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ving distance

검색결과 996건 처리시간 0.035초

스테레오 비젼 시스템에서의 이동객체 추출 및 거리 측정 (Moving Object Extraction and Distance Measurement in Stereo Vision System)

  • 김수인;남궁재찬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5권3호
    • /
    • pp.272-280
    • /
    • 2002
  • 본 논문은 스테레오 비젼 시스템을 이용하여 이동 객체를 추출하고 그 객체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이동 객체에 대한 이동 성분은 화소 단위의 정합을 통하여 추출하였으며, 적응형 임계값은 영상의 밝기 변화를 제거하는데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었다. 이동 객체까지의 거리는 평행식 카메라를 적용한 스테레오 비전 시스템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이동 객체에 대한 거리측정 오차가 평균 1%로 나타남으로써 제안한 알고리즘을 이용한 이동 객체의 거리측정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 PDF

마이크로 컴퓨터를 이용한 2차원 이동물체의 이동거리와 속도측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oving Distance and Velocity Measurement of 2-D Moving Object Using a Microcomputer)

  • 이주신;최갑석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23권2호
    • /
    • pp.206-216
    • /
    • 1986
  • In this paper, the moving distance and velocity of a single moving object are measured by sampling three frames in a two-dimensional line sequence image. The brightness of each frame is analyzed, and the bit data of their pixel are rearranged so that the difference image may be extracted. The parameters for recognition of the object are the gray level of the object, the number of vertex points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vertex points. The moving distance obtained from the coordinate which is constructed by the bit processing of the data in the memory map of a microcomputer, and the moving velocity is obtained from the moving distance and the time interval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ampled frames.

  • PDF

The identity distinction of the moving objects using distance among hue normalization levels

  • Shin, Chang-hoon;Kim, Yun-ho;Lee, Joo-shin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4년도 춘계종합학술대회
    • /
    • pp.591-594
    • /
    • 2004
  • In this paper, The identity distinction of the moving objects using distance among hue normalization levels was proposed. Moving objects are detected by using difference image method and integral projection method to background image and objects image only with hue area. Hue information of the detected moving area are normalized by 24 levels from 0$^{\circ}$ to 360$^{\circ}$. A distance in between normalized levels with a hue distribution chart of the normalized moving objects is used for the identity distinction feature parameters of the moving objects. To examine proposed method in this paper, image of moving cars are obtained by setting up three cameras at different places every 1 km on outer motorway. The simulation results of identity distinction show that it is possible to distinct the identity a distance in between normalization levels of a hue distribution chart without background.

  • PDF

Development of Measurement System of Moving Distance Using a Low-Cost Accelerometer

  • Cho, Seong-Yun;Kim, Jin-Ho;Park, Chan-Gook
    • 제어로봇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제어로봇시스템학회 2001년도 ICCAS
    • /
    • pp.130.4-130
    • /
    • 2001
  • In this paper, a measurement system of moving distance is developed. The error compensation method is also proposed using the characteristics of walking motion. As personal navigation systems and multimedia systems are emerging into the commericial market, men´s moving distance is considered as one of the important information. GPS offers the information easily but GPS can be used only when the satellites are visible. INS can calculate the moving distance anywhere but error is increased with time due to the sensor bias. In this paper, to detect the human walking distance a measurement system of moving distance only using low-cost accelerometer is developed. The sensor bias is estimated and compensated using the walking motion characteristics. The performanced of the proposed system is verified by experiment.

  • PDF

A new Approach to Moving Obstacle Avoidance Problem of a Mobile Robot

  • 고낙용
    • 한국생산제조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9-21
    • /
    • 1998
  • This paper a new solution approach to moving obstacle avoidance problem of a mobile robot. A new concept avoidability measure (AVM) is defined to describe the state of a pair of a robot and an obstacle regarding the collision between them. As an AVM, virtual distance function (VDF), is derived as a function of the distance from the obstacle to the robot and outward speed of the obstacle relative to the robot. By keeping the virtual distance above some positive limit value, the robot avoids the obstacle. In terms of the VDF ,an artificial potential field is constructed to repel the robot away from the obstacle and to attract the robot toward a goal location. At every sampling time, the artificial potential field is updated and the force driving the robot is derived from the gradient of the artificial potential field. The suggested algorithm drives the robot to avoid moving obstacles in real time. Since the algorithm considers the mobility of the obstacle as well as the distance, it is effective for moving obstacle avoidance. Some simulation studies show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approach.

  • PDF

방범 설비의 스테레오 카메라 시스템에서 이동객체의 추적과 거리측정 (Tracking ond Distance Measurement of the Moving Object in Stereo Camera System as a Security Equipment)

  • 이재수;홍권의;손영우
    •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 /
    • 제17권4호
    • /
    • pp.106-115
    • /
    • 2003
  • 보안 방범설비 시스템 구축시 교차식 스테레오 카메라 방식으로 이동객체를 추적하고, 카메라에서 이동 객체까지 거리를 측정하는 새로운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이동 객체를 추출하기 위해서 스테레오 입력 영상을 화소 단위로 정합하였으며, 입력 영상의 주변명암 변화에 대한 오류를 보정하기 위하여 적응형 임계값으로 이동성분을 구한 후 잡음제거 알고리즘으로 이동객체 영역만 추출하였다. 그리고 이동 객체의 위치값을 이용하여 카메라의 팬/틸트를 제어함으로써 이동객체를 추적하였으며, 교차식 스테레오 카메라 시스템의 파라미터 특징을 이용하여 이동객체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실험 결과 제안한 알고리즘은 스테레오 방범 카메라 시스템에서 이동객체의 거리 측정과 추적이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거리측정 오차도 6%이내에 존재하였다. 따라서 제안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시스템을 구현할 경우 스테레오 방범 시스템, 이동자율 로봇 시스템 및 스테레오 원격제어 시스템 등에 응용할 수 있을 것이다.

영상감시 시스템에서 평행식 스테레오 카메라를 이용한 다중 이동물체의 거리측정 (Distance Measurement of the Multi Moving Objects using Parallel Stereo Camera in the Video Monitoring System)

  • 김수인;이재수;손영우
    •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 /
    • 제18권1호
    • /
    • pp.137-145
    • /
    • 2004
  • 본 논문은 평행식 스테레오 영상감시 시스템을 이용하여 3차원 공간에서 다중 이동물체를 검출하고, 카메라에서 이동 물체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스테레오 영상감시 시스템의 좌, 우측 영상을 입력을 받아 적응형 임계값과 화소귀납 알고리즘(PRA, pixel recursive algorithm)을 사용하여 다중 이동물체 영역을 추출하였다. 그리고 각각의 물체영역을 윈도우 마스크로 검출하고, 다중 이동물체 각각의 위치좌표와 스테레오 시차를 구하였다. 이 시차와 스테레오 비전 시스템의 특성 및 삼각 함수를 이용하여 다중 이동물체의 거리를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거리측정 오차도 7.28%이내에 존재하였으며, 따라서 제안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시스템을 구현할 경우 스테레오 방범 시스템, 자율 이동로봇 및 스테레오 원격제어 시스템 등에 응용될 수 있을 것이다.

충돌 회피 가능도를 이용한 로봇의 이동 장애물 회피 (Moving obstacle avoidance of a robot using avoidability measure)

  • 고낙용;이범희
    • 제어로봇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3권2호
    • /
    • pp.169-178
    • /
    • 1997
  • This paper presents a new solution approach to moving obstacle avoidance problem of a robot. A new concept, avoidability measure(AVM) is defined to describe the state of a pair of a robot and an obstacle regarding the collision between them. As an AVM, virtual distance function(VDF) is derived as a function of three state variables: the distance from the obstacle to the robot, outward speed of the obstacle relative to the robot, and outward speed of the robot relative to the obstacle. By keeping the virtual distance above some positive limit value, the robot avoids the obstacle. In terms of the VDF, an artificial potential is constructed to repel the robot away from the obstacle and to attract the robot toward a goal location. At every sampling time, the artificial potential field is updated and the force driving the robot is derived from the gradient of the artificial potential field. The suggested algorithm drives the robot to avoid a moving obstacle in real time. Since the algorithm considers the mobility of the obstacle and robot as well as the distance, it is effective for moving obstacle avoidance. Some simulation studies show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approach.

  • PDF

다단계 속도제어에 의한 폐색구간 분할에 대한 최적화에 관한 연구 (II) (A Study on Optimization of Block Sectioning for Step Speed Control (II))

  • 이종우
    • 대한전기학회논문지:전기기기및에너지변환시스템부문B
    • /
    • 제52권8호
    • /
    • pp.397-404
    • /
    • 2003
  • In part I, we studied only step speed control for train, the second part extended to beacon signaling system and moving block system. With the calculated braking distance in part I, part II showed how to reduce headway using the beacon signaling system and moving block system, revealed that the beacon system has a braking distance advantage for sighting allowance with compared to step speed control, proposed beacon installation interval and revealed the braking distance with moving block system being nearly approached to train pure braking distance. We compared three different train control system to decide the best signaling system for a given condition and obtained the result that three systems have a same headway near 10~13 steps speed control.

교통 영상에서의 Backward Moving 충격파 속도 측정 (Backward Moving Shockwave Speed Measurement in Traffic Images)

  • 권영탁;소영성
    • 융합신호처리학회논문지
    • /
    • 제3권3호
    • /
    • pp.6-13
    • /
    • 2002
  • 본 논문에서는 신호 교차로에서 red-time 및 green-time의 backward moving 충격파 속도를 자동 측정하는 영상처리 기반 방법을 제안한다. 충격파(shockwave)란 서로 다른 교통류 상태가 만나는 불연속적인 경계선을 의미하며, 충격파 속도는 충격파가 움직이는 속도 즉, 경계선의 기울기로 구해진다. 본 논문에서는 충격파 속도를 자동 측정하기 위해 거리-시간 다이어그램(distance-time diagram)을 작성하였다. 차량의 전역 추적을 통해서 모든 개별 차량의 이동 경로를 거리-시간 다이어그램에 나타내었고, 이동 경로 곡선의 기울기 변화 패턴을 분석하여 red-time 및 green-time의 backward moving 충격파 속도를 계산하였다. 제안된 방법을 신호 교차로에서 실험하였고 red-time 및 green-time backward moving 충격파 속도의 측정 결과를 얻었다. 충격파 속도를 측정하게 되면 차량 진행 방향의 교통 혼잡 상황을 쉽게 파악할 수 있으므로 고속 도로의 진입차선 제어, 교차로의 자동 신호제어에 효과적으로 응용할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