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ulti-group Structural Equation

검색결과 127건 처리시간 0.025초

Social Support for Social Commerce: An Empirical Study with Trust as a Mediator and Culture as Moderator

  • Hossain, Md. Alamgir;Jahan, Nusrat;Kim, Minho;Yesmin, Most. Nirufer;Hasan, Raquibul
    • Journal of Korea Trade
    • /
    • 제25권7호
    • /
    • pp.75-91
    • /
    • 2021
  • Purpose - Social commerce (SC) is the growth of social media highlighting the e-commerce transactions and currently, the greatest challenges of e-commerce have attracted the influence of trust in social commerce intention (SCI). Based on the challenge, the study's purpose is to discover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informational and emotional support) on the SCI. The study also explores the mediation effect of trust and the moderation impact of culture between the USA and Korea. Design/methodology - This study used a sample of 482 surveys filled out by online shoppers from the US and Korea, two countries with divergent cultural values. Structural equation modelling (SEM) is used to analyze the hypothetical paths. In addition, bootstrapping and multi-group analysis are perform to view mediation and moderation effects respectively. Findings - The results of our study shows that both informational and emotional support significantly influences trust and SCI. Our results also supports the mediating effect of trust in social support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culture in forming SCI. Originality/value - Our empirical results provide important information to businesses formulating cross-cultural SC strategies. This will help SC companies to analyze the aspects of customer trust through social support, which in turn will increase SCI and thereby established a competitive position for SCs. Our results will also be holistic directions for SC vendors in cross-cultural settings, which will offer important social and economic contributions to the sustainable growth of SC's business.

성별에 따른 SNS사용유형이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연구: 집단소속감, 지각된 사회지지, 부정적 사회비교의 매개효과 (The Relation between Social Networking Sites and Depression by Gender: Mediating effects of Collective Identity,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Negative Comparison)

  • 이승욱;최윤영;이현우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8호
    • /
    • pp.205-215
    • /
    • 2019
  • 본 연구는 Social Networking Sites(SNS)의 사용유형과 우울감의 관계에서 지각된 사회지지와 부정적 사회비교의 매개효과가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483명의 성인들을 대상으로 수집된 자료를 이용하여 다집단 구조방정식 분석을 실시하였고, 부트스트랩 분석으로 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로는 남녀 모두 SNS를 통해 집단소속감을 느끼며 높은 집단소속감은 높은 사회지지와 낮은 우울감으로 연결되었고, 높은 부정적 사회비교는 높은 우울감으로 연결되었다. 그러나 남성의 경우 집단소속감과 부정적 사회비교 간의 유의미한 관계는 나타나지 않은 반면 여성의 경우 집단소속감이 높을수록 부정적 사회비교 역시 높았고 이는 우울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SNS의 사용은 온라인 환경에서의 집단소속감을 가질 수 있는 긍정적인 효과가 있으나, 성별에 따른 집단 내에서의 소속감은 부정적 사회비교에 서로 다른 영향을 주었고 이에 따라 우울감이 달라질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스포츠 스타 인플루언서 광고가치와 소비자 팀동일시가 브랜드자산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ports Star Influencer Advertising Value and Consumer Team Identification on Brand Equity)

  • 이진균;엄남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6호
    • /
    • pp.180-196
    • /
    • 2021
  • 본 연구는 스포츠 스타 인플루언서가 나오는 SNS 광고가치인 정보성, 오락성, 방해성, 신뢰성이 브랜드자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또한 인플루언서 SNS 광고가치와 브랜드자산과의 관계에 미치는 팀동일시의 조절효과를 규명하였다. 대학생 35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진행하였으며, 확인적 요인분석과 구조 방정식모형을 이용한 다집단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결과로 스포츠 스타 인플루언서가 출연한 SNS 광고가치 중 정보성, 오락성, 신뢰성이 증가할수록 브랜드자산에 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방해성은 브랜드자산에 유의미한 부적 영향이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소비자의 팀동일시 수준이 낮은 집단에 비해 높은 집단이 오락성을 더 높게 지각한 반면 팀동일시 수준이 낮은 집단이 높은 집단에 비해 방해성을 더 높게 지각한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는 스포츠 스타 인플루언서를 활용한 SNS 광고가치의 학문적 이해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또한 팀동일시 수준에 따른 스포츠 인플루언서 광고가치 지각의 차이를 밝힘으로써 소비자의 스포츠 팬덤 강화와 브랜드자산 증대를 위한 시사점을 제공 할 것이다.

A Comparative Study on Consumer Attitude and Intention toward Online Food Purchasing in Korea and Vietnam: The Moderating Effect of Nationality

  • Chung, Jae-Eun;Nguyen, Thi Bich Loan;Nguyen, Thi Thu Ha;Moon, Hee-Cheol
    • Journal of Korea Trade
    • /
    • 제25권1호
    • /
    • pp.47-64
    • /
    • 2021
  • Purpose - This paper empirically analyzed the determinants of the online food market in Korea and Vietnam as representatives of the developed market and emerging market. The online food market can be regarded as having a high potential value. This study aims to suggest the appropriate implications for each developed market and emerging market by empirically comparing and analyzing customers' online food purchase determinants in the growth change of the online food market. Design/methodology - The empirical model of this study was established with the motif of the TAM+Trust model suggested by Nguyen et al.'s (2019) existing theoretical framework. Davis's (1989) TAM model was adopted to establish a framework related to the determinants that consumers would accept, for the online food purchasing method. Then, the trust variable is added to the framework which is regarded as an important effector especially in food related researches. In this study's comparative analysis, the multi-group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was implemented. Findings - The main finding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that the moderating effect of nationality is significant. This means that there is an obvious difference between the developed online food market and the emerging online food market. In addition, as the growth of the online market changes, the significant determinants of consumers' attitudes and purchase intentions are somewhat different. However, the usefulness of online food purchasing methods and the trust of websites were analyzed as significant factors. Originality/value - Although the potential of the online food market is abundant, studies on the determinants of customer's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are insufficient. Moreover, comparative studies between countries have not been conducted in existing studies. Therefore, the research value of this paper can be explained in that it has suggested implications for the continued growth of the online food market.

AI 기반 패션 챗봇 서비스에 대한 소비자 수용의도 -챗봇의 준사회적 실재감 특성을 중심으로- (Consumer Acceptance Intention of AI Fashion Chatbot Service -Focusing on Characteristics of Chatbot's Para-social Presence-)

  • 허희진;김우빈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464-480
    • /
    • 2022
  • With the steady develop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AI), online stores are adopting chatbot services as virtual shopping assistants. This study proposes the concept of para-social presence to explore the undiscovered role of fashion chatbots' emotional and relational characteristics on service acceptance. Based on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TAM),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 of a chatbot's para-social presence on service acceptance intention through consumers' beliefs. The web-based experiment was conducted on adult consumers who experienced chatbot services in an online shopping situation. A total of 247 responses were analyzed using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multi-group SEM by AMOS 21.0 and SPSS 23.0. The findings illustrate that the chatbot's intimacy positively influenced consumers' perceived enjoyment, while the chatbot's understanding had a significant effect on perceived usefulness and ease of use. The chatbot's involvement had a positive effect on all consumer beliefs. Moreover, perceived ease of use had a positive influence on usefulness. A greater level of perceived usefulness and enjoyment positively heightened consumers' service acceptance intention. This study also verifies the moderating role of a need for human interaction. Consumers with a high need for human interaction have a relatively low tendency to perceive chatbot services as useful.

Factors Influencing the Purchase Intention of EVs Among Korean and Chinese Consumers

  • Jian Cong;Kyoung-Suk Choi;Tongshui Xia
    • Journal of Korea Trade
    • /
    • 제27권4호
    • /
    • pp.77-100
    • /
    • 2023
  • Purpose - Using the Model of Goal-Directed Behavior (MGB), this study identifies the critical factors that influence consumer intention to purchase an electric vehicle (EV). This study also provides differentiated policy implications to the Korean and Chinese governments and EV-related companies for the expansion of the EV market in both countries by comparing consumers' perceptions of EV purchase intentions. Design/methodology - Our extended MGB model adds to the standard model consideration of financial incentives, perceived risks, and environmental concerns.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f Korean and Chinese consumers. Based on the collected responses, all tested hypotheses were verified using PLS-SEM (Partial Least Squares-Structural Equation Modeling). Differences in the path analysis results between Korea and China were compared and verified using Henseler's MGA (multi-group analysis), the parametric test, and the Welch-Satterthwaite test. Findings - The most critical factor that influences the intent to purchase an EV in consumers from both countries is personal desire. PBC and SN were identified as the critical factors that respectively increase personal desire in Korea and China. In addition, in Korea, among the three factors EC, FIP, and PR, environmental concerns were found to have the most significant impact on attitudes and purchase intention. In contrast, in China, economic factors (specifically financial incentives) had greater importance than environmental issues. Originality/value - This study has academic contributions in that it presents a new research model that includes financial incentive policies, environmental concerns, and perceived risk variables based on the MGB to explore consumers' purchase intentions. This study can also make a practical contribution in that it provides some meaningful implications to the governments and EV-related companies of both countries based on the differences in the analysis results of the Korean and Chinese markets.

이혼 가정 자녀의 긍정적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분석: 가구 소득의 조절효과 (Predictors of Positive Changes in Children with Divorced Parents: Focused on Moderating Effects of Family Incomes)

  • 최효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6호
    • /
    • pp.465-475
    • /
    • 2018
  • 이 연구의 목적은 이혼 가정 자녀의 긍정적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이혼 가정 한부모의 지각된 사회적 차별 경험, 양육 어려움, 자녀와의 대화시간, 자녀의 인터넷 사용문제, 이혼 후 자녀의 긍정적 변화 간의 구조적 관련성을 확인하고, 가구 소득에 따른 구조적 관계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분석 자료는 2015년 한부모가족 실태조사 자료의 한부모 1,114명의 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구조방정식모형 분석과 다집단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한부모가 지각한 차별 경험은 양육어려움(${\beta}=.354$), 인터넷 사용문제(${\beta}=.234$)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한부모가 지각한 양육 어려움은 자녀와의 대화시간(${\beta}=-.192$), 자녀의 긍정적 변화(${\beta}=-.218$)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적인 영향, 자녀의 인터넷 사용문제(${\beta}=.440$)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자녀의 인터넷 사용문제는 부모의 이혼 후 자녀의 긍정적 변화(${\beta}=-.199$)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한부모가 지각한 차별 경험은 자녀와의 대화시간, 양육 어려움, 인터넷 사용문제를 매개로 자녀의 긍정적 변화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간접효과(${\beta}=-.167$)가 확인되었다. 셋째, 다집단 분석 결과, 가구 소득에 따른 통계적으로 유의한 경로계수의 크기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이혼 후 자녀의 긍정적 변화를 이끌기 위해서는 한부모가 차별을 느끼지 않을 수 있는 사회적 문화 형성과 한부모의 양육 과정에 대한 공식적, 비공식적 지지가 중요하며, 한부모 가정 자녀의 인터넷 과다 사용을 예방하고 줄이기 위한 실천적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교원의 우울에 대한 직무 관계스트레스와 반추의 구조적 관계에서 학교급에 의한 조절효과 분석 (Analysis of the Moderating Effect of School Levels on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Stress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t Work and Rumination in Teachers' Depression)

  • 양성진;이은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11호
    • /
    • pp.122-131
    • /
    • 2019
  • 본 연구는 교원의 우울에 대한 직무 관계 스트레스와 반추의 구조적 관계에서 학교급에 의한 조절효과를 분석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검토를 통하여 연구모형을 구성하였으며, 초등, 중등교원 811명을 대상으로 우울, 반추, 직무 관계 스트레스 수준을 측정하였다. 측정된 자료는 학교 급을 집단변수로 산정하여 다집단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두 모형 간의 동질성을 전제하기 위해 측정의 동일성 제약 모형 적합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모형 간의 동질성이 검증되어, 집단 간 등가제약을 전제로 하여 두 모형의 경로계수를 비교하여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학교 급에 의해 조절효과는 직무관계스트레스에서 우울로 이어지는 경로에서 나타났다. 이는 우울에 대한 반추의 영향을 직무관계 스트레스가 매개하며, 학교 급에 따라서 직무관계 스트레스에 의한 매개효과가 다르다는 것이 검증되었다. 초등 교원보다 중등 교원의 직무관계 스트레스에 의한 매개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어머니의 일상적 스트레스와 아동의 인지조절 및 정서조절이 아동의 학교준비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Mother's Daily Hassles, Cognitive Regulation and Emotive Regulation on School Readiness)

  • 박윤조;송하나
    • 한국보육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27-51
    • /
    • 2018
  • 본 연구는 어머니의 일상적 스트레스, 아동의 인지조절과 정서조절이 아동의 학교준비도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 뿐 아니라 어머니의 일상적 스트레스가 아동의 인지조절과 정서조절을 통해 아동의 학교준비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고, 아동의 성별에 따른 매개효과의 차이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시 송파구, 경기도 용인시 및 분당구의 유치원과 어린이집 4곳에 재원 중인 만5세반 취학전 아동 273명과 그들의 어머니 273명이었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SPSS 24.0과 Mplus 6.0($Muth{\acute{e}}n$ & $Muth{\acute{e}}n$, 2010)을 사용해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 및 적합도 지수를 통해 가설의 적합성을 확인하였고,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서 구조방정식 모형(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을 사용하였다. 또한 아동의 성별에 따른 경로의 통계적 유의성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다중집단분석(multi group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일상적 스트레스는 아동의 인지조절 및 정서조절에 직접적으로 부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아동의 인지조절은 아동의 학교준비도의 하위요인 중 단체생활을 위한 기본자세 및 학습활동을 위한 능력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아동의 정서조절은 아동의 학교준비도의 하위요인 중 사회정서적 유능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어머니의 일상적 스트레스는 아동의 인지조절을 매개로 아동의 학교준비도의 하위요인 중 단체생활을 위한 기본자세 및 학습활동을 위한 능력에 영향을 주었으며, 아동의 정서조절을 매개로 아동의 학교준비도의 하위요인 중 사회적 유능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남아의 경우에는 어머니의 일상적 스트레스가 아동의 인지조절에 미치는 영향이 여아의 경우보다 적은 반면에, 인지조절이 아동의 학교준비도의 하위요인 중 단체생활을 위한 기본자세에 미치는 영향은 여아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 집단별 노인의 주관적 건강인식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과 사회활동참여의 매개효과 (Analysis of the Effects of Self-Perceived Health on Life Satisfaction and Mediating Effect of Social Activities of the Elderly by Age Group)

  • 손근호;김경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7호
    • /
    • pp.127-138
    • /
    • 2020
  • 본 연구는 노인의 주관적 건강인식과 사회활동참여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및 사회활동참여의 매개효과를 연령집단별로 분석한 것이다. 이를 위해 고령화연구패널조사 6차년도(2016) 자료를 활용하여, 만65세이상 75세 미만의 전기노인 2,106명, 75세 이상의 후기노인 2,219명을 대상으로 구조방정식모형을 사용했다. 분석결과, 주관적 건강인식 수준과 사회활동참여의 정도 및 삶의 만족도 수준 모두가 전기노인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활동참여의 매개효과는 전기노인에게만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다중집단분석 결과, 주관적 건강인식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은 집단 간에 차이가 없어 전기·후기노인 모두에게 주관적 건강인식이 동일하게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관적 건강인식이 사회활동참여에 미치는 영향력은 후기노인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사회활동참여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에서 전기노인에게만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노인의 삶의 만족도 제고를 위하여 전기노인과 후기노인의 집단 간 차이를 고려한 실천적 개입방안을 논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