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ugilidae

검색결과 16건 처리시간 0.019초

한국산 숭어과 어류의 분류 (Synopsis of Family Mugilidae (Perciformes) from Korea)

  • 이충열;주동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814-824
    • /
    • 1994
  • 1990년 7월부터 1994년 7월까지 우리나라의 연안에 서식하고 있는 숭어과 어류의 분류학적 위치와 이들의 특징을 재검토하였다. 그 결과 숭어 Mugil cephalus, 가숭어 Liza haematocheilus, 등줄숭어 Liza carinatus. 등 2속 3종으로 분류되었고 지금까지 서식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된 알숭어 Mugil japonicus는 Mugil cephalus와 동일종으로 확인되어 Mugil cephalus의 synonym으로 정리하였다. 이들 어류의 속간 중요 분류학적인 형질로서는 뒷지느러미의 연조수, 상악골의 후단 길이와 형태, 설골의 형태 안전골의 형태 상악치의 형태 등에서 잘 구분되었고, 종간 분류학적인 형질로서는 위의 형태, 유문수, 종열 비늘수, 이석의 형태, 체형, 새파수, 전상악의 각도 등에서 독특하게 나타났다. 이들의 서식 지역은 Mugil cephalus와 Liza haematocheilus는 거의 같이 출현하며 우리나라의 전 연안에 서식하고 있으며, Liza carinatus는 남해에서만 출현하고 있었다.

  • PDF

Two New Records of Juvenile Oedalechilus labiosus and Ellochelon vaigiensis (Mugiliformes: Mugilidae) from Jeju Island, Korea, as Revealed by Molecular Analysis

  • Kwun, Hyuck Joon;Song, Young Sun;Myoung, Se Hun;Kim, Jin-Koo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16권2호
    • /
    • pp.109-116
    • /
    • 2013
  • Eighteen specimens of juvenile Mugilidae were collected in October 2012 from the southern coastal waters of Jeju Island, and identified based on analysis of their mitochondrial DNA16S rRNA sequences. Seventeen specimens of Oedalechilus labiosus and a single specimen of Ellochelon vaigiensis were found, constituting a new record for these species among Korean ichthyofauna. O. labiosus is identified by the angle at the posterior end of its mouth, which contains a round notch, a darkish dorsal margin of the pectoral fin, the presence of 33-36 lateral line scales, and 23-24 vertebrae. E. vaigiensis is identified by dark dorsal and pectoral fins, the presence of 26 lateral line scales, and 25 vertebrae. The proposed Korean name for Oedalechilus is 'Sol-ip-sung-eo-sok' and that for Ellochelon is 'Nup-jeok-ggo-ri-sung-eo-sok'. The proposed Korean names for the species are 'Sol-ip-sung-eo' and 'Nup-jeok-ggo-ri-sung-eo' for O. labiosus and E. vaigiensis, respectively. We present a key for identification of the Mugilidae family of species from Korea, and include these two newly recorded species.

한국산 숭어과(Mugilidae) 어류, Moolgarda cunnesius (Valenciennes, 1836)의 첫기록 (First Record of Longarm Mullet Moolgarda cunnesius (Valenciennes, 1836) (Mugiliformes: Mugilidae) in Korea)

  • 서연주;김진구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6권6호
    • /
    • pp.909-915
    • /
    • 2023
  • A specimen of longarm mullet Moolgarda cunnesius (Valenciennes, 1836) belonging to the family Mugilidae was collected from Yerae-dong, Seogwipo-si, Jeju-do Island, Korea, on July 19, 2023, using a hand net. The specimen was identified as Moolgarda cunnesius based on its morphological traits, including pectoral fin reaching the third or fourth spine of the first dorsal fin, anal fin higher than the first and second dorsal fin, two dorsal and caudal fin membranes with small melanophores, and a slightly convex interorbital region. Furthermore, molecular analysis, specifically comparison of the 623 base pairs of mitochondrial DNA COI sequences, confirmed that our specimen perfectly matched M. cunnesius. It is well known that the species is widely distributed in the Indo-West Pacific Ocean, including the Red Sea, Taiwan, and northern Australia, and this study shows that it also inhabits the Jeju-do Island, Korea. Additionally, we propose a new Korean name 'gin-pal-sung-eo' for this species.

한국 숭어과(Mugilidae) 어류 1 미기록종, Moolgarda seheli (First Record of Bluespot Mullet, Moolgarda seheli (Mugiliformes: Mugilidae) from Jeju Island, Korea)

  • 권혁준;김진구;권선만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297-301
    • /
    • 2012
  • 2010년 10월, 제주도 남부연안에서 Moolgarda seheli 3개체가 처음 채집되었다. 본 종은 비늘 가장자리에 부드러운 막이 있고, 가슴지느러미 기저의 등쪽 기점에 뚜렷한 어두운 반점과 초승달 모양의 꼬리지느러미를 가지며, 측선비늘은 39개, 척추골은 24~25개를 가진다. 본 종의 국명으로 속명은 "초승꼬리숭어속"을 새롭게 제안하며, 종명은 "초승꼬리숭어"이다.

한국 숭어과(Mugilidae) 어류 1 미기록종, Chelon macrolepis (First Record of Largescale Mullet, Chelon macrolepis (Mugiliformes: Mugilidae) from Jeju Island, Korea)

  • 권혁준;김병직;이철상;이충렬;김진구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35-138
    • /
    • 2012
  • 2007년 2월과 2010년 10월 제주도 남부연안 및 부산에서 Chelon macrolepis 2개체가 채집되었기에 한국미기록종으로 보고한다. 본 종은 입을 닫았을 때 주상악골 뒤쪽 끝부분이 노출되며, 측선비늘은 31~32개, 척추골은 23~24개 가진다. Chelon macrolepis의 국명으로 "큰비늘숭어"를 제안한다.

우리나라 숭어과 어류의 어명 및 자원 활용에 대한 고찰 (Review of Fish Name on the Fishes of the Family Mugilidae in Korea and Resource Utilization)

  • 고은영;박종오;이경선
    • 한국해양생명과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96-105
    • /
    • 2019
  • 숭어과 어류는 연안에서부터 담수역까지 서식하고 있는 대표적인 광염성 어류이다. 이들의 형태적인 유사성 때문에 분류학적인 면에서나 명명법에 있어 많은 논란이 있다. 숭어과 어류 중 국내에서 주로 소비되고 있는 어종은 숭어(Mugil cephalus)와 가숭어(Chelon haematocheilus)로, 일반적으로 숭어와 가숭어를 구별하지 않고 숭어라 불리기도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의 학술적인 자료 및 옛 문헌을 조사하여 국내에서 혼용되고 있는 숭어류의 학명 및 어명에 대해 정리해보고자 하였다. 숭어의 학명은 M. cephalus로 사용되고 있지만, 가숭어는 Chelon, Mugil, Liza 속명이 혼용되고 있다. 숭어류의 어명에 대해 국내사전에는 숭어와 가숭어를 구별하지 않고 있으나, 일어, 영어, 중국어사전에서는 숭어와 가숭어가 명확히 구분되어 있었다. 옛 문헌에서는 숭어류를 '치어' 또는 '수어'라 이르고 있다. 대부분의 문헌에서는 숭어와 가숭어의 구분이 명확하게 나타나지 않았으나, 자산어보에서는 가숭어를 치어(참치어)로, 숭어를 가치어로 기록하고 있어 '가(假)'자의 붙임이 현재와 달리 사용되고 있었다. 가숭어는 양식되고 있는 종으로 앞으로 산업적인 활용이 모색되고 있는 단계에서, '가'자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을 고려하였을 때 가숭어라는 어명 대신에 '참숭어'로의 어명 변경을 제안한다.

Barcoding and Phylogenetic Inferences in Nine Mugilid Species (Pisces, Mugiliformes)

  • Polyakova, Neonila;Boutin, Alisa;Brykov, Vladimir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29권4호
    • /
    • pp.272-278
    • /
    • 2013
  • Accurate identification of fish and fish products, from eggs to adults, is important in many areas. Grey mullets of the family Mugilidae are distributed worldwide and inhabit marine, estuarine, and freshwater environments in all tropical and temperate regions. Various Mugilid species are commercially important species in fishery and aquaculture of many countries. For the present study we have chosen two Mugilid genes with different phylogenetic signals: relatively variable mitochondrial cytochrome oxidase subunit I (COI) and conservative nuclear rhodopsin (RHO). We examined their diversity within and among 9 Mugilid species belonging to 4 genera, many of which have been examined from multiple specimens, with the goal of determining whether DNA barcoding can achieve unambiguous species recognition of Mugilid species. The data obtained showed that information based on COI sequences was diagnostic not only for species-level identification but also for recognition of intraspecific units, e.g., allopatric populations of circumtropical Mugil cephalus, or even native and acclimatized specimens of Chelon haematocheila. All RHO sequences appeared strictly species specific. Based on the data obtained, we conclude that COI, as well as RHO sequencing can be used to unambiguously identify fish species. Topologies of phylogeny based on RHO and COI sequences coincided with each other, while together they had a good phylogenetic signal.

한국산 Chelon속 (Pisces, Mugilidae) 어류의 분류학적 재검토 (Taxonomic Revision of the genus Chelon (Pisces, Mugilidae) from Korea)

  • 김용억;김진구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250-259
    • /
    • 1998
  • 본 연구는 한국 전 연안에 서식하는 등줄숭어 및 가숭어의 정확한 분류학적 위치를 알고자 그들의 외부형태를 비교 연구하였다. 등줄숭어는 주로 남부 연안에만 출현하며, 몸의 동쪽 정중선을 따라 융기연을 형성하는 특징을 가지는 반면에, 가숭어는 전 연안에서 출현하며 머리가 심하게 종편되어 두 종의 식별이 용이하다. 가숭어를 5집단으로 나누어 계측형질을 비교한 결과 대부분 집단 간에 잘 일치하였지만 군산집단만이 뒷지느러미 높이와 꼬리자루길이에서 다소 차이를 나타내었다. 등줄숭어와 가숭어는 계수형질에서 대부분 중복되어 계수형질에 의한 동정은 어렵지만, 유문수와 체측종렬린수에서 구분된다.

  • PDF

보길도 소하천 담수어류상 및 군집구조 (Freshwater Fish Fauna and Community Structure of the Small Streams in Bogil Island, Korea)

  • 한정호;박찬서;안광국;백운기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72-80
    • /
    • 2017
  • 2015년 6월부터 9월까지 보길도 일대의 소하천의 12개 조사지점에서 담수어류상 및 어류 군집구조를 분석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9과 17속 21종의 어류가 채집되었다. 망둑어과(10종, 1,157개체; 상대풍부도 (RA), 40.9%)가 우점과로 나타났고, 아우점과는 잉어과 (3종, 500개체), 숭어과(2종, 168개체)순으로 나타났다. 버들치(RA 20.7%, 397개체)가 우점종으로 나타났으며, 아우점종은 꾹저구(19.5%, 373개체), 사백어(17.2%, 330개체), 가숭어(8.5%, 163개체) 순으로 나타났다. 보길도에서 채집된 담수어류 중 생활형 구분으로 일차담수어가 9종(42.9%), 주연성 어종 11종(52.4%), 양측회유성 어종 1종(4.8%)으로 나타났다. 한반도 고유종 및 외래어종은 보길도에서 한종도 출현하지 않았다. 군집분석 결과에 따르면, 종 풍부도 지수 및 종 다양도 지수는 다른 지점에 비해 많은 종이 출현한 부황천 최하류 구간(S8)에서 각각 1.831, 1.957로 높게 나타났으며, 중류구간 (S4)에서 0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반면, 우점도 지수는 중류구간(S4) 1로 높게 나타났으며, 최하류 구간(S8)에서 0.17로 낮게 나타났다.

황해(黃海)의 어류상(魚類相)에 대한 검토(檢討) (A Review on the Fish Fauna of the Yellow Sea)

  • 이충렬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72-192
    • /
    • 1994
  • 중국(中國) 양자강(楊子江) 입구(入口)에서 제주도(濟州道)를 잇는 북쪽과 우리나라와 중국(中國) 대륙(大陸)에 의하여 둘러싸여 있는 황해(黃海)는 지리적(地理的)으로 국가(國家) 경제산업(經濟産業) 면(面)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役割)을 하고 있는 해역(海域)이다. 지금까지 본 해역(海域)에 서식(棲息)하고 있는 어류에 대하여 조사(調査)한 결과(結果) 모두 27목(目) 123과(科) 257속(屬) 389종(種)으로 확인(確認)되었다. 이들 중에서 한국(韓國) 서해(西海) 연안(沿岸)에 서식(棲息)하고 있는 종(種)으로는 모두 20목(目) 80과(科) 161속(屬) 233종(種)이고, 중국(中國) 연안(沿岸)에 서식하고 있는 종(種)은 27목(目) 115과(科) 213속(屬) 300종(種)이었다. 본 해역(海域)에서 가장 많이 출현(出現)하고 있는 분류군(分類群)은 농어목(目) 어류로서 51과(科) 114속(屬) 164종(種) (42.2 %)이고 다음이 쏨뱅이목(目) 어류로서 11과(科) 27속(屬) 45종(種) (11.5 %)이며, 그 다음이 가자미목(目)으로 5과(科) 24속(屬) 34종(種) (8.7 %)의 순으로 나타났다. 본 해역(海域)에서 다량(多量)으로 서식(棲息)하고 있으면서 경제적(經濟的)으로 부가가치(附加價値)가 높은 어류의 분류군(分類群)으로서는 Rajidae, Anguillidae, Clupeidae, Engraulidae, Scorpaenidae, Serranidae, Sciaenidae, Mugilidae, Trichiuridae, Platycephalidae, Stromateidae, Cynoglossidae, Pleuronectidae, Tetraodontidae 등에 속(屬)하는 어류들이고, 여기에 서식(樓息)하고 있는 특산(特塵) 어종(魚種)으로는 Neosalanx jordani, Pseudosciaena polyactis, Repomucenus koreanus, Repomucenus leucopoecilus, Achanthogobius elongata, Scartelaos sp., Cynoglossus joyneri, Takifugu flauidus, Takifugu obscurus 등의 9종(種)으로 확인(確認)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