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uS1

검색결과 9,408건 처리시간 0.046초

Cysteine 및 Glutathione이 사람정자의 운동성지수와 정자형태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ysteine and Glutathione on Motility Index and Morphology in Human Spermatozoa)

  • 윤정임;한만희;전은숙;허영문;이종인;이규승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211-218
    • /
    • 2000
  •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cysteine and glutathione on the motility index and morphology of human spermatozoa at the sperm processing in vitro. After treating the sperm with medium containing cysteine and glutathione, we measured the motility index and morphology at 0.5 h and 24 h. 1. Following the sperm culture for 0.5 h after treating the sperm with the medium containing 0, 1, 5, 10 mM cysteine, curvilinear velocity (VCL) was significantly (p<0.05) higher in control than that in all treatments. And straight-line velocity (VSL) was high at 1 mM and average path velocity (VAP) was low at 5 mM and 10 mM. But the motility (MOT) and morphology (NOM) were not different between control and all treatments. Following the sperm culture for 24 h, the MOT was significantly high in treatment groups (58.9, 74.4 and 62.3%), compared with that in control(28.7%) and the VCL was also high in treatment groups (31.4, 37.9, and 34.0 ${\mu}{\textrm}{m}$/s), compared with that in control (21.3 ${\mu}{\textrm}{m}$/s). The VSL (18.4, 21.7, and 18.9 ${\mu}{\textrm}{m}$/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control (10.7 ${\mu}{\textrm}{m}$/s) and the VAP (20.3, 24.7, and 21.4 ${\mu}{\textrm}{m}$/s) in treatments was also compared with that in control (12.6 ${\mu}{\textrm}{m}$/s). The NOM was not difference between control and treatments. 2 Following the sperm culture for 0.5 after treating the sperm with the medium containing 0, 1, 5, 10 mM glutathione, the MOT, VCL, VSL, VAP, and NOM were not different between control and treatments. Following the sperm culture for 24 h, the MOT was higher in treatment groups (82.9, 83.6, 83.4%) than in control (51.1%) and the VCL was higher in treatment groups (50.9, 51.3, and 49.4 ${\mu}{\textrm}{m}$/s) than control (34.1 ${\mu}{\textrm}{m}$/s). The VSL was also higher in treatment (17.1 ${\mu}{\textrm}{m}$/s) and the VAP was also higher in treatment groups (30.1, 32.5, and 29.7 ${\mu}{\textrm}{m}$/s) than in control (19.8 ${\mu}{\textrm}{m}$/s). The NOM was not different between control and treatments.

  • PDF

식물공장내 광도와 배양액농도가 상추의 생육과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Light Intensity and Nutrient Level on Growth and Quality of Leaf Lettuce in a Plant Factory)

  • Park, Mi-Hee;Lee, Yong-Beom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08-114
    • /
    • 1999
  • 식물공장에 있어서 생산성 극대화를 위한 최적환경을 구명하기 위하여, 식물공장 시스템 하에서 광도와 배양액 농도가 잎상추의 생육과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실험결과 광이 높아짐에 따라 증산량과 광합성량이 높았으며, 광도 200$\mu$mol $m^{-2}$ $s^{-1}$과 300$\mu$mol $m^{-2}$ $s^{-1}$ 에서 생체중과 건물중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식물공장내 잎상추의 최적 광도는 200 $\mu$mol $m^{-2}$ $s^{-1}$ 이상으로 나타났다. 지상부 환경요인들과의 지하부 환경 요인과의 관계를 밝히기 위해서 광도와 배양액 농도간의 관계가 잎상추 생육과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으나 저광도에서는 배양액농도가 높은 편인 2.4 mS cm-1에서 고광도에서는 1.8 mS cm-1 수준에서 생육량이 많게 나타났다.

  • PDF

실내녹화용 목본식물 3종의 초기 생육반응에 미치는 광량의 영향 (Effect of Light Intensity on the Growth Responses of Three Woody Plants for Indoor Landscaping)

  • 권계정;박봉주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1-8
    • /
    • 2018
  • 본 연구는 광량이 산호수(Ardisia pusilla), 크루시아(Clusia rosea), 팔손이(Fatsia japonica) 목본식물 3종의 초기 생육 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수행하였다. 목본식물 3종을 10cm 포트에 식재한 다음, 광량 15, 30, 60, $120{\mu}mol{\cdot}m^{-2}{\cdot}s^{-1}$ PPFD 4수준으로 광조사 시간은 12/12(명기/암기)로 설정하여 120일 동안 실시하였다. 4주 간격으로 초고, 엽장, 엽폭, 엽록소형광(Fv/Fm), SPAD, Hunter 값의 생육측정과 실험 종료 후 식물체 지상부와 지하부의 생체중과 건조중을 측정하였다. $120{\mu}mol{\cdot}m^{-2}{\cdot}s^{-1}$에서 실험기간동안 초고, 엽면적, 지상부와 지하부의 생체중과 건조중 값이 가장 크게 나타났다. 팔손이는 광량이 높을수록 엽장, 엽폭이 컸으며, 그 밖의 식물에서는 광량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산호수의 Fv/Fm 값은 60, $120{\mu}mol{\cdot}m^{-2}{\cdot}s^{-1}$에서 광량에 대한 스트레스를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그 밖의 식물과 광량에서는 Fv/Fm는 모두 정상 범위로 나타나, 스트레스를 받지 않았다. SPAD값은 $120{\mu}mol{\cdot}m^{-2}{\cdot}s^{-1}$에서 크루시아만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으며, 그 밖의 식물과 광량에서는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산호수의 Hunter 값은 모든 광량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며, 크루시아는 $60{\mu}mol{\cdot}m^{-2}{\cdot}s^{-1}$에서, 팔손이는 $120{\mu}mol{\cdot}m^{-2}{\cdot}s^{-1}$에서 L, a, b값에 특이성이 나타났다. $120{\mu}mol{\cdot}m^{-2}{\cdot}s^{-1}$에서 산호수 줄기의 성장 폭이 컸으며, 크루시아는 60과 $120{\mu}mol{\cdot}m^{-2}{\cdot}s^{-1}$에서 지속적인 성장을 보여, 적정수준의 초고를 유지하기 위해서 이들은 $60{\mu}mol{\cdot}m^{-2}{\cdot}s^{-1}$이하의 광량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에너지 전환 방식에 의한 섬광관 펌핑 Ti$^{3+}$ : Sapphire 레이저의 발진특성 (The Output Characteristics of Flashlamp Pumped Ti:sapphire Laser Enhanced by Energy Transfer Dye)

  • 김희경
    • 한국광학회지
    • /
    • 제4권4호
    • /
    • pp.442-446
    • /
    • 1993
  • T$i^{3+}$: sapphire 레이저를 선형 xenon 섬광관을 이용하여 펌핑시켜 그 발진 특성을 조사하였다. Ti: sapphire 레이저에 적합한 섬광관 펌핑 조건을 찾기 위하여 섬광관에 인가되는 펄스의 시간폭이 각각 10${\mu}s$, 45${\mu}s$, 65${\mu}s$인 세 가지의 방전 회로에 대하여 실험하였다. 섬광관에서 방출된 빛 중에서 Ti: sapphire 의 흡수대보다 짧은 파장의 빛을 Ti: sapphire 의 흡수대와 일치하는 파장의 빛으로 바꾸어 주기 위하여 그 형광 스펙트럼이 Ti: sapphire 의 흡수대와 잘 일치하는 색소 LD-490을 형광에 의한 에너지 전환제로 선택하였다. LD-490의 농도의 변화에 따른 레이저의 출력변화를 측정한 결과 농도가 1.0${\times}10^{-3}$mol/l 일때의 레이저 출력이 가장 높았다. LD-490의 농도를 1.0${\times}10^{-3}$mol/l로 하였을 경우 펌핑광의 펄스폭을 10, 45, 65$\mu\textrm{s}$로 증가시킬 경우 기울기 효율은 각각 2.3%, 1.5%, 1.1%로 감소하였다. 문지방 에너지는 각각 22, 65, 95 J로 증가하였다.

  • PDF

정상 망막과 변성 망막을 위한 전기자극 파라미터 (Electrical Stimulation Parameters in Normal and Degenerate Rabbit Retina)

  • 진계환;구용숙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19권1호
    • /
    • pp.73-79
    • /
    • 2008
  • 망막색소변성(retinitis pigmentosa: RP)과 연령 관련 황반변성(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AMD)은 망막변성으로 인해 실명에 이르는 대표적인 질환이며 망막이식장치의 개발을 통해 치료될 수 있다고 간주되고 있다. 최근에 국내에서도 망막이식장치 개발을 위한 연구팀이 조직되었다. 성공적인 망막이식장치 개발을 위하여 여러 가지 선결요소가 필요하지만 그 중 한 가지가 이식장치에 인가할 전기자극을 최적화하는 것이다. 변성망막의 전기적 특성은 정상 망막과 다르리라 예측되므로 우리는 장차 개발될 망막 이식장치에 인가할 전기자극 최적화를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공하기 위해 정상 망막과 변성 망막의 전압자극 파라미터에 관한 실험을 하였다 망막을 분리한 후 망막절편을 신경절세포 층이 다채널전극의 표면을 향하게 하여 전극에 붙인다 in-vitro 상태에서 망막 신경절세포의 전기신호를 기록하기 위해 전극 직경: $30{\mu}m$, 전극간 거리: $200{\mu}s$, 전극 임피던스 1kHz 에서 $50k{\Omega}$인 8행 8열의 다채널전극을 사용하였다. 다채널전극의 60채널 중 두 채널을 자극전극과 접지로 사용하여 단극전기자극을 인가하였고 나머지 전극을 기록전극으로 사용하였다. 가한 전기자극은 전압자극으로 전하균형을 맞춘 이상성자극을 아노딕 사각파를 먼저 주고 캐쏘딕 사각파가 나중에 나오는 형태로 두 사각파간의 지체는 없도록 하였으며 동일한 자극을 2초 간격으로 50회 반복하여 인가하였다. 다양한 전기자극을 사용하였는 바 첫째는 사각파의 크기를 달리하였다 $(0.5{\sim}3V)$. 둘째는 사각파의 시간을 달리하였다 $(100{\sim}1,200{\mu}s)$. 전하밀도는 옴의 법칙과 쿨롱의 법칙을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전기자극으로 유발된 반응은 50회 자극에 대한 평균치를 얻은 후 자극 후 히스토그램(PSTH)을 그려 분석하였다. 전압자극의 크기를 $0.5{\mu}3V$로 달리하였을 때 믿을 만한 망막신경절세포가 유발되는 자극은 1.5V이었고 이때 계산된 전하밀도의 역치는 $2.123mC/cm^2$이었다. 전압의 크기를 2V로 고정하고 자극 지속시간을 $100{\sim}1,200{\mu}s$로 달리하였을 때 믿을 만한 망막신경절세포가 유발되는 자극의 역치는 $300{\mu}s$에서 관찰되었다. 이때 계산된 전하밀도의 역치는 $1.698mC/cm^2$이었다. L-(1)-2-amino-4-phosphonobutyric acid (APB)을 사용하여 ON-경로를 차단한 후에 전기자극을 인가하였을 때도 자극에 의해 망막신경절 세포의 반응이 유발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APB-변성망막에서 전압의 크기를 2V로 고정하고 자극 지속시간을 $100{\sim}1,200{\mu}s$로 달리하였을 때 믿을 만한 망막신경절세포가 유발되는 자극의 역치는 $300{\mu}s$에서 관찰되었으며 이는 정상망막의 결과와 같았다. 추후 APB-변성망막을 가지고 좀더 실험이 진행되어야 정상망막과 변성망막의 전하밀도에 관한 명료한 비교가 가능할 것이다.

  • PDF

갈조류 다시마 유리배우체의 분리, 재생 및 성숙 유도 (Isolation, Regeneration and Maturation Induction of Free-living Gametophytes of Saccharina japonica (Phaeophyceae))

  • 황은경;유호창;김세미;백재민;박찬선
    • 환경생물
    • /
    • 제33권2호
    • /
    • pp.248-255
    • /
    • 2015
  • 본 연구는 다시마 유리배우체의 분리, 재생 및 성숙 유도 조건을 구명하기 위하여, 4개의 온도 조건 (5, 10, 15, $20^{\circ}C$), 4개의 조도조건 (5, 10, 20, $40{\mu}mol\;m^{-2}\;s^{-1}$) 및 3개의 광주기 조건 (14 : 10, 12 : 12, 10 : 14 h L : D)에서 배양을 실시하였다. 다시마 암배우체의 생장은 $15^{\circ}C$, $20{\mu}mol\;m^{-2}\;s^{-1}$, 10 : 14 h (L : D)에서 촉진되었으며, 수배우체의 생장은 $15^{\circ}C$, $5{\mu}mol\;m^{-2}\;s^{-1}$, 14 : 10 h (L : D)에서 촉진되었다. 암배우체의 성 성숙은 $5^{\circ}C$, $20{\sim}40{\mu}mol\;m^{-2}\;s^{-1}$, 10 : 14 h (L : D)에서 촉진되었으며, 수배우체의 성 성숙은 $15^{\circ}C$, $40{\mu}mol\;m^{-2}\;s^{-1}$, 10 : 14 h (L : D)에서 촉진되었다. 이러한 다시마 암수유리배우체의 재생 및 성숙 유도 조건은 다시마의 품종개발과 교잡육종을 위한 유리배우체 배양에 가장 기본적인 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녹조 납작파래 (Enteromorpha compressa)의 질산염 흡수, 배아 생장 및 지방산 조성에 대한 광 및 온도의 영향 (Effects of Light and Temperature on Nitrate Uptake, Germling Growth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Enteromorpha compressa (Chlorophyta))

  • 이동훈;이순정;류진아;박은정;남기완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57-64
    • /
    • 2004
  • Effects of light and temperature on the nitrate uptake and germling growth of Enteromorpha compressa (L.) Greville (Chlorophyta) were studied based on samples from Cheongsapo near Busan, Korea. In addition, their effects on fatty acids composition in thallus were examined. Nitrate uptake showed saturation kinetics. $V_{max}$ (maximal uptake rate) and its $K_s$ (half-saturation constant) at $20^{\circ}C,\;80\;{\mu}mol\;m^{-2}s^{-1},$ white light were $1.571\;{\mu}mol{\cdot}g\;fr\;wt^{-1}{\cdot}h^{-1}$ and 3.56 ${\mu}M$, respectively. In nitrate uptake with irradiance, wavelength and temperature, its rate represented respectively the highest value as $1.405\pm0.020,\;0.623\pm0.040,\;1.422\pm0.022\;{\mu}mol{\cdot}g\;fr\;wt^{-1}{\cdot}h^{-1}\;at\;100\;{\mu}mol\;m^{-2}s^{-1},$ red light, $20^{\circ}C$ and exhibited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examined conditions (p<0.001). Germling growth of E. compressa also showed saturation kinetics, and $V_{max}$ and its $K_s$ value at $20^{\circ}C,\;100\;{\mu}mol\;m^{-2}s^{-1},$ 12:12 h were $56.18\%\;day^{-1}$ and 0.33 ${\mu}M$, respectively. SGR (specific growth rate) recorded a maximal value as 49.33-54.80, 39.07-50.72, $47.20-54.53\%\;dat^{-1}$ at $120\;{\mu}mol\;m^{-2}s^{-1},$ blue light and $18^{\circ}C$ respectively, and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p<0.001). Red light made the effective nitrate uptake, but germling growth was largely limited by the light. In fatty acids analysis, PUFAs (polyunsaturated fatty acids) were high at blue light, $18^{\circ}C,\;100\;{\mu}M\;NO_3^-.$ However, irradiance did not affect the production of PUFAs. In conclusion, nitrate uptake and germling growth of E. compressa showed saturation kinetics to external nitrate concentration, and were significantly affected by irradiance, wave length and temperature. Fatty acid composition was also influenced by the factors except for irradiance. Their maximal values, together with the highest production of PUFAs, were found at blue light band, $20^{\circ}C,\;100\;{\mu}mol\;m^{-2}s^{-1},\;and\;100\;{\mu}M\;NO_3^-.$

Vitamin A status of 20- to 59-year-old adults living in Seoul and the metropolitan area, Korea

  • Kim, Sung-Ah;Kim, Young-Nam;Cho, Youn-Ok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6권1호
    • /
    • pp.45-50
    • /
    • 2012
  • Dietary intakes and plasma concentrations of retinol and carotenoids were estimated in assessing the vitamin A status of Korean adults living in Seoul and the metropolitan area. Three consecutive 24-h food recalls were collected from 106 healthy subjects (33 males and 73 females) aged 20-59 years. Fasting blood samples of the subjects were obtained and plasma retinol and carotenoids were analyzed. The daily vitamin A intakes ($mean{\pm}SD$) were $887.77{\pm}401.35{\mu}g $ retinol equivalents or $531.84{\pm}226.42{\mu}g$ retinol activity equivalent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vitamin A intakes among age groups. The retinol intake of subjects was $175.92{\pm}129.87{\mu}g/day$. The retinol intake of the subjects in their 50's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in their 20's and 30's (P<0.05). Provitamin A carotenoid intakes were $3,828.37{\pm}2,196.29{\mu}g/day$ ${\beta}$-carotene, $472.57{\pm}316.68{\mu}g/day$ ${\alpha}$-carotene, and $412.83{\pm}306.46{\mu}g/day$ ${\beta}$-cryptoxanthin. Approximately 17% of the subjects consumed vitamin A less than the Korean Estimated Average Requirements for vitamin A. The plasma retinol concentration was $1.22{\pm}0.34{\mu}mol/L$.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lasma retinol concentrations among age groups. However, the concentrations of ${\beta}$-carotene, lycopene, and lutein of subjects in their 50'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in their 20's. Only one subject had a plasma retinol concentration < $0.70{\mu}mol/L$ indicating marginal vitamin A status. Plasma retinol concentration in 30% of the subjects was 0.70- < $1.05{\mu}mol/L$, which is interpreted as the concentration possibly responsive to greater intake of vitamin A. In conclusion, dietary intakes and status of vitamin A were generally adequate in Korean adults examined in this study.

Simulating the 3.4-Micron Feature of Titan's Haze

  • Kim, Y.S.;Ennis, C.;Kim, Sang Joon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34권3호
    • /
    • pp.759-762
    • /
    • 2013
  • Four prominent features of Titan's haze are found within the '3.4-${\mu}m$' absorption to be uniform with recent vertically resolved Cassini/VIMS spectra. These are absorptions at 2998 $cm^{-1}$ (3.34 ${\mu}m$), 2968 $cm^{-1}$ (3.37 ${\mu}m$), 2927 $cm^{-1}$ (3.42 ${\mu}m$), and 2882 $cm^{-1}$ (3.47 ${\mu}m$). A detailed fitting suggests that the 2998 $cm^{-1}$ feature could originate from amorphous acetonitrile ($CH_3CN$) carrying about 25% of integrated optical depth; the remaining features, which account for 75% of the integrated optical depth, could arise from a distinct triplet (C-H stretching) structure of radiolyzed hydrocarbons. An additional feature was possibly evidenced at altitudes higher than 300 km and attributable to 'polymer-capped' methane ($CH_4$), significantly constraining the chemical composition of organic haze layers under Titan's active radiation field.

고분자량 Chitooligosaccharides의 in vitro 항종양성

  • 박헌국
    • 한국식품영양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식품영양학회 2001년도 동계 학술심포지움
    • /
    • pp.127-127
    • /
    • 2001
  • Chitosan에 Ttichoderma viride 유래의 cellulase를 처리하여 효소분해함으로써 고분자량 chitooligosaccharides를 얻었다. 생산된 올리고당을 HPLC로 분석한 결과 octamer 이상의 것이 전체 올리고당 중 49.3%에 달하는 비교적 고분자 화합물로 구성된 chitooligosaccharides의 혼합물이었다. MTT검색법에 의하여 고분자량 chitooligosaccha- rides의 정상세포주와 암세포주에 대한 세포독성을 실험하였다. 정상세포주인 아프리카 초록원숭이의 신장세포에 대한 $IC_{50}$/(50% 저해농도)값은 1,107.95$\mu$g/ml로 정상세포에 대한 독성은 거의 없었다. 폐암세포주인 A549, 방광암세포주인 J82, 대장암세포주인 SNU-C4, 위암세포인 SNU-1, 유방암세포주인 ZR75-1에 대한 $IC_{50}$/값은 각각 421.06$\mu$g/ml, 417.99$\mu$g/ml, 445.54$\mu$g/ml, 380,65$\mu$g/ml, 460.49$\mu$g/ml로 in vitro 종양세포 증식억제 활성을 나타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