급 소견이 있으면, 다발성 손상에 대해 3등급의 부여가 가능하다. 본 임상화보에서는 2018년 개정된 미국외상수술협회 장기 손상척도의 MDCT 소견을 소개하고자 한다.

다중검출 전산화 단층촬영을 이용하여 측정한 흉부대동맥의 직경 (Diameters of the Thoracic Aorta Measured with Multidetector Computed Tomography)

  • 이건;임창영;이헌재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2권1호
    • /
    • pp.79-86
    • /
    • 2009
  • 배경: 전산화 단층촬영은 흉부대동맥의 이상소견을 진단하는데 매우 중요한 수단이다. 그러나 재래의 전산화 단층좔영은 단면적인 영상만을 볼 수 있어 여러 부위의 대동맥 직경을 측정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다중검출 전산화 단층촬영은 이러한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진단기기로 이를 이용하여 곡선으로 된 흉부대동맥의 직경을 주행방향과 직각으로 측정하여 연령, 성별, 키와 몸무게, 체표면적과 체질량지수, 고혈압과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다중검출 전산화 단층촬영 장비를 이용하여 대동맥 조영술을 시행한 환자 중 특별한 대동맥 질환이 없는 것으로 판독된 환자 331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남자가 141명이고 여자가 190명이었다. 이들을 연령별로 20~39세, 40~59세, 60세 이상으로 분류하였다. 대동맥의 직경은 다면상으로 재구성한 단면에서 대동맥 주행방향과 직각이 되도록 측정하였으며 상행대동맥의 중간(level A), 원위부 상행대동맥(level B), 대동맥궁(level C), 대동맥 협부(level D), 하행대동맥의 중간(level E)의 다섯 군데에서 측정하였다. 결과: 대상환자의 평균연령은 남자가 49.5세이고 여자가 54.9세였다. 대동맥의 평균직경은 level A가 31.1 mm, level B가30.2 mm, level C가 26.5 mm, level D가 24.0 mm, level E가 22.6 mm였다. 대동맥의 직경은 나이에 비례해서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으며 고혈압 환자가 정상인보다 대동맥의 직경이 크게 나타났다. 키와 체표면적에 따른 차이는 상행대동맥에서 유의하게 나타났고 대동맥궁과 하행대동맥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체중과 체질량지수는 모든 부위에서 통계적 유의성이 없었다. 결론: 흉부대동맥의 직경은 성별과 나이, 고혈압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키와 체표면적은 상행대동맥에만 차이를 보였고 하행대동맥에는 차이가 없었다. 그리고 체중과 체질량지수는 모든 부위에서 통계적 유의성이 없었다. 본 연구에서는 고혈압이 없는 정상인에서 연령별 대동맥 직경의 표준값과 정상한계값을 측정하였고 이를 한국인의 흉부대동맥 직경의 참고자료로 제시하고자 한다.

다중 검출 전산화단층촬영을 이용한 국내 일부 지역 성인의 골밀도 현황 분석: 식습관, 생활습관, 신체적, 사회적 특성과의 상관관계를 중심으로 (Analysis of Bone Mellow Density in Adults of Domestic Local Area Using Multi-Detector Computed Tomography: Focus on Corelation About Eating Habits, Lifestyle, Physical Features and Social Characteristics)

  • 이태희;김태형;소운영;임희겸;임청환;박명환;천명기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39권4호
    • /
    • pp.517-526
    • /
    • 2016
  • 다중 검출 전산화단층촬영(Multi detecter computed tomography; MDCT)에서 계산된 골밀도 값과 대상 검사자의 생활양식, 신체적 특성, 사회적 특성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2015년 7월 15일부터 2016년 6월 6일까지 00의료원에 내원한 검사자 141명(남: 63명, 여: 78명)을 대상으로 MDCT를 시행하여 HU값을 골밀도의 T-score 값으로 환산하였다. 골밀도를 측정한 대상 부위는 요추 두 번째, 세 번째 그리고 네 번째 요추이었으며, 남녀별 골밀도 차이와 검사자의 생활양식, 신체적 특성, 사회적 특성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통계적 유의성 검증은 독립표본T 검정과 일원배치 분산분석법을 사용하였다. 남녀의 골밀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고(p<0.05), 연령별 골밀도 값은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평균 골밀도 값이 감소하였지만 통계적으로는 남성의 경우는 20대부터 50대까지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p>0.05), 20대와 60대 이상의 연령에서만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1). 여성의 경우는 20대부터 40대까지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p>0.05), 50대 이후로 골밀도가 급격히 감소하며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1). 여성인 경우만이 월경과 폐경, 출산, 음주 유무와 잡곡류, 계란, 기름진 음식 섭취 유무에 대하여 골밀도 변화의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p<0.05), 남성의 경우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MDCT를 이용한 골밀도 측정법으로 검사자의 생활양식, 신체적 특성, 사회적 특성과의 상관관계를 추정할 수 있었고, 골다공증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한 대학병원에서 급성 폐색전증으로 진단된 환자들의 임상적 특성 및 예후 (Acute Pulmonary Embolism: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Outcomes in a University Teaching Hospital)

  • 채진녕;최원일;박지혜;노병학;김재범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8권3호
    • /
    • pp.140-145
    • /
    • 2010
  • Background: Pulmonary embolism (PE) is a common clinical problem in the West that is associated with substantial morbidity and mortality. The diagnostic modality has been changed since 2001. This study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PE mortality with the aim of identifying the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mortality since the multidetector computed tomography (MDCT) was introduced. Methods: We analyzed 105 patients with acute PE proven by multidetector CT or ventilation perfusion scan. The primary outcome measure was the all-cause mortality at 3 months. The prognostic effect of the baseline factors on survival was assessed by multivariate analysis. Results: The main risk factors were prolonged immobilization, stroke, cancer and obesity. Forty nine percent of patients had 3 or more risk factors. The overall mortality at 3 months was 18.1%. Multivariate analysis revealed low diastolic blood pressure and the existence of cancer to be independent factor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mortality. Forty two PE patients were examined for the coagulation inhibitors. Four of these patients had a protein C deficiency (9.5%), and 11 had a protein S deficiency (26%). Conclusion: PE is an important clinical problem with a high mortality rate. Close monitoring may be necessary in patients with the risk factors.

과혈관성 종양으로 오인된 간의 가성림프종: 증례보고 (Hepatic Pseudolymphoma Mimicking a Hypervascular Tumor: A Case Report)

  • 임보라;장석기;연재우;백소야;박상종;김혁중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79권6호
    • /
    • pp.348-353
    • /
    • 2018
  • 간의 가성 림프종은 비종양성 림프구의 절 외 과다증식에 의해 형성되는 드문 양성 종양이다. 검색한 바에 따르면 현재까지 영문으로 46예가 보고되었다. 우리는 75세 여자환자에서 과혈관성 종양으로 오인된 간의 가성 림프종 증례를 보고하고자 한다. 조직검사상 직장의 신경내분비 암종이 진단된 후 시행한 조영증강 전산화단층촬영에서 1.0 cm 크기의 경계가 불분명하고 낮은 감쇄를 보이는 결절이 간에 관찰되었다. 자기공명영상에서는 동맥 조영기에 조영 증강을 보이고, 20분 지연기 조영 영상에서 저신호 강도를 보이며, 확산강조영상에서 고신호 강도를 보였다. Fluorodeoxyglucose (이하 FDG)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PET)/CT에서는 FDG의 섭취 증가를 보였다. 초음파에서는 저에코성 병변으로 관찰되었고, 초음파 유도 하 조직검사를 통하여 간의 가성 림프종으로 확진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