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ulti-detector row CT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46초

Multi-Detector Row CT를 이용한 중심부 기도 질환의 평가 (Multi-Detector Row CT of the Central Airway Disease)

  • 강은영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5권3호
    • /
    • pp.239-249
    • /
    • 2003
  • Multi-detector row CT (MDCT) provides faster speed, longer coverage in conjunction with thin slices, improved spatial resolution, and ability to produce high quality muliplanar and three-dimensional (3D) images. MDCT has revolutionized the non-invasive evaluation of the central airways. Simultaneous display of axial, multiplanar, and 3D images raises precision and accuracy of the radiologic diagnosis of central airway disease. This article introduces central airway imaging with MDCT emphasizing on the emerging role of multiplanar and 3D reconstruction.

Analysis of Image Quality and Optimized Reconstruction Window through Heart Rate and Its Variation in Retrospectively ECG-gated Coronary Angiography Using Multi-Detector Row CT

  • Lee, Sang-Ho;Park, Byoung-Wook;Kim, Hee-Joung;Haijo Jung;Kang, Won-suk;Son, Hye-Kyung;Choe, Kyu-Ok
    • 한국의학물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의학물리학회 2002년도 Proceedings
    • /
    • pp.461-463
    • /
    • 2002
  • Image quality and selection of optimized window for good quality reconstruction in coronary angiography using multi-detector row CT (MDCT) have not been studied by heart rate and its variation. Therefore, the effect of heart rate and its variation was systemically analyzed. Eighty-three patients were undergone contrast-enhanced coronary angiography using MDCT. In this study, sixty cases were enrolled. Two radiologists graded image quality as follows: 4, excellent; 3, good; 2, fair; l, bad. The starting points of the reconstruction window were chosen at seventy and forty percent of R wave interval. Optimized window was scored as 1 when 40% reconstruction was better quality than 70%, as 2 when 40% reconstruction is same as 70%, and as 3 when 70% reconstruction was better than 40%.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he range of variation of beats per minute (BPM) was well correlated with image quality (r=-0.55, p=0.000), however correlation with optimized window percentag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p=0.969). By contraries, median value of BPM was comparatively well correlated with optimized window grade (r=-0.24, p=0.086). Median value of BPM was not well correlated with image quality (r=0.l70, p=0.l97). Image quality is more affected by variation of heart rate (VHR) than by higher heart rate. Selection of optimized reconstruction window for good image quality is mainly affected by heart rate and there is a tendency that systolic phase reconstruction is better in image quality than diastolic reconstruction in higher heart rate.

  • PDF

Multiplanar Reformation of CT Scan for Preoperative Staging of Gastric Cancer

  • Kim, Honsoul;Lim, Joon Seok
    • Journal of International Society for Simulation Surgery
    • /
    • 제2권1호
    • /
    • pp.43-45
    • /
    • 2015
  • Recent progress on CT such as multi-detector row CT, oral contrast agents and multiplanar reconstruction have markedly improved the image quality as well as diagnostic performance of gastric cancer. Multiplanar reformatted images at predetermined orientations can be easily performed and embedded into routine CT protocol without increasing medical expense or labor. Currently, many institutions have adopted routine multiplanar reformatted protocols and therefore knowledge on them can improve the diagnostic accuracy of gastric cancer.

전산화단층촬영 혈관조영술을 이용한 얼굴동맥의 수술 전 평가 (Preoperative Evaluation of the Facial Artery Using Facial Angio Computed Tomography)

  • 김주학;강낙헌;이인호;서영준;양호직;송승한;오상하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38권6호
    • /
    • pp.719-724
    • /
    • 2011
  • Purpose: Previous studies of the facial artery have shown significant anatomical variability in this region. The vascular anatomy of the region is considered unreliable in predicting the ideal pedicle. Preoperative imaging has been suggested as a means of improving preoperative awareness, with Doppler ultrasound as useful tools. Multi-detector row angiographic computed tomography (angio CT) is a significant improvement, providing noninvasive operator-independent details of the vascular anatomy. This tool was used to perform an $in$ $vivo$ anatomical study of the facial artery, demonstrating the usefulness of facial angio CT in planning the facial reconstruction. Methods: Eleven consecutive patients underwent facial angio CT of the facial vasculature with the anatomical details of the facial artery assessed. Results: Facial angio CT could demonstrate the size and course of the facial vasculature, particularly the facial artery. Conclusion: The vascular anatomy of the facial artery is highly variable, and thus there is a role for preoperative imaging. Facial angio CT can demonstrate cases where there is an aberrant or non-preferred anatomy, or select the method of a facial reconstruction.

Variations in Entrance of Vertebral Artery in Korean Cervical Spine: MDCT-based Analysis

  • Shin, Hye Young;Park, Ji Kang;Park, Sun Kyung;Jung, Gyu Seo;Choi, Yun Suk
    • The Korean Journal of Pain
    • /
    • 제27권3호
    • /
    • pp.266-270
    • /
    • 2014
  • Background: Knowledge of the anatomical variation of the vertebral artery has clinical importance not only for the performance of interventional or surgical procedures itself but also to ensure their safety. We conducted a study of the anatomical variation by reviewing multi-detector computed tomography (MDCT) images of the cervical spine from 460 Korean patients. Methods: 16-row MDCT data from 460 patients were used in this study. We observed 920 vertebral arteries. Examination points included level of entrance of the artery into the transverse foramen of the cervical vertebra, origin site of the vertebral artery, course of a vertebral artery with aberrant entrance. Result: The vertebral artery in 2 (0.2%) cases in this study entered into the transverse foramen of the 7th cervical vertebra from the left. In 45 (4.9%) cases, the vertebral artery entered into the transverse foramen of the 5th cervical vertebra. Of these, the entrance was on the right in 15 (1.6%) and on the left in 30 (3.3%). We found 17 (1.8%) cases in which the artery entered into the transverse foramen of the 4th cervical vertebra, 10 (1.1%) on the right and 7 (0.7%) on the left side. As is commonly acknowledged, the 6th cervical vertebra was the most common site of entry; the vertebral artery entered the transverse foramen of the 6th cervical vertebra in the remaining 855 (93.0%) cases, on the right in 434 (47.2%) and on the left in 421 (45.8%). Conclusions: In conclusion, the possibility of an atypical course of the vertebral artery in segments V1 and V2 should be evaluated with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or CT images before carrying out procedures involving the anterior cervical vertebrae.

하지 정맥조영술 MDCT에서 고정 관전류 기법과 Z-축 자동 관전류 변동 제어에 의한 선량 비교 (Comparison Radiation Dose of Z-Axis Automatic Tube Current Modulation Technique with Fixed Tube Current Multi-Detector Row CT Scanning of Lower Extremity Venography)

  • 유병규;이종석;장근조;전상환;김용수;권대철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32권3호
    • /
    • pp.123-133
    • /
    • 2007
  • 하지 정맥류 질환 환자를 대상으로 하지 정맥조영술 MDCT 검사에서 환자의 피폭선량을 최소화 하면서 최적의 진단영상을 묘출하기 위해 고정 관전류 기법과 Z-축 자동 관전류 변동 제어를 이용하여 CTDIvol(CT dose index volume), DLP(dose length product) 산출을 통한 영상의 노이즈를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Monte Carlo simulation으로 200, 250, 300 mA에서 CTDIw, CTDIvol, DLP를 계산하여 고정 관전류 기법과 비교하였다. 고정 관전류 기법의 대상 환자는 50명(평균 나이, 46세; 연령 범위, 35-61세)으로 남성30명, 여성 20명 이었고, 평균 체중은 62.4 kg 이었다. Z-축 자동 관전류 변동 제어 대상 환자는 50명(평균 나이, 43세; 범위, 37-63세)으로 남성25명, 여성 25명 이었고 평균 체중은 60.1 kg 이었다. 고정 관전류 기법은 200, 250, 300 mA를 기준으로 하고, Z-축 자동 관전류 변동 제어는 노이즈 지수 10, 11, 12 HU에서 관전류 $70{\sim}450\;mA$ 범위 내에서 자동으로 선택하였다. 고정 관전류 기법과 Monte Carlo simulation 비교에서 200 mA에서의 CTDIvol은 차이가 없었으나, 250 mA, 300 mA 에서의 Monte Carlo simulation는 높았고, DLP는 모든 관전류에서 Monte Carlo simulation이 높게 측정 되었다. 노이즈는 고정 관전류에서 최소 $9.8{\pm}0.9\;HU$, 최대 $12.5{\pm}0.7\;HU$ 이었고, Z-축 자동 관전류 변동 제어에서는 최소 $11.3{\pm}0.8\;HU$, 최대 $12.9{\pm}0.7\;HU$이었다. Z-축 자동 관전류 변동 제어에서 노이즈 지수가 증가하면 CTDIvol과 DLP가 감소하였으나 노이즈는 증가하였다. 생식부위를 포함하는 하지 정맥조영술에서 Z-축 자동 관전류 변동 제어 방법이 고정 관전류 기법에 비해 선량을 감소하는 효과가 있었다.

MDCT에서의 Convolution Kernel 종류에 따른 공간 영역 필터링의 영상 평가 (Evaluation to Obtain the Image According to the Spatial Domain Filtering of Various Convolution Kernels in the Multi-Detector Row Computed Tomography)

  • 이후민;유병규;권대철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31권1호
    • /
    • pp.71-81
    • /
    • 2008
  • CT 영상은 커널의 종류와 재구성 방법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나며, 관심 영역의 CT감약계수 및 노이즈는 정밀도에 영향을 준다. 커널의 종류에 따른 노이즈, 공간분해능 및 MTF를 측정하여 영상을 평가하였다. 다중채널CT 스캐너를 이용하여 팬텀 및 복부를 스캔 하였고, 커널은 B10(very smooth), B20(smooth), B30(medium smooth), B40(medium), B50(medium sharp), B60(sharp), B70(very sharp), B80(ultra sharp)으로 재구성하여 물, 공기, 간의 실질 조직, 근육, 지방 부위를 ROI 기능을 이용하여 평균의 CT감약계수와 표준편차인 노이즈를 정량적으로 측정하여 영상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CT 감약계수는 물($1.1{\sim}1.8\;HU$), 공기($-998{\sim}-1,000\;HU$)이고, 물에서의 노이즈($5.4{\sim}44.8\;HU$), 공기($3.6{\sim}31.4\;HU$)이다. 인체에서 간 실질 조직과 지방, 근육의 CT 감약계수와 노이즈를 커널에 따라 측정하였다. 지방의 CT 감약계수($-2.2{\sim}0.8\;HU$), 간의 실질 조직에서 CT감약계수($60.4{\sim}62.2\;HU$), 노이즈($7.6{\sim}63.8\;HU$), 근육의 CT감약계수($53.3{\sim}54.3\;HU$), 노이즈($10.4{\sim}70.7\;HU$) 사이에서 분포하였고, 커널이 높아질수록 노이즈도 증가하였다. 영상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검사부위에 따라 노이즈를 감소하기 위해 적절한 커널을 선택하여 CT 검사를 하여야 한다.

  • PDF

반복적 재구성 알고리즘과 관전류 자동 노출 조정 기법의 CT 영상 화질과 선량에 미치는 영향: 관상동맥 CT 조영 영상 프로토콜 기반의 팬텀 실험 (Effects of Iterative Reconstruction Algorithm, Automatic Exposure Control on Image Quality, and Radiation Dose: Phantom Experiments with Coronary CT Angiography Protocols)

  • 하성민;정성희;장혁재;박은아;심학준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26권1호
    • /
    • pp.28-35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반복적 구성 기법과 관전류 노출자동조절 기법이 영상의 화질과 방사선량에 미치는 영향을 관상동맥 전산화단층촬영 혈관조영 영상(coronary computed tomography angiography, CCTA)을 대상으로 팬텀 실험에 기반하여 평가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미국 의학물리학회(American Association of Physics in Medicine) 표준의 성능 평가 팬텀을 320 다중검출열 CT로써 촬영하였다. 80 kVp, 100 kVp, 120 kVp의 관전압에 있어서, 관전류 노출자동조절 기법은 저선량 목표 표준편차(SD=44)와 고선량(목표 표준편차=33)의 두 가지 설정으로써 촬영하였다. 재구성 변수로서는 필터보정 역투영(FBP)와 반복적 재구성 방법을 설정하여, 전부 12개의 재구성 영상을 획득하였다(12=3 (80, 100, 120 kVp)${\times}2$ (저선량(목표SD=44), 고선량(목표SD=33))${\times}2$ (필터보정역투영, 반복적 재구성). 영상의 화질은 잡음의 세기(표준편차), 변조전달함수, 대조대잡음비(CNR)에 의하여 평가하였으며, 관전압과 관전류 노출자동조절 기법에서의 목표 선량과 대소 및 재구성 기법의 선택이 화질과 방사선량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였다. 반복적 재구성 기법은 필터보정역투영 기법보다 영상 잡음을 대폭 감소시켰으며 이는 저선량의 경우 더욱 뚜렷하였다. 즉, 잡음의 세기는 관전류 노출자동조절의 설정이 고선량 (목표SD=33)과 저선량(목표SD=44)인 경우, 각각 평균 38%와 평균 46% 감소하였다. 반복적 재구성 기법에 의하여, 변조전달 함수에 의한 공간적 해상도의 평가에 있어서 미약한 감소를 보였으나, 이로써 잡음 저감과 대조대잡음비(CNR)에 있어서의 현저한 개선을 상쇄할 정도의 영향에는 미치지 못 하였다. 결과적으로, 관상동맥 전산화단층촬영 혈관조영 영상의 획득에서 있어서, 반복적 재구성 기법과 관전류 노출자동조정 기법을 동시에 사용하는 것은 영상의 화질을 개선하면서 공간적 해상도의 저하 등 그 부작용은 최소화함으로써, 합리적으로 획득 가능한 한 최소한의 선량 (ALARA)의 원칙에 충실한 실제 임상적 효과를 의미한다고 기대할 수 있다.

인공결석모형물의 부피와 하운스필드값 측정에 대한 전산화단층촬영기기의 타입과 빔 콜리메이션의 영향 (Effect of Different CT Scanner Types and Beam Collimations on Measurements of Three-Dimensional Volume and Hounsfield Units of Artificial Calculus Phantom)

  • 왕지환;이희천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495-501
    • /
    • 2014
  • 본 연구는 다양한 전산화단층촬영기기와 촬영 프로토콜의 차이에 따른 모형물의 부피와 Hounsfield unit (HU) 수치의 차이를 평가하고 이 후 전산화단층촬영술을 이용하여 결석의 부피와 HU 수치를 포함한 다양한 인자들을 평가하고 이 중 체외충격파쇄석술에 의한 결석의 분쇄를 예측할 수 있는 인자를 찾고자 하였다. 다양한 직경의 100 HU 인공종양 5개를 (직경 3.0-12.0 mm) 이용하여 모형물을 만들었으며, 이 모형물의 부피와 HU 수치를 Siemens사의 2채널, GE사의 4채널과 64채널, 그리고 Philips사의 64채널 전산화단층촬영기기를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또한 각각의 전산화단층촬영기기에서 동일한 조건으로 collimation만 thin collimation과 thick collimation으로 변화를 주어 모형물을 촬영한 후 모형물의 부피와 HU 수치를 평가하였다. 평가자간 (inter-observer) 재현성을 평가하기 위해 3명의 수의영상의학 전공의가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이중 한 명의 수의사가 평가자내 (intra-observer) 재현성을 평가하기 위해 모형물의 부피와 HU 수치를 2주 간격으로 총 3번 측정하였다. 부피의 평가자간 재현성과 평가자내 재현성은 k=0.9994, k=0.9969로 아주 우수하였으며, HU 수치의 평가자간 재현성과 평가자내 재현성 역시 k=0.9984, k=0.9655로 아주 우수하였다. 다양한 전산화단층촬영기기와 collimation 차이에 따른 부피와 HU 수치의 차이는 모두 통계학적으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그러나 부피의 경우 collimation이 얇을수록 부피의 정확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향후 진행될 결석의 부피 및 HU 수치의 평가 시 전산화단층촬영기기의 차이에 따른 영향을 받지 않으리라 판단되어 Siemens사의 2채널 전산화단층촬영기기만을 사용하였으며, 비록 통계학적으로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지만 부피의 정확도를 더 높이기 위하여 얇은 collimation을 사용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