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ulticultural society

검색결과 662건 처리시간 0.034초

다문화 청소년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Analysis on Factors Affecting Depression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 손신영
    • 한국학교ㆍ지역보건교육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101-111
    • /
    • 2019
  •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factors influencing depression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and to develop health education program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depression. Methods: This study used data from the 6th MAPS( Multicultural Adolescents Panel Study). Data were analyzed with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Results: The significant predictors of depression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were social withdrawal, self-esteem, cultural adaptation stress and parental support.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develop programs to improve depression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장자 철학에서 나타난 다문화 관점에 관한 탐색적 연구 (Explorative Study on Multicultural Perspectives in the Philosophy of Zhuāngzǐ)

  • 우수명
    • 사회복지연구
    • /
    • 제41권2호
    • /
    • pp.101-125
    • /
    • 2010
  • 세계화에 따른 다문화 사회로의 진입과 함께 다문화 사회를 대비하는 가치를 재정립해야 할 필요성이 대두된다. 2,300년 전 장자는 그의 철학 속에 다문화 사회의 대안적 관점들을 많이 담아놓았다. 그의 철학 속에 나타난 다문화적 관점을 다문화 사회를 이해하는 방법과 지향해야 할 관점으로 다음과 같이 정리하였다. 첫째로 조화로운 다문화 사회의 시작은 상대를 앎으로부터 시작한다. 이는 밝음으로 자신의 성심을 비춰야 하며, 더 넓은 세상의 다문화에 대한 경험이 있어야 진정한 앎이 된다. 둘째로 다문화 사회를 지향하는 방법으로 수용과 유사한 허심과 자기결정권이 포함된 타자성에 기초한 양행이 중요하다. 이를 가능하게 하는 것은 바로 다양성의 평등으로, 다문화적 차이가 서로에게 도움이 되는 물화에 이르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다른 문화적 배경을 가진 이들의 강점을 존중하고 긍정적인 역할을 부여하여 적극적이고 바람직한 이미지를 만들어내는 것이 문화적으로 필요하다. 또한 타자를 존중하는 덕으로 모두가 화합하는 대동을 구현할 때 다문화 사회는 바람직하게 지속될 수 있을 것이다.

간호대학생의 다문화 인식과 문화적 역량이 다문화 수용성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Multicultural Perception and Cultural Competence upon Multicultural Acceptance Among Nursing Students)

  • 조영미;석소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10호
    • /
    • pp.190-197
    • /
    • 2019
  •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의 다문화 인식, 문화적 역량, 그리고 다문화 수용성의 정도와 상관관계를 알아보고, 다문화 수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방법: 본 연구는 SPSS 25.0 프로그램을 통해 분석하였다. 다문화 인식, 문화적 역량, 다문화 수용성의 상관관계는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로, 다문화 수용성에 영향요인인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간호대학생들의 다문화 수용성은 다문화 인식과 문화적 역량에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r=.645, p<.001; r=.556, p<.001)가 있었고, 회귀분석 결과 간호대학생의 다문화 수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다문화 인식(${\beta}=0.479$, p<.001)과 문화적 역량(${\beta}=0.299$, p<.001)임을 확인하였다 결론: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간호대학생들은 다문화 사회에서 다문화 수용성을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 문화적 역량을 키워야 함을 시사한다. 또한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시행, 그 내용을 구성하는데 있어 다문화 인식의 고취와 문화적 역량을 높이는 콘텐츠를 개발하고 정책적인 뒷받침이 있어야 할 것이다.

다문화서비스 담당사서에게 요구되는 문화적 역량의 내용체계에 관한 연구 (Components of Cultural Competency for Multicultural Services Librarians)

  • 이연옥;장덕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253-276
    • /
    • 2014
  • 최근 한국사회에 외국인근로자, 결혼이주여성, 유학생 등 이주민의 수가 증가하면서 문헌정보학 분야는 새로운 도전에 직면하고 있다. 이주민의 증가는 문헌정보전문직으로 하여금 다양한 문화적 배경을 가진 이주민에게 적절하며 효과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새로운 역량을 개발할 것을 요구한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다문화시대, 사서에게 요구되는 역량을 문화적 역량이라는 관점에서 고찰해 보았다. 구체적으로 다문화서비스 담당 사서에게 요구되는 문화적 역량이란 무엇이며, 그 구성요소는 무엇인지 등 사서의 문화적 역량에 대한 내용 체계를 검토하였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와 다문화서비스를 이행하고 있는 사서, 다문화전문가와의 인터뷰를 통해 관련 데이터를 확보하였다. 연구결과, 사서에게 필요한 문화적 역량은 다문화에 대한 태도, 다문화에 대한 지식, 다문화에 대한 기술이라는 3가지로 구분되었으며, 그 세부적 요소로서 다문화 태도, 다문화구성원에 대한 지식, 다문화서비스에 대한 지식, 장서 서비스 프로그램 개발, 서비스전달, 언어의 다양성, 교육 및 인력개발 부문이 제시되었다.

보건소 치과위생사의 다문화에 대한 인식도 및 교육 요구 (Awareness and educational needs towards the multicultural family in dental hygienists in public health center)

  • 장선희;이광희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89-196
    • /
    • 2014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wareness of dental hygienists in public health center towards multicultural family and educational needs to provide information on community oral health programs. Methods : The subjects were 74 recruited from 126 dental hygienists in 14 public dental clinics in Jeonbuk Province.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was filled out by 64 dental hygienists in charge of dental health care. Data were anlatzed by the statistical package SPSS WIN 12.0. Results :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had no impact on their positive multicultural awareness, and there existed differences by age, rank and period of services in the channel of information acquisition. They got 3.5 out of five in multicultural awareness showing a positive way. The types of medical services for multicultural family revealed that they provided oral health education, dental checkup services and simple treatment covered by health insurance. Health insurance accounted for 15.4 percent of dental services. The obstacles to dental services in multicultural family were communication problems, poor concern for oral health and cultural gaps. They got 3.86 out of five points in educational needs for multicultural family who need the dental education most. The multicultural family showed the higher score in every question. Conclusions : Public health center dental clinics should help dental hygienists to acquire information on multicultural family. Public health center should provide the easy access way of dental health checkup for the multicultural family.

공공도서관의 다문화서비스 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odel of Multicultural Services in Public Libraries)

  • 양수연;차미경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5권1호
    • /
    • pp.311-332
    • /
    • 2011
  • 국내 다문화현상이 가속화되고 있음에도 국내 공공도서관은 다문화서비스 경험이 최근 5년 내외로, 대부분의 도서관이 단편적인 프로그램 위주로 운영하고 있으며, 장기적인 계획과 방향성, 전문 인력 등이 부족한 상황이다. 이에 국외 다문화서비스 성공사례와 국내 현황조사 및 설문조사를 통하여 공공도서관들이 체계적인 다문화서비스를 준비하는데 활용할 수 있는 다문화서비스 모형을 개발하였다. 이를 위하여 1, 2차 사전조사(평균, 표준편차)와 의견조사를 통하여 다문화서비스 요소안을 확정하고, 본 조사를 실시하여 핵심요소를 선정하여 모형을 개발하였다. 요소들의 특성 분석을 위하여 T-검증과 분산분석을 사용하였다. 원활한 다문화서비스의 운영을 위해서는 도서관을 둘러싼 사회 교육기관, 타 도서관들과의 관계, 국제적인 네트워크를 통한 상호협조가 필요하며, 이를 반영하여 다문화서비스 운영시스템을 도식화하였다.

다문화수학교사교육의 원리와 방법 (Principles and Methods of Multicultural Mathematics Teacher Education)

  • 송륜진;문종은;주미경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2권4호
    • /
    • pp.639-665
    • /
    • 2010
  • 최근 국내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논의의 확산과 더불어 다원화된 사회에서 요구되는 공존을 위한 삶의 태도 함양과 교육적 기회 평등 보장을 위한 교육을 실천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춘 교사 양성이 교사교육의 주요 과제로 제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다문화교육 및 다문화수학교육 관련 이론, 그리고 다문화수학교사교육 사례 검토에 기초하여 다문화수학교사교육의 원리와 방법을 모색하였다. 연구결과, 본 논문에서는 다문화적 수학교사에게 요구되는 역량을 '정의적 영역', '인지적 영역', '행동적 영역'으로 범주화하였다. 이들 영역에 공통적으로 등장하는 내용적 요소로서 '문화성', '다양성', '평등성', '자기정체성', 그리고 지도원리로서 '반성', '참여', '실행'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결과가 다문화수학교사교육에 제공하는 시사점 논의를 통해 다문화적 역량을 갖춘 수학교사양성을 위한 초석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 PDF

사서 대상 도서관 다문화서비스 교육과정의 교과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urse Development for Librarians' Continuing Education to Build up Multicultural Competencies in Library Services)

  • 구정화;우윤희;신난희;조용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1권3호
    • /
    • pp.351-384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환경에서 사서들의 다문화 업무에 관한 역량강화에 기여하고자 사서 대상 다문화 교육과정의 교과목을 선정,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3단계 분석과정을 거쳤는데, 첫째, 도서관 다문화서비스에 관련된 보고서 및 통계에 기반한 국내 다문화 환경분석을 수행하였다. 둘째, 이주민 대상으로는 도서관 다문화서비스에 대한 요구분석을 실시하였고, 사서대상으로는 다문화업무와 관련된 요구분석 및 다문화관련 교과과정을 수강한 사서들의 수업 만족도를 분석하였다. 셋째, 다문화와 관련된 국내외 지침과 법규, 다문화서비스 가이드라인에 나타난 도서관 다문화서비스 직무역량을 분석하였다. 이 3단계 분석과정을 통해 사서 대상 다문화교육에 필요한 후보 교과목 내용과 교육범위를 도출하였다. 도출된 후보 교과내용과 범위에 대해 도서관 다문화서비스 전문가들의 자문을 거쳐 최종적으로 16개의 교과목 내용과 범위를 도출하여 제시하였고, 도출된 교육과정을 어떻게 구체적으로 운영해 나갈 것인지에 대한 내용은 후속연구 과제로 제안하였다.

융합시대를 위한 보육교사의 다문화역량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The Multicultural Competency of Childcare Teachers for the Fusion Age Impact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 김영옥;신선미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8권4호
    • /
    • pp.181-188
    • /
    • 2018
  • 본 연구는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다문화역량이 조직효과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밝히고 어린이집의 조직효과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C대학교에 재학 중인 보육교사 258명을 편의 표집하여 설문조사 하였고, PASW를 활용하여 통계처리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다문화지식과 조직생산성, 조직적응성, 조직몰입, 직무만족간의 관계에서는 조직생산성, 조직적응성과 직무만족간의 관계에서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었다. 둘째. 다문화인식과 조직생산성, 조직적응성, 조직몰입간의 관계에서는 모두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었다. 셋째, 다문화지식과 다문화인식이 조직몰입, 조직적응성, 조직생산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넷째, 다문화지식이 직무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융합시대에 어린이집의 조직효과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다문화지식과 다문화인식에 관련된 교육 프로그램이 보육교사들에게 필요하다.

지역사회 보육공동체를 위한 다문화 프로그램 개발 (Development of a Multicultural Program for Local Childcare Community)

  • 임지혜;박봉수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6권12호
    • /
    • pp.263-270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지속 가능한 다문화 사회를 위해 지역 보육공동체의 다문화 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만족도와 효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다문화 보육공동체 프로그램은 집단 간 긍정적인 인식을 형성할 수 있는 효과적인 접촉의 조건들을 고려하여 설계되었고, 2015년 7월부터 8월까지 총 5회 프로그램이 진행되었으며, 이 기간 동안 참여한 지역사회 구성원의 총 인원은 196명이었다. 연구결과 지역사회 다문화 보육공동체 프로그램은 높은 만족도를 나타냈고, 다문화가정 부모들의 자존감 함양과 사회 참여를 유도할 수 있었다. 특히 다문화 인식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 외국인에 대한 배타적인 태도가 완화되었고, 전 지구적인 문제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는 등 세계시민성 함양에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평가 내용으로는 다양한 지역 사회 기관과의 연계 프로그램과 지속적인 지역사회 공동체 프로그램에 대한 니즈를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지역사회의 다문화 공동체가 상호작용하고 소통하는 과정을 체계적으로 제안함으로써, 타 지역에서 참고할 수 있는 다문화 보육공동체 프로그램의 기초 자료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