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35133/kssche.20191231.09

Analysis on Factors Affecting Depression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Sohn, Shin-Young (Department of Nursing, Kyungil University)
Publication Information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School & Community Health Education / v.20, no.3, 2019 , pp. 101-111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factors influencing depression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and to develop health education program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depression. Methods: This study used data from the 6th MAPS( Multicultural Adolescents Panel Study). Data were analyzed with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Results: The significant predictors of depression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were social withdrawal, self-esteem, cultural adaptation stress and parental support.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develop programs to improve depression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Keywords
Depression; Health education; Multicultural adolescents; Self-esteem; Social withdrawal;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4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이래혁, 장혜림. (2017).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폭력 경험과 자살 생각의 관계: 행복감과 우울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청소년복지연구, 19(3), 109-132.
2 이봉주, 민원홍, 김정. (2014). 청소년기 사회적위축 문제의 발달궤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발달-맥락주의적 관점을 적용한 탐색적 연구. 청소년학연구, 21(8), 317-346.
3 이영주, 박륜경, 이수경. (2017). 다문화가정 청소년들의 이중문화 수용태도와 심리적 적응 및 학교적응. 교육문화연구, 23(5). 347-372.
4 이순희, 허만세. (2018). 청소년의 우울과 학교적응의 관계에서 공격성과 사회적 위축의 구조적 관계: 비행경험 유무의 차이를 중심으로. 보건사회연구, 38(4), 251-289.
5 이영예, 안권순. (2013). 자아존중감과 성격 특성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20(11), 257-281.
6 전경숙, 송민경. (2011). 다문화가정 자녀의 출신국적 배경에 따른 한국생활 적응의 차이. 청소년학연구, 18(11), 305 - 330.
7 최정아, 이혜은. (2008), 청소년의 우울과 지각된 부모지지 행동적 통제 및 심리적 통제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자아통제력 및 자아유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청소년연구, 19(1), 295-326.
8 통계청. (2019). 2019 청소년 통계. 서울: 통계청.
9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8). 다문화청소년패널조사: 제1-6차 조사 데이터 유저 가이드. 세종: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10 김민경. (2016). 다문화청소년의 스트레스, 우울과 가족탄력성 및 인터넷 게임중독의 관계에 대한 융합연구. 한국융합학회논문지, 7(1), 205-210.   DOI
11 김석준. (2015). 다문화가족 청소년의 특성이 차별경험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아세아 연구. 58(3), 6-41.
12 금지헌, 손찬희, 채수은, 강성국. (2013). 중학생의 학교생활적응과 가정 및 개인 관련 변인간의 관계. 청소년학연구, 20(2), 119-143.
13 김기순, 신선순. (2011). 청소년이 지각한 스트레스가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교육종합연구, 9(3), 97-114.
14 박병선, 배성우, 박경진, 서미경, 김혜지. (2017). 청소년의 또래애착, 사회적 위축, 우울, 학교
15 김정민 외 8명. (2015). 다문화 가정과 한국 가정청소년의 정신 건강 비교, 소아청소년정신의학, 26(4). 279-287.   DOI
16 모상현. (2018). 문화적응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가 다문화청소년의 사회적 위축에 미치는 영향:교사 및 또래친구 요인의 조절효과. 청소년문화포럼 54. 64-98.
17 박근영, 최유리, 김보라. (2013).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분석 : 2012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를 바탕으로. 보건의료산업학회지, 7(1), 155-165.   DOI
18 생활적응 간의 구조적 관계분석. 보건사회연구, 37(2), 72-101.   DOI
19 신예진. (2017). 다문화 가정 청소년의 사회적차별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자아존중감과 자아정체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서울: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20 오승환. (2016). 다문화가족 청소년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분석. 한국지역사회복지학, 56. 1-27.
21 유명란 외 8명. (2013). 다문화 가정 청소년의 사회적 차별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9(3), 320-329.   DOI
22 유진영. (2011). 고교 청소년 스트레스 요인에 관한 연구. 보건의료산업학회지, 5(4), 81-93.   DO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