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vie Retrieval

검색결과 34건 처리시간 0.042초

영상정보 메타데이터 기반의 영화 Contents 검색 시스템 개발 (A Development of A Movie Contents Retrieval System based on Meta Data of Movie Information)

  • 곽길신;주경수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43-46
    • /
    • 2004
  • 웹상에서 제공되는 영상정보 자원의 양이 급증하고 이용자들의 문화적인 수요가 높아진 것에 비해 영상정보를 포괄적으로 기술할 수 있는 체계적인 서지기술은 부족한 실정이다. 기존의 영상정보 기술 메타데이터 요소로는 이용자가 탐색하고자 하는 정보자원을 적절하게 검색하거나 혹은 검색된 자원 중에서 서로 연관성이 있는 정보를 그룹화하여 보여주는 것이 불가능하다[1]. 따라서 영상정보 자원이 지니는 다양한 수준과 다양한 측면의 특성을 표현해 내기 위해 국내에서 제안된 영상정보 분야의 새로운 메타데이터 표준이 제시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제안된 영상정보 분야의 메타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는 영화 Context 검색 엔진을 개발하였고, 이에 따라 추후에 적절한 정보자원의 검색과 연관성 있는 정보의 그룹화로의 확장을 가능하게 할 것이다.

  • PDF

MPEG-7 시각서술자와 Multi-Class SVM을 이용한 불법 및 유해 멀티미디어 분석 시스템 구현 (Implementation of Illegal and Objectionable Multimedia Retrieval Using the MPEG-7 Visual Descriptor and Multi-Class SVM)

  • 최병철;김정녀;류재철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8년도 하계종합학술대회
    • /
    • pp.711-712
    • /
    • 2008
  • We developed a XMAS (X Multimedia Analysis System) for analyzing the illegal and objectionable multimedia in Internet environment based on Web2.0. XMAS uses the MPEG-7 visual descriptor and multi-class SVM (support vector machine) and its performance (accuracy on precision) is about 91.6% for objectionable multimedia analysis and 99.9% for illegal movie retrieval.

  • PDF

MPEG-7에 기반한 동영상 검색 시스템 인덱스 기법 (A Method of Movie Retrieval System Index based on MPEG-7)

  • 김택곤;김우생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3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30 No.2 (2)
    • /
    • pp.25-27
    • /
    • 2003
  • MPEG-7은 XML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내용을 검색하고 브라우징할 수 있도록 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다양한 정보를 기술하고 있다. 그러나 많은 부분으로 나누어진 세부화된 장면들을 찾는 질의가 주어졌을때 원하는 정보를 찾기 위하여 모든 문서의 내용을 검색하는 것은 상당한 시간이 요구되며, 일반적인 XML 문서의 인덱싱 기법을 적용할 경우 MPEG-7의 관점에서 부합되지 않은 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MPEG-7 문서의 구조적인 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인덱싱 기법을 제안하고 질의를 하여 동영상내의 원하는 부분을 효율적으로 찾는 방법을 보인다.

  • PDF

멀티미디어 시스템의 동영상 노드를 위한 앵커의 인간공학적 설계지침 (Human factors guidelines for designing anchors in the moving pictures on multimedia systems)

  • 한성호;김미정;곽지영
    • 대한산업공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265-276
    • /
    • 1996
  • Multimedia systems present information by various media, for example, video, sound, music, animation, movie, etc., in addition to the text which has long been used for conveying the information. Among many multimedia applications, the multimedia information retrieval systems commercialized in the forms of multimedia encyclopedia CD-ROMs, benefited from various media for their ability to present information in an efficient and complete way. But using several media, on the other hand, may cause end users' confusion and furthermore, poorly designed user interface often exacerbates the situation. In this study, the multimedia systems were studied from the standpoint of usability. The conceptual framework of the user interface of the multimedia system was newly defined. And 100 initial variables for user interface design of general multimedia systems were suggested through literature survey and expert opinions based upon the framework developed. Among various application areas, the multimedia information retrieval systems were chosen for investigation, and 36 variables particularly relevant to user interface of the multimedia information retrieval systems were selected. According to the sequential research strategy, the variables that were considered to be most important were finally selected through a screening stage. A part of selected variables were verified through a human factors experiment as the first step of sequential research. Based upon the result of the experiment, guidelines for user interface design were provided. For future study, the variables remained will be Investigated and the study will expand to another application areas.

  • PDF

Pitch 히스토그램을 이용한 내용기반 음악 정보 검색 (Content-based Music Information Retrieval using Pitch Histogram)

  • 박만수;박철의;김회린;강경옥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9권1호
    • /
    • pp.2-7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내용 기반 음악 정보 검색에 MPEG-7에 정의된 오디오 서술자를 적용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특히 Pitch 정보와 timbral 특징들은 음색 구분을 용이하게 할 수 있어 음악 검색뿐만 아니라 음악 장르 분류 또는 QBH(Query By Humming)에 이용 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을 통하여 오디오 신호의 대표적인 특성을 표현 할 수 있는 특징벡터를 구성 할 수 있다면 추후에 멀티모달 시스템을 이용한 검색 알고리즘에도 오디오 특징으로 이용 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방송 시스템에 적용하기 위해 영화나 드라마의 배경음악에 해당하는 O.S.T 앨범으로 검색 범위를 제한하였다. 즉, 사용자가 임의로 검색을 요청한 시점에서 비디오 컨텐츠로부터 추출한 임의의 오디오 클립만을 이용하여 그 컨텐츠 전체의 O.S.T 앨범 내에서 음악을 검색할 수 있도록 하였다. 오디오 특징 백터를 구성하기 위해 필요한 MPEG-7 오디오 서술자의 조합 방법을 제안하고 distance 또는 ratio 계산 방식을 통해 성능 향상을 추구하였다. 또한 reference 음악의 템플릿 구성 방식의 변화를 통해 성능 향상을 추구하였다. Classifier로 k-NN 방식을 사용하여 성능평가를 수행한 결과 timbral spectral feature 보다는 pitch 정보를 이용한 특징이 우수한 성능을 보였고 vector distance 방식으로는 특징들의 비율을 이용한 IFCR(Intra-Feature Component Ratio) 방식이 ED(Euclidean Distance) 방식보다 우수한 성능을 보였다.

스마트 홈에서 상황인식 기반의 정보 필터링을 이용한 추천 (Recommendation using Context Awareness based Information Filtering in Smart Home)

  • 정경용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8권7호
    • /
    • pp.17-25
    • /
    • 2008
  • 스마트 홈 환경에서는 물리적인 환경, 상황 등을 시스템이 인식하고 있다. 그리고 상호 작용을 지원하는 개인화 서비스에 중점을 두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 홈에서 메타 데이터는 물론 상황인식을 동적으로 반영하는 상황인식 기반의 정보 필터링을 이용한 추천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방법에서는 상황정보를 정의하였고 상황인식 기반의 정보 필터링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취향에 적합한 서비스를 추천하였다. 따라서 분산 처리 및 서비스 이동성을 지원하여 효율적인 추천에 대한 사용자의 만족도와 서비스의 질을 향상시켰다. 제안한 방법을 OSGi 프레임워크에서 MovieLens 데이터에 적용하여 성능 평가를 하여, 기존 연구와 성능을 비교 평가하였다.

이미지 기반 필터링을 이용한 개인화 아이템 추천 (Personalized Item Recommendation using Image-based Filtering)

  • 정경용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8권3호
    • /
    • pp.1-7
    • /
    • 2008
  • 유비쿼터스 컴퓨팅의 발달로 인하여 다양하고 폭넓은 정보가 디지털 형태로 빠르게 생산 및 배포되고 있다. 사용자가 이러한 정보과잉 속에서 자신이 원하는 정보를 단시간 내에 검색하는 것은 그리 쉬운 일이 아니다. 본 논문에서는 이미지 기반 필터링을 이용한 개인화 아이템 추천 기법을 제안한다. 피상적인 내용분석이라는 단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관심을 가지는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특징을 추출하는 이미지 기반 필터링을 사용하였다. 제안한 방법에 대해 MovieLens 데이터에서 내용 기반 필터링과 협력적 필터링과의 비교 실험을 통해 성능을 평가하였다. 실험 결과, 제안한 방법이 기존의 다른 방법보다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내용 기반 필터링을 위한 프로파일 학습에 의한 선호도 발견 (Discovery of Preference through Learning Profile for Content-based Filtering)

  • 정경용;조선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8권2호
    • /
    • pp.1-8
    • /
    • 2008
  • 사용자가 정보를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제어하고 필터링하는 일을 도와주는 정보 시스템이 등장하였다. 내용 기반 필터링은 아이템의 특징을 기술하는 정보와 사용자의 기호를 가지고 있는 프로파일을 비교하여 사용자에게 필요한 정보를 추천하는 방법이다. 이는 학습 방법에 따른 정확도가 변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내용 기반 필터링을 위한 프로파일 학습에 의한 선호도 발견을 제안하였다.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서 6단계로 평가한 선호도에 따른 추정치를 부여하여 프로파일 학습을 함으로써 추천의 정확도를 향상시켰다. 제안한 방법을 MovieLens 데이터에 적용하여 실험 및 평가를 실시하였는데, 기존 연구와 비교 실험을 통해 성능을 평가하였다.

스토리 정보의 검색을 위한 웹 기반의 협업적 스크립트 분석 플랫폼 개발 (Development of Collaborative Script Analysis Platform Based on Web for Information Retrieval Related to Story)

  • 박승보;김현식;백영태;유은순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9권9호
    • /
    • pp.93-101
    • /
    • 2014
  • 영화의 스토리에 대한 분석은 영화의 설계도와 같은 스크립트를 분석하여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영화의 스크립트는 파이널 드래프트(Final Draft)의 형식화된 구조로 기술되어 있지만, 웹상에 공개된스크립트들은 대부분 형식이 파괴되어 문장 내용에 대한 분석이 없으면 형식을 복원하기 힘든 상황이다. 이를 위해 자동으로 스크립트를 파싱한 후에 사용자들이 협업적으로 결과물의 오류를 자유롭게 점검하고 수정할 수 있도록 웹기반의 스크립트 분석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고 제공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에 의해 스크립트의 형식 오류가 수정되고 걸러지게 하여 완성도 높은 영화 데이터 축적을 가능케 하는 웹 기반의 협업적 스크립트 분석 플랫폼의 구조를 제시하고, 구현 결과에 대한 성능평가를 진행하였다. 실험을 통해 자동 파싱 성공률이 64.95%로 나타났고, 협업적 오류 수정은 5단계를 거친 후에 대부분의 오류가 수정되어 99.58%의 파싱 정확도를 보여주었다.

비디오 샷 검증 시스템 (A Video Shot Verification System)

  • 정지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7권2호
    • /
    • pp.93-102
    • /
    • 2009
  • Since video is composed of unstructured data with massive storage and linear forms, it is essential to conduct various research studies to provide the required contents for users who are accustomed to dealing with standardized data such as documents and images. Previous studies have shown the occurrence of undetected and false detected shots. This thesis suggested shot verification and video retrieval system using visual rhythm to reduce these kinds of errors. First, the system suggested in this paper is designed to detect the parts easily and quickly, which are assumed as shot boundaries, just by changing the visual rhythm without playing the image. Therefore, this enables to delete the false detected shot and to generate the unidentified shot and key frame. The following are the summaries of the research results of this study. Second, during the retrieving process, a thumbnail and keyword method of inquiry is possible and the user is able to put some more priorities on one part than the other between the color and shape. As a result, the corresponding shot or scene is displayed. However, in the case of not finding the preferred shot, the key picture frame of similar shot is supplied and can be used in the further inquiry of the next scen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