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ulticultural families adolescents

검색결과 82건 처리시간 0.027초

부모의 지지 및 감독이 다문화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Relationships between Parental Support and Monitoring and School Adjustment in Adolesc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Mediating Role of Ego-Resilience)

  • 임양미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41-55
    • /
    • 2019
  • 본 연구는 어머니의 한국어능력을 통제한 상황에서 부모의 지지 및 감독이 다문화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과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대상은 다문화 가정의 중학교 1학년 자녀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다문화 청소년 패널자료 중 어머니가 외국인이고 아버지가 한국인인 국제결혼가정 중학교 1학년 자녀의 자료(1,325명)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연구대상 자료에 대해 IBM SPSS 25.0 및 AMOS 25.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상관관계, 일원분산분석, 구조방정식모델 분석이 이루어졌다. 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지지 및 감독은 다문화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에 직접적으로 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특히 부모의 지지가 다문화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력이 부모 감독의 영향력에 비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다문화 청소년의 자아탄력성은 부모의 지지 및 감독과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를 모두 매개함으로써 부분 매개효과가 제시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결과 다문화 가정 중학교 1학년 자녀의 학교생활적응에 있어 부모의 양육행동 및 자아탄력성의 영향이 규명됨에 따라 다문화 청소년의 자아탄력성 수준을 높이고, 학교생활적응을 지원하기 위해 학교와 지역사회기관이 연계한 부모교육 실시의 필요성 및 가정과 교과의 역할을 제시하였다.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적응 연구 동향 분석 (Analysis of Adaptation Research Trends of Multicultural Families Adolescents)

  • 박병금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2호
    • /
    • pp.371-381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가정 청소년 적응 연구의 연구동향을 분석하고, 향후 연구과제와 방향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학술지 논문 총 94편을 선정하여 연구현황, 연구방법, 연구대상, 그리고 연구내용을 살펴보았다. 분석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2007년 1편을 시작으로 논문이 꾸준히 나타나고 있으며, 2018년 이후 급증하였다. 학술지별 논문수를 살펴본 결과 총 50개로 매우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된 것을 알 수 있었다. 학술지 분야별로 볼 때 사회과학 분야에서 37개(74%)로 가장 많았다. 둘째, 연구방법의 분석결과 전체 연구 중 조사연구가 68편으로 가장 많이 나타났고, 양적연구 분석방법이 전체 74%를 차지하였다. 셋째, 연구대상을 분석한 결과, 다문화가정 청소년만을 대상으로 직접 연구한 경우가 75편으로 가장 많았고, 그 외 19편은 부모나 교사(실무자) 또는 다문화가정 청소년과 다른 대상을 함께 연구하였다. 넷째, 연구내용에서는 적응의 유형 중 학교적응특성이 52편으로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 사회문화적응특성(37편)이었다. 분석결과를 토대로 향후연구방향과 과제를 논의하였다.

우리나라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구강질환증상과의 관련요인 (Related factors of oral symptoms in adolescents from Korean multicultural families)

  • 한여정;박신영;류소연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6권6호
    • /
    • pp.893-907
    • /
    • 2016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ed factors of dental caries and periodontal disease in adolescents from Korean multicultural families, thereby helping to reduce the prevalence rate of oral disease. Methods: The subjects were 710 multicultural adolescents recruited using a web-based survey, National 2015 Korean Youth Risk Behavior, from the Korean Center for Disease Control. A multicultural family was defined in this study as one having an immigrant mother or father. Oral symptoms included dental caries and periodontal disease. Toothache was defined as a symptom of dental caries. Tender or bleeding gums were defined as symptom of periodontal disease. For statistical analysis, 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s (SPSS) Version 21.0 for Windows was used. Descriptive analysis and a Chi-square test were conducted to determine the factors associated with general characteristics, health behavior, and oral health behavior. Finally,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s among oral disease symptoms,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Results: Toothach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female 1.52 (95% CI; 1.45-1.60), high school 1.23 (95% CI; 1.18-1.28), women school 1.10 (95% CI; 1.05-1.16), individuals with poor economic status 1.45 (95% CI; 1.30-1.52), and participants who consumed alcohol 1.32 (95% CI; 1.27-1.37). Toothache related to perceived health status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healthy group 0.69 (95% CI; 0.64-0.75), and was higher in usual stress group 1.65 (95% CI; 1.57-1.74). Gum bleeding was significantly higher in female 1.32 (95% CI; 1.27-1.37), high school 1.15 (95% CI; 1.10-1.19), and individuals with poor economic status 1.38 (95% CI; 1.27-1.50). Gum bleeding related to perceived health status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healthy group 0.68 (95% CI; 0.63-0.74), and was higher in usual stress group 1.54 (95% CI; 1.46-1.62). Conclusions: Taking into account of social and economic levels, and dietary habits in the multicultural families adolescents, further education and support will be needed for oral disease prevention and early treatment.

어머니 출생국가가 다문화 청소년의 인플루엔자 예방접종에 미치는 영향: 제13차(2017년) 청소년 건강행태 온라인조사 자료 분석 (The Influence of Mothers' Native Country on Multicultural Adolescents' Seasonal Influenza Vaccinations in Multicultural Adolescents Using Data from the 13th (2017)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 권미영;정수경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24권2호
    • /
    • pp.148-156
    • /
    • 2018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influence of the mothers' native country on influenza vaccinations in adolescents in multicultural families. Methods: Data were gathered from the 13th (2017)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were conducted using a complex sample data analysis method.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had a father who was born in Korea and a mother born outside of Korea. The sample included 481 adolescents. Results: The analysis of non-adjusted confounding variables showed that influenza vaccination was higher in multicultural adolescents whose mother's native country had an annual minimum temperature less than $21^{\circ}C$ (odds ratio [OR]: 1.81, 95% confidence interval [CI]: 1.20~2.74). Furthermore, when the analysis was adjusted for confounding variables, an annual minimum temperature less than $21^{\circ}C$ in the mother's native country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influenza vaccination (OR: 2.12, 95% CI: 1.36~3.29). Conclusion: Multicultural adolescents belong to a socioeconomically vulnerable class, and their health promotion behaviors are influenced by their mothers' culture. Thus, healthcare providers and school nurses should provide adolescents with appropriate information related to influenza vaccination depending on their mothers' culture and their family's cultural background.

다문화가족 청소년의 개인적, 심리적, 건강행위와 주관적 건강상태 (Factors that Affect the Subjective Health Status of Adolescents in Multicultural Families)

  • 이봉숙;김지수;김기숙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64-75
    • /
    • 2013
  •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general, psychological, and health-related factors related to subjective health status reported from adolescents in multicultural families. Methods: Data from the seventh Korean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2001), collected by the Korean Center for Disease Control, was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the t-test, analysis of variance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The average points reported for subjective health status was 3.73(SD=0.87)out of 5 points. A major factor accounting for differences in the subjective health status reported was gender. In addition key differences related to psychological and health-related factors were cognition of stress, satisfaction with sleep amount, and moderate physical exercise. Conclusion: The findings suggest that tailored intervention programs should be provided to prevent adolescent problems in multicultural families. We also recommend the development of a program that can help control the variables identified in this study.

다문화가정 아동·청소년 자아개념의 구조모형: 생태체계모형을 기반으로 (A Structural Model of Self-Concept among Children and Adolesc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Based on the Ecological Systems Model)

  • 오은진;성경미
    • 동서간호학연구지
    • /
    • 제24권2호
    • /
    • pp.171-181
    • /
    • 2018
  • Purpose: The study aimed to validate a structural model of self-concept among children and adolesc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325 mothers of multicultural families and their 417 children.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path analysis and multiple mediation analysis with a phantom variable approach were used to assess construct validity and relations between model variables. Results: Goodness of fit indices of the modified theoretical model, the standardized ${\chi}^2$ (2.75), RMR (.02), RMSEA (.07), NFI (.90), TLI (.92), CFI (.94), GFI (.89), and AGFI (.87), met criteria. Social support and mental health problem had significant direct effects on self-concept, whereas residential environment and school adjustment had significant indirect effects, accounting in combination for 53% of the variance in self-concept.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mental health problem mediated the relationships of self-concept and parenting stress.

부모의 국적에 따른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구강 증상 경험: 제16차 청소년건강행태조사 (Oral symptom experiences in adolescents among multicultural families according to the parental nationality: The 16th Korean youth health behavior survey)

  • 유자혜;이민영;김영숙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73-82
    • /
    • 2023
  •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oral symptoms experiences of Korean adolescents among multicultural families. Methods: Data on 985 participants from the 16th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were collected and analyzed using complex sample descriptive statistics. Results: The foreign-born mother, foreign-born parents, and foreign-born father rates were 77.2%, 17.3%, and 5.4%, respectively. The toothache, gingival bleeding, tooth fracture, and tooth sensitivity experience rates were 21.3%, 18.8%, 13.3%, and 30.4%, respectively. The tooth fracture rate was highest in the foreign-born parents group (24.6%). The toothache odds ratio (OR) was 1.71 (95% CI: 1.24-2.37) times higher in girls. The foreign-born mother group was 2.47 (95% CI: 1.09-5.60) times higher than that of the foreign-born father or both parents foreign-born groups. The smoking group was 2.03 (95% CI: 1.20-3.43) times higher than that of the non-smoking group. The gingival bleeding OR was 5.11 (95% CI: 1.80-14.53) times higher in the lowest economic status group. The tooth fracture OR was 3.44 (95% CI: 1.01-11.70) times higher in the lowest economic status group. The tooth sensitivity OR was 1.53 (95% CI: 1.14-2.04) times higher in girls. Conclusion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program to promote oral health of adolesc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다문화 청소년의 진로문제에 대한 인식 유형별 특성에 관한 연구 (Perceptions toward Career Problems in Adolesc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 김소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8호
    • /
    • pp.427-439
    • /
    • 2019
  • 이 연구는 다문화 가정 청소년들의 진로문제 인식에 대한 이해를 통해 다문화 청소년들을 위한 진로교육에의 시사점을 도출하기 위해 첫째, 다문화 청소년의 진로 문제에 대한 인식이 어떻게 유형화되며 인식유형별 특성은 무엇인지, 둘째, 인식 유형에 걸쳐 나타나는 공통점과 차이점을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Q방법론을 활용하였으며, 다섯 집단(다문화 청소년과 다문화 청소년 학부모, 비다문화 청소년, 비다문화 청소년 학부모, 교사)을 대상으로 조사된 자료는 PC용 QUANL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사회적 측면, 가정환경 측면, 진로활동 측면, 제도 측면에서의 진로문제에 대한 진술문 34개에 대한 동의 정도를 살펴 본 결과, 본 조사에서 밝혀진 4개의 인식 유형은 "중립적 인식 유형", "경제문제 인식 유형", "진로교육문제 인식 유형", "전문적 지원 문제 인식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다문화 청소년 진로에 대한 인식은 각 유형별로 구체적인 문제점을 인식하고 있는 가운데, 일방적으로 긍정적 또는 부정적인 관점에서 보고 있다기보다는 현실적인 문제 해결에 대한 필요성을 시사하고 있었다. 이에 따라 다문화 청소년에 대한 진로 인식의 문제는 진로교육 뿐 아니라 사회적, 심리적 측면에서 해결할 수 있는 차별화된 전략이 필요하다.

Structural Model Analysis of Individual and Environmental Factors of Korean Language Ability of Multicultural Children

  • Kim, Jae-Nam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7권11호
    • /
    • pp.241-249
    • /
    • 2022
  • 본 연구는 다문화청소년패널연구 2기 데이터를 활용하여 다문화 아동들의 심리사회 적응, 이중문화체험, 부모지지 및 양육태도, 학교생활이 한국어 능력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분석하고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외국인 가정과 중도입국 가정의 396명으로 2019년도에 초등학교 4학년에 재학하고 있었던 다문화 아동들이다. 연구 결과 심리사회 적응, 이중문화체험, 학교 활동은 다문화 아동들이 한국어를 구사하고 이해하는 능력에 직·간접적으로 의미있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학교 활동이 다문화 아동들의 한국어 능력 향상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친구의 지지와 교사의 지지가 교육 현장의 교육활동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으로 다루어져야 한다는 것을 파악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다문화 아동을 위한 한국어 교육정책에서 한국어 능력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이상적인 교육 환경이 필수적으로 반영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문화가족과 일반가족 청소년의 주관적 구강증상 (Subjective Oral Symptoms between Multicultural and Ordinary Korean Families; Adolescents)

  • 박지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9호
    • /
    • pp.374-383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다문화가족과 일반가족 청소년의 주관적 구강증상을 알아보고, 건강형평성 확보를 위한 정책결정과정에 있어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제10차(2014년)청소년건강행태 온라인조사의 원시자료를 이용하였으며, 만 12-18세 청소년 총 66,857명을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였다. 주관적 구강증상 여부를 종속변수로 한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모든 변수가 보정된 상태에서 성별, 연령, 학업성적, 아버지의 교육수준, 어머니의 교육수준, 주관적 경제 상태, 거주형태, 흡연여부, 음주여부, 하루 탄산음료 섭취빈도, 하루 과일 섭취빈도, 하루 과자 섭취빈도 및 하루 칫솔질 횟수가 주관적 구강 증상 여부와 유의한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따라서 앞으로 다문화가족 관련 복지와 보건 서비스 사업을 점층적으로 확대함과 동시에 그 수가 증가하는 다문화 청소년에 초점을 맞춰 실시되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