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392/JKCA.2020.20.02.371

Analysis of Adaptation Research Trends of Multicultural Families Adolescents  

Park, Byung-Kum (서울디지털대학교 사회복지학과)
Publication Information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s of adaptation research of adolescents in multicultural families and to seek future research tasks and directions. For this purpose, a total of 94 journal papers were selected and the research status, research method, research subject, and research contents were examined.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journal articles has been steadily appearing since the 1st edition in 2007, and has soared since 2018.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number of papers by journal, a total of 50 papers were found in various fields. By journal field, 37(74%) were the most in the social science field. Second, among the analysis results of the research method, 68 research surveys were found, and quantitative research analysis methods accounted for 74%.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search subjects, 75 cases were studied directly for multicultural adolescents only, and 19 others studied parents, teachers (workers) or adolescents and other subjects together. Fourth, in the contents of the study, school adaptation characteristics were the most frequently(52), followed by sociocultural adaptation characteristics(37).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future research directions and tasks were discussed.
Keywords
Multicultural; Adolescents; Adaptation; Research Trends;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12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차슬기, 변해원, "우리나라 중고등학생의 다문화수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체계적 문헌고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9권, 제7호, pp.207-213, 2018.   DOI
2 선곡유화, 민기연, 이영선, "다문화효능감에 관한 연구동향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16권, 제2호, pp.847-876, 2016.
3 남성희, 권종설, "아동청소년 다문화 프로그램 연구에 대한 경향분석," 청소년학연구, 제20권, 제3호, pp.129-158, 2013.
4 이정우, "청소년 다문화교육 프로그램 연구 동향분석," 청소년학연구, 제19권, 제4호, pp.293-314, 2012.
5 장인실, 차경희, "한국다문화교육의 연구동향 분석: Bennett이론에 근거하여," 한국교육학연구, 제18권, 제1호, pp.283-302, 2012.
6 전재영, "다문화교육 연구의 메타 분석적 접근," 초등도덕교육, 제35권, pp.29-54, 2011.
7 권문화, "다문화영역 이중언어 교육 연구 동향분석," 제19권, 제5호, pp.931-959, 2019.
8 엄윤재, 최소영,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발달중제관련 연구동향 분석: 국내 단일대상연구를 중심으로," 특수.영재교육저널, 제5권, 제2호, pp.37-65, 2019.
9 이승숙, 권경숙, "다문화가정 자녀의 이중언어 관련 연구동향분석," 어린이미디어연구, 제17권, 제1호, pp.299-320, 2018.
10 김윤주, "다문화배경 학생대상 한국어 교육 동향-한국어 교육 및 국어교육 전공 학위논문을 중심으로,"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학술대회, 제2016권, 제11호, pp.76-87, 2016.
11 전지아, 황해영, "국내 다문화가정 자녀를 위한 이중언어교육 연구동향-이주부모나라 언어교육을 중심으로,"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제6권, 제10호, pp.107-120, 2016.
12 김지연, 이윤희, "다문화청소년 진로발달 연구동향과 과제 : 학회지 논문을 중심으로(2009- 2019.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19권, 제19호, pp.1205-1230, 2019.
13 조혜영, "다문화청소년 진로지원개선 방안 모색연구,"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제7권, 제11호, pp.689-699, 2017.
14 김의연, 김미순, 황해영, "다문화학생을 위한 심리지원 프로그램의 국내외 연구동향 분석," 교육문화연구, 제21권, 제5호, pp.145-177, 2015.
15 윤갑정, 손환희, "다문화가정 유아의 적응에 대한 연구 동향 분석 : 국내 학술지를 중심으로," 문화예술교육연구, 제13권, 제3호, pp.81-109, 2018.
16 노일하, "다문화관련 교사인식에 관한 연구 동향 분석," 상담심리교육복지, 제5권, 제4호, pp.29-41, 2018.
17 노성향, "보육교사 관련 다문화교육 연구 동향 분석," 현대사회와 다문화, 제7권, 제2호, pp.117-139, 2017.
18 김종훈, "다문화교육 분야의 교사 관련 연구동향분석: 현황과 향후 과제를 중심으로," 다문화교육연구, 제7권, 제4호, pp.81-100, 2014.
19 이신동, 서영화, "다문화가정 유아발달 관련 연구동향 분석," 한국영유아보육학, 제93권, pp.147-169, 2015.
20 이상희, 이연우, "다문화가정 유아를 대상으로 한중재실행연구에 대한 동향 분석," 특수교육저널:이론과 실천, 제16권, 제2호, pp.465-491, 2015.
21 김용숙, 성영란, 유지은, "유아 다문화 연구동향," 열린유아교육연구, 제20권, 제1호, pp.403-422, 2015.
22 최일선, "유아 다문화교육의 연구동향과 과제," 다문화교육, 제1권, 제1호, pp.119-133, 2010.
23 송윤선, 이미나, "결혼이주여성의 가족상담관련 KCI연구동향-1993년부터 2017년까지 게재논문 중심으로,"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제9권, 제4호, pp.697-706, 2019.
24 선혜연, "다문화가정 학생의 진로발달연구 동향," 초등교과교육연구, 제22권, pp.15-30, 2015.
25 원상화, "다문화가족 심리지원을 위한 국내 예술심리치료 적용 연구 동향 분석," 예술심리지료연구, 제13권, 제3호, pp.1-20, 2017.
26 오은경, 최미, 최한나, "국내 다문화 상담 연구동향: 학술지 및 학위논문분석(1993-2016.7)," 상담학연구, 제17권, 제5호, pp.223-242, 2016.
27 김보미, 이정민, "탈북청소년 연구의 20년 동향분석 :1999년-2018년 연구 중심으로," 학습자교과교육연구, 제19권, 제8호, pp.1265-1289, 2019.
28 박언하, "탈북청소년의 남한사회적응 연구 동향 분석," 인문사회 21, 제10권, 제3호, pp.399-414, 2019.
29 정하은, "탈북청소년의 남한사회적응 연구 동향 분석:학회지 게재논문을 중심으로(2001-2014)," 다문화가족연구, 제10권, pp.41-65, 2015.
30 C. H. Meyer, Clinical Social Work in the Eco-system Perspective, Columbia University, 1983.
31 교육심리학용어사전,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944579&cid=41989&categoryId=41989.
32 교육과학기술부, 교육기본통계, 2018.
33 여성가족부, 2019 전국다문화가족실태조사.
34 최윤미, 임성택,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스트레스와 학교적응의 관계," 상담평가연구, 제5권, 제5호, pp.15-26, 2012.
35 윤새은임, 유진이, "중도입국청소년에 관한 연구동향 분석," 다문화아동청소년연구, 제2권, 제1호, pp.57-93, 2017.
36 이종우, "재외동포를 대상으로 한 한국사 교육의 현황과 과제-공주대학교 재외동포교육센터를 중심으로," 다문화와 평화, 제5권, 제2호, pp.91-120, 2011.
37 김혜련, "다문화 가정 중등 학습자 대상의 한국어 교재개발 방향," 교육연구, 제56권, pp.8-26, 2013.
38 김상운, 신재헌,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가정 기능적 특성이 재산비행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3호, pp.195-202, 2014.   DOI
39 윤혜순, "탈북청소년의 연구 동향과 과제," 청소년학연구, 제21권, 제11호, pp.125-149, 2014.
40 김명선, 이동훈, "탈북청소년의 남한사회적응 특성에 관한 연구," 재활심리연구, 제20권, 제1호, pp.39-64, 2013.
41 박현숙, 김광웅, "다문화가정 자녀 연구 동향," 놀이치료연구, 제15권, 제4호, pp.459-485, 2012.
42 백용매, 류윤정, "다문화가정 구성원의 심리사회적 적응에 관한 연구 동향과 현황 분석," 인문과학연구, 제16권, pp.83-108, 2011.
43 김광웅, 최명선, 유진아, 정유진, "아동상담 연구동향 ; 학회지 게재논문을 중심으로(1997-2005)," 놀이치료, 제12권, 제9호, pp.47-65, 2006.
44 O. R. Holti, Content Analysis. In Gardener Lindzey & Elliot Arnsos(Eds.) Handbook of Social Psychology:Second Edition. Reading, Massachusetts: Addison-Wesley Publishing Company, 1968.
45 이영수, 손진희, 최윤진, "청소년관련학과 학위논문 연구동향," 미래청소년학회지, 제9권, 제3호, pp.19-35, 2012.
46 송병국, "청소년연구방법론의 동향과 과제," 청소년학연구, 제6권, 제1호, pp.1-21, 1999.
47 김범구, "청소년 학업중단에 대한 연구동향분석," 청소년학연구, 제19권, 제4호, pp.315-337, 2012.
48 김소라, "대응분석을 통한 다문화 청소년의 진로문제에 대한 인식 차이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9권, 제12호, pp.346-361, 2019.   DOI
49 은선경, "다문화가족 자녀의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아동복지학, 제33호, pp.37-74, 2010.
50 한상철,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적응유연성에 대한 영향요인 분석," 제9권, 제4호, pp.239-258, 2012.
51 이상균, 박현선, 노연희, 이채원, "다문화가족 아동의 문화변용스트레스 및 문화자본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복지학, 제38호, pp.235-264, 2012.
52 전병주, "다문화가족 청소년의 사회적 자본 및 문화변용스트레스가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디지털융복합연구, 제10권, 제11호, pp.29-38, 2012.   DOI
53 한국여성정책연구원, 다문화가족 법 제도 개서방안 연구, 여성가족부 다문화가족정책과, 2013.
54 이정금, "미래사회 한국 다문화교육정책의 방향 탐색," 교육문화연구, 제24권, 제1호, pp.549-567, 2018.
55 김지나, 고려인 청소년의 학교생활을 통한 문화적응과정 경험연구,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56 김소라, "다문화청소년의 진로문제에 대한 인식 유형별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9권, 제8호, pp.427-439, 2019.   DOI
57 류방란, 오성배, "중도입국 청소년의 교육 기회와 적응 실태," 다문화교육연구, 제5권, 제1호, pp.29-50, 2012.
58 엄명용, "다문화가정 중도입국청소년의 한국 사회 적응 영향 요인," 한국가족복지학, 제42호, pp.39-82, 2013.
59 이병철, 송다영, "다문화가족 중도입국청소년의 학교생활 적응에 관한 질적연구," 한국사회복지학, 제63권, 제4호, pp.131-154, 2011.
60 김주연, "다문화가정 고등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가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의사소통능력의 매개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9권, 제1호, pp.623-633, 2019.   DOI
61 김미진, 김경은, "국내 다문화 수용성에 관한 연구동향 분석," 다문화교육연구, 제11권, 제1호, pp.1-27, 2018.
62 이현정, "우리나라 초등학생의 다문화 수용성에 관한 연구 동향 분석," 디지털융복합연구, 제16권, 제9호, pp.63-71, 2018.   DOI
63 장은영, 이정아, "국내 다문화교육 연구 동향 분석," 교육문화연구, 제24권, 제3호, pp.501-522, 2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