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ving Ground

검색결과 400건 처리시간 0.031초

미분을 이용한 단일채널 SAR SLC 영상 내 지상 이동물체의 탐지방법 (A Quick-and-dirty Method for Detection of Ground Moving Targets in Single-Channel SAR Single-Look Complex (SLC) Images by Differentiation)

  • 원중선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85-205
    • /
    • 2014
  • SAR를 이용한 지상이동물체탐지(GMTI)는 SAR의 주요 활용 기술 중 하나이다. 최근 위성 탑재 SAR 시스템의 해상도가 높아지면서 지상이동목표물 탐지의 유용성은 더욱 강조되고 있다. 현재까지 다양한 지상이동물체탐지 기법이 개발되었으나 대부분은 다중채널 SAR 시스템을 이용하는 기술에 집중되었다. 그러나, 아직도 단일채널 SAR 영상으로부터 지상 이동물체를 탐지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문제로 남아 있는 반면 다중채널 위성 탑재 SAR 시스템은 아직은 그 활용이 현실적으로 매우 제한적인 상황이다. 일단 지상의 목표물이 탐지되고 이동속도가 3 m/s(약 10.8 km/h) 이상인 경우 그 목표물의 이동속도는 단일채널 SAR 자료라도 오차범위 약 5%의 정밀도로 복원 가능하다. 따라서 단일채널 SAR 자료로부터 지상의 이동물체 자체를 탐지하는 것이 핵심이며, 이 논문에서는 SAR Single-Look Complex(SLC) 영상자료에 미분을 적용하여 쉽고 빠르게 탐지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이 논문에서는 SAR SLC 자료의 미분 값은 도플러 중심주파수를 나타냄을 유도하고, 따라서 미분 값은 지상이동물체 탐지에 매우 효과적임을 설명하고자 한다. 이 논문에서 제시하는 미분 방법의 결과와 정밀한 속도복원 방법의 상관계수 $R^2$ 는 0.62로 나타났으며, 이는 이동물체를 탐지하는 데는 충분함을 지시한다. 이 방법은 매우 단순한 미분으로 도플러 중심주파수 분석에 근거하고 있으나 최종 자료처리에 앞서 도플러 경사도를 제거해야 하며, 적용결과의 효율성과 신뢰도는 이 도플러 경사도 제거 과정에 크게 좌우된다. 지상에 모서리 산란체를 탑재하고 이동속도를 조절한 실험용 차량과 이를 관측한 TerraSAR-X SLC 자료를 이용하여 검증을 실시하였다. 검증결과 지상 이동물체를 매우 쉽게 탐지하면서도 정지된 상태의 강한 산란체는 약 18.5 dB의 신호파워를 줄여 효과적으로 제거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이 방법은 지상의 이동속도 8.8 km/h 이상인 경우 매우 효과적이며, 아리랑-5호를 비롯한 모든 단일채널 SAR 시스템에 적용 가능하다.

지면 운동에 따른 정사각주 후류의 와류 유동장 수치 해석 Part II. 수동 제어 기법 연구 (Passive Control of the Vortex Shedding past a Square Cylinder with Moving Ground Part II Study of Passive Control Technique)

  • 김태윤;이보성;이동호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8-14
    • /
    • 2005
  • 지면 근처에 존재하는 뭉뚝한 물체의 유동장 이해는 자동차 및 항공 업계에 매우 중요한 분야이다. 이를 위해 비압축성 평균 Navier-Stokes 방정식에 $\varepsilon{-SST}$ 난류 모델을 적용하여 정사각주와 이동 지면의 간극 유동을 해석하였다. 비정상 진동을 억제하기 위하여 사각주 하부에 수직/수평의 펜스 설치 효과를 연구하였다. 지면이 운동할 경우에는 지면의 박리 전단층의 강도가 약화되어 사각주 상/하부의 박리 전단층 상호 작용을 촉진시키므로 고정 지면에 비하여 더 낮은 간극에서도 와류 배출이 발생한다.

Preliminary Simulation on Spaceborne Sparse Array Millimeter Wave Radar for GMTI

  • Kang, Xueyan;Zhang, Yunhua
    • Journal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 /
    • 제10권4호
    • /
    • pp.322-327
    • /
    • 2010
  • Spaceborne sparse array radar for ground moving targets indication (GMTI) has outstanding advantage over full array radar for constructing ultra-large aperture. Rapid development of millimeter wave (MMW) technology make it possible for realizing MMW GMTI radar, which is much more sensitive to slow moving ground target. The paper presented the system model of a multi-carrier frequency sparse array MMW radar as well as preliminary simulation results, which showed future application of the system is very promising.

Sliding Window Filtering for Ground Moving Targets with Cross-Correlated Sensor Noises

  • Song, Il Young;Song, Jin Mo;Jeong, Woong Ji;Gong, Myoung Sool
    • 센서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146-151
    • /
    • 2019
  • This paper reports a sliding window filtering approach for ground moving targets with cross-correlated sensor noise and uncertainty. In addition, the effect of uncertain parameters during a tracking error on the model performance is considered. A distributed fusion sliding window filter is also proposed. The distributed fusion filtering algorithm represents the optimal linear combination of local filters under the minimum mean-square error criterion. The derivation of the error cross-covariances between the local sliding window filters is the key to the proposed method. Simulation results of the motion of the ground moving target a demonstrate high accuracy and computational efficiency of the distributed fusion sliding window filter.

Investigation of the Downwash Induced by Rotary Wings in Ground Effect

  • Tanabe, Yasutada;Saito, Shigeru;Ooyama, Naoko;Hiraoka, Katsumi
    • International Journal of Aeronautical and Space Sciences
    • /
    • 제10권1호
    • /
    • pp.20-29
    • /
    • 2009
  • There are concerns about the influence of the gust wind caused by helicopters affecting the moving vehicles while hovering over the road during rescue activities. For the understanding of such complicated flow. numerical simulation of a rotor hovering above the ground has been carried out, changing the rotor/ground clearances. The rotor thrust is kept constant. and the rotor control is determined by trim adjustments incorporated into the CFD algorithm. Collective pitch angle and the required power decreases with the rotor/ground clearance which agrees with experience. Changes of the flowfield near the rotor with regard to the rotor height are investigated based on the calculated results.

A Numerical Analysis of the Thickness-Induced Effect on the Aerodynamic Characteristics of Wings Moving Near Ground

  • Han, Cheolheui;Cho, Jinsoo
    • International Journal of Aeronautical and Space Sciences
    • /
    • 제1권1호
    • /
    • pp.29-35
    • /
    • 2000
  • A numerical method to simulate Wing-In-Ground(WIG) effects for the wings moving near ground is developed. The aerodynamic analysis scheme for the wings is based on a compressible non-planar lifting surface panel method and the WIG effect is included by images. The thickness-induced effect is implemented into the lifting surface panel method by using the teardrop theory. The numerical simulation is done for the rectangular wings by varying the ground proximity. The present method is validated by comparing the calculated aerodynamic coefficients with other numerical results and measured data, showing good agreements.

  • PDF

DPCA 기법을 이용한 SAR-GMTI 시스템에서 지상 이동 표적 오차 보상 기법 및 성능 분석 (Ground Moving Target Displacement Compensation and Performance Analysis in the DPCA Based SAR-GMTI System)

  • 정재훈;정정수;정철호;곽영길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20권11호
    • /
    • pp.1138-1144
    • /
    • 2009
  • SAR-GMTI는 고해상도 영상과 동시에 차량, 기차와 같은 지상의 이동 표적을 탐지하여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이다. 본 논문에서는 항공기 탑재 측면 관측 영상 레이다에서 지상 이동 표적을 탐지하는 DPCA 기법에 기반하여 지상 이동 표적의 도플러 특성에 따른 영상 내 심각한 위치 오차와 퍼짐 현상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표적의 속도를 거리와 방위 방향으로 나누어 영상에서 위치 오차와 퍼짐 현상을 보상하며, 추정된 표적 속도와 퍼짐의 양을 정량화하여 제안된 보상 기법의 성능을 검증한다.

Background memory-assisted zero-shot video object segmentation for unmanned aerial and ground vehicles

  • Kimin Yun;Hyung-Il Kim;Kangmin Bae;Jinyoung Moon
    • ETRI Journal
    • /
    • 제45권5호
    • /
    • pp.795-810
    • /
    • 2023
  • Unmanned aerial vehicles (UAV) and ground vehicles (UGV) require advanced video analytics for various tasks, such as moving object detection and segmentation; this has led to increasing demands for these methods. We propose a zero-shot video object segmentation method specifically designed for UAV and UGV applications that focuses on the discovery of moving objects in challenging scenarios. This method employs a background memory model that enables training from sparse annotations along the time axis, utilizing temporal modeling of the background to detect moving objects effectively. The proposed method addresses the limitations of the existing state-of-the-art methods for detecting salient objects within images, regardless of their movements. In particular, our method achieved mean J and F values of 82.7 and 81.2 on the DAVIS'16, respectively. We also conducted extensive ablation studies that highlighted the contributions of various input compositions and combinations of datasets used for training. In future developments, we will integrate the proposed method with additional systems, such as tracking and obstacle avoidance functionalities.

Surf points based Moving Target Detection and Long-term Tracking in Aerial Videos

  • Zhu, Juan-juan;Sun, Wei;Guo, Bao-long;Li, Cheng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0권11호
    • /
    • pp.5624-5638
    • /
    • 2016
  • A novel method based on Surf points is proposed to detect and lock-track single ground target in aerial videos. Videos captured by moving cameras contain complex motions, which bring difficulty in moving object detection. Our approach contains three parts: moving target template detection, search area estimation and target tracking. Global motion estimation and compensation are first made by grids-sampling Surf points selecting and matching. And then, the single ground target is detected by joint spatial-temporal information processing. The temporal process is made by calculating difference between compensated reference and current image and the spatial process is implementing morphological operations and adaptive binarization. The second part improves KALMAN filter with surf points scale information to predict target position and search area adaptively. Lastly, the local Surf points of target template are matched in this search region to realize target tracking. The long-term tracking is updated following target scaling, occlusion and large deformation.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algorithm can correctly detect small moving target in dynamic scenes with complex motions. It is robust to vehicle dithering and target scale changing, rotation, especially partial occlusion or temporal complete occlusion. Comparing with traditional algorithms, our method enables real time operation, processing $520{\times}390$ frames at around 15fps.

모형실험을 통한 고정 및 이동하중 재하 방법에 따른 노반 변형거동 비교 (A Comparative of Ground Stress with Difference of the Fixed Point Loading and Moving Wheel Loading)

  • 최찬용;신은철;엄기영;신민호
    • 한국철도학회논문집
    • /
    • 제14권1호
    • /
    • pp.49-56
    • /
    • 2011
  • 이 논문에서는 모형토조 실험으로 하중을 재하하는 방법에 따라 응력과 침하특성을 비교하였으며, 하중재하 방법의 차이를 정량적으로 평가하기 위하여 응력경로와 주응력 방향의 회전영향을 평가하였다. 실험결과 동일 시험조건에서 하중재하 방법에 따라 침하량과 토압이 달라지며, 이동하중의 경우 고정된 지점에서의 정적하중보다 침하량이 약 6배, 반복하중보다 약 2배 이상 크게 발생하였다. 응력경로에서도 고정된 지점에서의 반복하중보다 응력경로의 길이(L)는 2배 이상이 길고 전단변형에 영향을 주는 축차응력도 약 2배 이상 크게 나타났다. 또한, 도상자갈이 있는 궤도에서의 이동하중의 경우 주응력 방향의 회전각이 약 ${\Delta}{\theta}=40^{\circ}$ 최대 응력의 약 60%정도 발생하고 있으며, 주응력 방향의 회전에 영향을 받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