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t. Chiri.

검색결과 72건 처리시간 0.02초

智異山의 植生과 標高에 따른 노래기類의 分布 (Distribution of millipedes in relation to altitude and flora on mt. chiri)

  • Lim, kil-young;Tae-heung kim;Joon-soo kwak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5권4호
    • /
    • pp.329-335
    • /
    • 1992
  • Bionomics of diplopodes was studid near chongyongchi in the chiri mountains from sept. 1990 to dec. 1991 by surveying 10 sample sites at 12 occasions. During this period 13 species of diplopodes from 11 genera, 8 families, and 6 orders were collected. Species were more diversed under quercus mongolica followed by quercus serrata and pinus densiflora sp. epenerchodus koreanus bifidus, and e. k. koreanus were found in all sample sites and these 6 species have been reported to be distributed throughout south korea. yamasinaium sp., riukiaria semicirculalis, parafontaria koreanus, and sicotanus eurygaster were found only under quercus mongolica community and postulated to be related to diet meanwhile other enviromental factors such as temperature, soil ph, and altitude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Species diversity index was higher at altitude 700m followed by at 900m, 1, 000m, 800m, 600m, 500m, 1, 100m, 400m, 300m, and 1, 200m in discending order likely due to the enviromental factors such as climatic and edaphic affects, disturbance by human, and degree of floral diversity. Species similarity index was highest 0.78 between altitude 500m and 600m sample sites could be grouped into 3, namely first 300m, 400m, second 500m, 600m, 700m, 1, 000m, 800m, 900m, and third 1, 100m, 1, 200m.

  • PDF

지역별 구상나무 생육현황 비교 (Comparison of Growth Condition of Abies koreana Wilson by Districts)

  • 추갑철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80-87
    • /
    • 2000
  • 구상나무림 보전관리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지리산 한라산 및 덕유산의 아고산지대에 95개의 조사구를 설치하여 한국특산종 구상나무의 생육현황과 구상나무 서식지의 입지인지를 조사하였다 구상나무는 흉고직경 10-30cm의 범위에 드는 나무들이 주로 고사목으로 나타났으며 고사목의 비율은 전체적으로 총개체수의 11.51%였다 고사목의 비율또한 덕유산에서 18.18%로 가장높게나타났고 한라산 지역이 8.11%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조사구당 구상나무 개체수 치수의 개체수 구상나무의 수고와 흉고직경 생육현황표에 의한 점수 구상나무의 상대밀도 등은 지역간에 통계적 유의차가 인정되었다 생육중인 구상나무의 활력은 한라산 지리산, 덕유산으로 순으로 좋았다 조사구당 구상나무 치수의 개체수는 한라산에서 6.00개체로 가장 많았으며 덕유산에서는 치수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상나무의 상대밀도도 한라산, 지리산, 덕유산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조사구당 구상나무 개체수는 해발고와 정의 상관, 방위, 낙엽퇴의 두께, 조사구당 교목의 개체수 및 종수, 활엽수 상대밀도와는 부의 상관이 인정되었다. 구상나무 상대밀도는 해발고와는 고도의 정의 상관관계 방위 조사 구당교목의 개체수 및 종수 수관울폐도, 활엽수 상대밀도와는 부의 상관관계가 인정되었다 지리산, 한라산 및 덕유산에 자생하는 구상나무는 해발고가 높으며 볕이 잘들고 낙엽퇴가 얕으며 종구성이 단순하고 활엽수가 적은 지역에 보다 많이 분포한다.

  • PDF

산마늘의 고소득 작물화를 위한 기능성 물질 분석 (Chemical Analysis on Biologically Active Substances among Habitats of Allium victorialis for a High Income Crop)

  • 박희준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51-59
    • /
    • 1998
  •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산마늘을 산지별로, 그리고 부위별로 총아미노산 및 유리아미노산의 함량을 비교하고, 휘발성 유황화합물과 사포닌의 함량을 서로 비교하였을 때 그 이용목적에 따라 산지별로, 부위별로 각각 품질평가는 달라질 수 있음을 나타내었다. 즉, 아미노산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이 식물의 지하부를 이용하는 것이 지상부를 이용하는 것 보다 훨씬 좋을 것으로 평가되었고 산지별로는 울릉도산의 지하부가 가장 많이 함유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산지별로 유리아미노산이나 총아미노산의 양이 크게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아미노산 중에서도 arginine, glutamine 및 asparagine 등은 다른 아미노산종에 비하여 현저히 많은 양을 함유함을 밝혔다. 그리고, 유황화합물의 경우에는 내륙종인 오대산산이나 지리산산의 것이 해양적 지리조건의 울릉도산에 비하여 현저히 많은 양을 함유하였음을 밝혔다. 내륙종은 지상부에 이들 화합물을 많이 함유하였으나 울릉도산은 지하부가 더 많이 이들을 함유하였다. 마지막으로, 사포닌 성분의 경우에는 지하부가 지상부보다 훨씬 많은 양을 함유하였고 그 순서는 울릉도산, 지리산산, 오대산산이었다. 오대산산은 다른 두 산지의 것보다 현저히 적은 양을 함유하였다. 산마늘 MeOH 추출물의 n-BuOH 분획의 양은 사포닌의 함량을 잘 방영하지 못하였는데 이는 이 분획에 저자 등이 구명한 allivicin 등 flavonol 배당체 등의 함유량의 차이에 일부 기인할 것으로 추측된다.

  • PDF

지리산 천왕봉지역 구상나무의 연륜기후학적 해석 (A Dendroclimatic Analysis on Abies koreana in Cheonwang-bong Area of Mt. Chiri, Korea)

  • 박원규;서정욱
    • 한국제4기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25-33
    • /
    • 1999
  • 지리산 천왕봉 아고산 지역 (해발 1,600∼l,700m)에 자라는 구상나무의 연륜생장과 기후와의 관계를 북사면(장군봉)과 남사면(중봉)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각 지역에서 10여 본에서 생장편을 임목당 2개씩을 채취하였다. 채취된 코어는 크로스데이팅후 연륜폭을 측정하여 얻어진 연륜시리즈(연대기)를 표준화한 후, 기후인자(월강수량과 월평균기온)와 연륜생장과의 관계를 반응함수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반응함수로 즉 월기후인자로 연륜연대기 총변동의 45.9∼53.8%를 설명할 수 있었다. 강수와 연륜생장과의 관계는 중봉과 장군지역 모두에서 3∼5월, 8월에 대해 정의 관계를 보이고 2월과 7월에 대해서는 부의 관계를 나타내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기온에 대한 관계는 남사면에 위치한 구상나무가 북사면에 위치한 구상나무에 비해 2월과 8월에서 높은 부의 관계를 나타내었으며 4월 기온과는 두 지역 모두 유의한 정의 관계를 나타내었다. 두 사면지역의 구상나무 연륜생장과 기후와의 관계는 전체적으로는 큰 차이를 보여주지 않았다. 아한대 수종의 연륜생장이 강수보다는 기온에 민감하여 월기온과 대체로 정의 관계를 갖는 반면에 지리산 구상나무의 경우는 기온과 부의 관계를 갖는 경향이 크며 강수의 영향 특히 봄기간 동안의 수분수지가 중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구상나무 연륜과 기후와의 유의한 관계를 이용하여 향후 소빙기를 포함하는 장기간의 고기후를 복원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구상나무와 새로 발견(發見)된 품종(品種) (Abies koreana and Its New Forms Discovered)

  • 이창복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5-6
    • /
    • 1970
  • 한라산에 자라는 구상나무는 4개의 품종으로 구성되었다. 이 중에서 푸른 구상나무와 붉은 구상나무는 학계에 새로 보고하는 것이기에 그의 원기재(原記載)와 더불어 발표한다. 검 구상나무는 지리산에서 발견된바 있으나 한라산에서는 이번이 처음이다. 목련나무의 대목(大木)도 여기에서 처음발견 되었다.

  • PDF

한국산(韓國産) 무당버섯과(科)의 분류학적(分類學的) 연구(硏究)(제1보)(第1報) -Lactarius속(屬)의 분류(分類)- (Taxonomic Studies on the Genus Lactarius of Korea(I))

  • 복진덕;신관철
    • 한국균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249-262
    • /
    • 1985
  • 1983년(年) 7월(月)부터 84년(年) 10월(月)까지 지리산(地異山), 속리산(俗離山), 덕유산(德裕山), 칠갑산(七甲山), 계룡산(鷄龍山) 지역(地域) 및 충남일원(忠南一圓)에서 젖버섯 속(屬)에 속하는 균류(菌類)들을 채집(探集)하여 분류(分類)한 결과(結果) Lactarius 19종, 4변종 및 1 form이 동정(同定)되었다. 이들 Lactarius를 Hesler 및 Smith(1979)의 체계(體係)에 따라 6 section으로 나누었으며 이중 한국(韓國)에서 처음 발견된 버섯은 다음과 같다. L. lignyotus var. nigroviolascens (Atk.) Hesler & Smith 보라잿빛 헛대 젖버섯, L. sumstinei Pk. 우산주름 젖버섯, L. subvellereus var. subdistans Hesler & Smith 노란주름융단 젖버섯, L. vellereus var. virescens Hesler & Smith 푸른주름융단 젖버섯, L. piperatus var. glaucescens (Crossl.) Hesler & Smith 녹색젖 굴털이, L. luteolus Pk. 갈색끈적 젖버섯, L. pyrogalus (Fr.) Fr. 제브라 젖버섯, L. argillaceifolius var. argillaceifolius Hesler & Smith 흑갈색주름 젖버섯, L. repraesentaneus Britz. 보라빛주름 젖버섯, L. mutabilis Pk. 진갈색무늬 젖버섯, L. thejogalus (Fr.) S.F. Gray 갈황색 젖버섯, L. gracilis Hongo 애기 털 젖버섯, L. cyathula f. japonicus Hongo 애기낙엽 젖버섯.

  • PDF

입면녹화용 덩굴식물의 분포 특성 (Characteristics of Distrivution on Climbing Plants as Vertical Plane covering Materials)

  • 박용진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270-276
    • /
    • 1997
  • 본 연구는 녹지 공간 확충과 입면녹화용으로 유용한 덩굴식물의 분포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기존 식생자료를 토대로 덩굴식물의 수평 및 수직분포와 국내(남한) 자생 덩굴식물 종수 등에 관해 조사하였으며, 수직분포 조사지는 강원도의 설악산과 어답산, 겨익도의 광교산, 전라남북도와 경상남도에 걸쳐있는 지리산을 대상으로 식생자료를 검색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해보면 다음과 같다. 남한지역에 분포하는 덩굴식물 종류는 총 41과 95속 267종 이었고, 덩굴식물의 수평분포 특성은 위도가 낮아질수록 출현종수가 증가하였으며 고산지대와 북한지역의 북부지방을 제외한 우리나라의 거의 전지역이 덩굴식물 생육에 적당하다고 사료되었다. 또 덩굴식물의 수직분포 특성은 표고가 높아질수록 현저히 감소하였고 해발 1,500m이상에서는 거의 나타나지 않았는데 이러한 지역의 온량지수는 45이하에 해당되며, 동일한 고도라 하더라도 지지체가 되는 식물 군락의 종류에 따라 출현하는 덩굴식물의 종류는 상이하였다. 사면별로 덩굴식물의 출현종수에 차이가 있었으며, 남사면이 북사면에 비해 종다야성은 낮은 경향을 보였다.

  • PDF

한국산(韓國産) 광대버섯속(屬)에 대(對)한 분류학적(分類學約) 연구(硏究) (The Taxonomic Study on the Genus Amanita in Korea)

  • 김양섭
    • 한국균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1-10
    • /
    • 1976
  • 본연구(本硏究)는 우리나라에 발생(發生)하는 야생(野生)버섯의 분포상(分布狀)을 조사(調査)하기 위해 1972년(年)부터 1976년(年)까지 수원(水源) (광릉(光陵), 대관령(大關嶺), 지리산(智異山)) 및 한라산(漢拏山) 등지(等地)에서 일차적(一次的)으로 독성(毒性)이 강(强)한 버섯들이 속(屬)해있는 한국산(韓國産) 광대버섯속(屬)에 대(對)하여 시행(施行)한 결과(結果), 새로이 검토(檢討)된 한국미기록(轉國未記綠) 3종(種) [Amanita vaginata (Fr.) virt. var. puncta(Cleland & Cheel) Gilbert, A. flavipes Imai]이 첨부(添附)되어 광대버섯 25종(種)을 분류(分類)하였고, 광대버섯 25종(種)을 3아속(亞屬)에 배치기재(配置記載)하였다. 그외 (Rhodophyllus murrii(Berk. et Curt.) Sing. f. albus (Hiroe) Hongo이 한국미기록(轉國未記綠)으로 분류(分類)되었다. 한국미기록(轉國未記綠) 4종(種)에 대(對)하여 우리나라 이름을 명명(命名)하였다.

  • PDF

Analysis on the Characteristics of Climate about Korean Summer Season 1998

  • Cha, Eun-Jeong;Choi, Young-Jean;Oh, Jai-Ho
    • International Union of Geodesy and Geophysics Korean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 /
    • 제26권1호
    • /
    • pp.31-41
    • /
    • 1998
  • The climatic characteristics of summer in 1998 are analyzed with the weather observational data and the upper air observational data. The temperature of that period is lower than that of normal years and the precipitation is larger. Due to the heavy rainfall which started at July 31, rain pured down compared to normal years and the maximum precipitation recorded at the many observational stations, particularly in Seoul, Kyunggi-Do region and mountanious districts like Taegwallyong, Mt. Sokri and Mt. Chiri. The patterns of general circulations in 1982/98 and 1997/98 are compared each other and are analyzed. The anomaly patterns of stream functions on winter in two El Nio years are simialr. The counterclockwise circulation occurred near the date line and the clockwise circulation was appeared near the Hwanam region and Alaska. These patterns are opposite to those of La Nia year, 1988/89. And the anomaly patterns of 500hPa geopotential height in summer are similar, too. The low temperature and much rain were dominated in summer of 1997/98. These phenomena is similar to the existing results of research, that temperature is low and precipitation is large in summer of El Nio years.

  • PDF

한국산(韓國産) 반균강(盤菌綱)의 분류학적(分類學的) 연구(硏究)(II) (Taxonomical Studies on Discomycetes in Korea(II))

  • 박평제;이지열;대곡길웅
    • 한국균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75-178
    • /
    • 1986
  • 1985년 4월부터 10월까지 지리산(智異山)과 광릉(光陵)에서 채집(採集)한 30점의 반균강(盤菌綱) 중에서 일부를 동정(同定)한 결과(結果) 2목(目) 6과(科) 9속(屬) 10종(種)으로 분류(分類)되었는데, 그중에서 Otidea alutacea (Fr.) Bres. var. alutacea, Galiella celebica (P. Henn.) Nanff., Microglossum rufum (Schw.) Underw. and Cyathicula aquilina (Rehm) Sacc.는 한국(韓國) 미기록종(未記錄種)이며, 그 보통명(普通名)과 기재(記載)를 보고(報告)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