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use immune cells

검색결과 631건 처리시간 0.027초

마우스 신경모세포종 모델을 이용한 HSV-TK 유전자 치료에서 Bystander 효과 및 증폭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Bystander Effect and Its Enhancement in HSV-TK Gene Therapy Using a Murine Neuroblastoma Model)

  • 조현상;김문규;박종영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5권3호
    • /
    • pp.354-361
    • /
    • 2002
  • 목 적: 본 연구에서는 in vitro 및 in vivo에서 HSV-TK 유전자 치료의 bystander 효과 및 기전을 관찰하고, 싸이토카인 유전자의 병합 치료가 bystander 효과를 증폭시킬 수 있는지 조사하여 그 결과를 향후 신경모세포종 치료에 적용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A/J 마우스 신경모세포종 모델에서, neuro-2a/TK 세포와 unmodified neuro-2a세포를 여러 비율로 혼합하여 접종한 후 GCV를 투여하여 종양의 크기 변화 및 생존 유무를 관찰하였다. 마우스 신경모 세포종에서 bystander 효과의 기전을 알아보기 위해 neuro-2a/TK 세포를 주입한 마우스의 조직을 절개하여 connexin 43, CD4+ 및 CD8+ 세포 침윤을 관찰 하였다. 10% 및 25% HSV-TK 투여 군에서 neuro-2a/IL-2 세포의 투여가 bystander 효과를 증폭시키는 지 조사하였다. 결 과 : 1) in vitro 및 in vivo에서 bystander 효과는 뚜렷하게 관찰되었다. 2) 마우스 신경모세포종의 면역 조직 화학 염색 검사에서 connexin 43 발현은 관찰되지 않았으나 많은 수의 CD4+ 및 CD8+ T 세포의 침윤이 관찰되었다. 3) 10% 및 25% HSV-TK 투여군의 마우스에서 neuro-2a/IL-2 세포의 투여는 대조군과 비교하여 종양의 성장을 더 억제 시켰다. 결 론: In vitro 및 in vivo에서 HSV-TK/GCV 유전자 치료의 bystander 효과는 뚜렷하였으며, 그 기전으로 면역 세포가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추측된다. 그리고 bystander 효과는 IL-2 투여에 의해 증폭됨을 확인하였다. 이는 향후 신경모세포종의 수술 후 잔존암 치료에 HSV-TK/GCV 유전자 치료가 이용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효모변이주 Saccharomyces cerevisiae IS2 세포벽 유래의 베타글루칸 면역활성능에 관한 연구 (Study on Immuno-stimulating Activity of ${\beta}$-Glucan Isolated from the Cell Wall of Yeast Mutant Saccharomyces cerevisiae IS2)

  • 박정훈;강만식;김홍일;정봉현;이광호;문원국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488-492
    • /
    • 2003
  • S. cereviaiae KCTC 7911에 돌연변이를 유도하고 selective pressure로서 세포벽 분해효소인 zymolsae와 mechanical stress인 glass bead를 차례로 처리하여 효모변이주를 S. cerevisiae IS2를 선발하였다. S. cerevisiae IS2는 세포벽 분해효소인 zymolase의 농도별 내성실험 결과 wild-type에 비해 훨씬 강한 내성을 보여 세포벽에 변화가 일어난 균주로 예상된다. 효모변이주와 wild-type으로부터 베타글루칸을 추출하여 면역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생쥐의 복강에 주사하고 생성되는 면역세포의 수, NO 생성능, 및 면역세포의 대다수를 차지하는 대식세포의 탐식능을 측정하였다. 베타글루칸을 쥐의 복강에 주사하였을 때 베타글루칸의 종류에 상관없이 면역세포의 수, NO 생성능 및 대식세포의 활성도가 증가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특히 변이주 베타글루칸을 주사하였을 경우 wild-type 베타글루칸에 비해 면역세포의 수는 1.40배, NO 생성능은 1.12배, 대식세포의 활성도와 탐식능은 각각 1.18배와 1.43배 높은 수치를 얻을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들로 미루어 변이주 베타글루칸이 wild-type 베타글루칸보다 우수한 면역활성 촉진능력을 가지고 있음을 증명할 수 있었으며, 고부가가치 기능성 면역물질로서의 응용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Cyclosporin A로 유도된 생쥐 림프절의 세포성 면역억제에 관한 면역조직화학적 연구 -T 림프구, IL-2 수용기 및 NK세포의 변화를 중심으로- (Immunohistochemical Study on the Suppression of Cell mediated immunity in Lymph node of mouse by Cyclosporin A -Based on the change of T lymphocytes, Il-2 receptors, and NK cells-)

  • 김진택;박인식;안상현;최난희;김동환
    • 동국한의학연구소논문집
    • /
    • 제6권2호
    • /
    • pp.99-107
    • /
    • 1998
  • 본 실험은 cyclosporin A(CsA)에 의한 시간의 경과에 따른 림프절에서의 세포성 면역억제를 조사하기 위해서 시행된 것으로 BALB/C계 생쥐에 10일동안 CsA(45mg/kg/day) 투여 후 림프절에서의 T 림프구, IL-2 수용기 그리고 자연살해(NK)세포의 분포 변화를 관찰하였다. 대조군의 림프절에서는 L3T4(CD4)에 양성반응을 보이는 도움 T림프구, Ly2(CD8)에 양성반응을 보이는 세포독성 T 림프구 그리고 CD25R에 양성반응을 보이는 IL-2 수용기를 가진 세포는 곁피질(paracortex)과 수질동(medullary sinus)에서 분포하였다. CsA 투여 후 처음 3일까지는 이들 양성반응세포의 분포 변화는 없었으며 양성반응성의 변화도 없었다. 그러나 CsA 투여 7일부터 양성반응 세포수의 감소와 양성반응성의 약화가 관찰되기 시작하였으며 이러한 변화는 시간이 경과하여 14일에 이르렀을 때 가장 큰 감소추세로 나타났다. 한편 NK1.1(CD56)에 양성반응을 보이는 자연살해세포는 피질과 수질에 분포하였으며 CsA 투여 후 시간의 경과에 따라 양성반응 세포수가 감소하였으며, 이러한 감소는 14일에서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보아 CsA 투여는 림프절에서의 IL-2 분비저해를 통해 T 림프구와 NK세포의 활성을 차단하여 선택적이면서 효과적인 세포성 면역억제작용을 하고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소풍도적탕가미(消風導赤湯加味)가 IgE 과대생산과 피부염이 발진된 NC/Nga생쥐의 비장세포에서 $CD4^+/CD25^+/foxp3^+$ Treg 증진에 의한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oPungDoJeokTang-KaMi on cytokine expression with $CD4^+/CD25^+/foxp3^+$ (Treg) cell induction in atopic dermatitis-like skin lesions and IgE hyperproduction induced in NC/Nga mice)

  • 한달수;한재경;김윤희
    • 혜화의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29-41
    • /
    • 2009
  • Wished to examine closely effect that SoPungDoJeokTang-KaMi (SPDJTK) medicines used to atopy dermatitis disease patient get in atopy eruption control experimentally. SPDJTK medicines controlled $CD4^+/IFN-\gamma$, and $CD4^+/CD25^+/foxp3^+$ revelation that an experiment that motive allergy immune reponse because an in vitro experiment stimulates T cells of a NC/Nga mouse same time by anti-CD40/rmIL-4, and interleukin-$1{\beta}$, IL-6, TNF-$\alpha$, and TGF-$\beta$ mRNA outturn that bear in T and B cells decreased remarkably by SPDJTK medicines. Intracellular staining of splenocytes anti-CD40/rmIL-4 plus rmIL-4 stimulated as described in a, assessed after 24 h, SPDJTK exerts a mainly immunosuppressive effect that acts at least partially through suppression of the transcription factor GATA3 expression in $CD4^+$ T cells. Atopic dermatitis (AD) usually develops in patients with an individual or family history of allergic diseases, and is characterized by chronic relapsing inflammation seen specially in childhood, association with IgE hyperproduction and precipitation by environmental factors. However, the exact etiology of AD has been unclear. To further explore the pathogenesis and treatment of AD, a suitable animal model is required. We found that skin lesions, which were clinically and histologically very similar to human AD, mite antigen-induced dermatitis on the face, neck, ears and dorsal skin of inbred NC/Nga mice. Result that Th1 cell and Th2 cell observe to be shifted by cytokine expression with $CD4^+/CD25^+/foxp3^+$ Treg cells induction by SPDJTK medicines could know that SPDJTK medicines can use usefully in allergy autoimmnune diease.

  • PDF

해독사물탕(解毒四物湯)이 피부 접촉성 과민반응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Haedoksamul-tang on Trimellitic Anhydride-induced Contact Hypersensitivity in a Mouse Model)

  • 전영균;정명;복영옥;이은혜;임규상;윤용갑
    •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65-81
    • /
    • 2016
  • Objectives : Haedoksamul-tang (HSTE), a water extract from a mixture of Phellodendri Cortex, Coptidis, Scutellariae Radix, Gardeniae Fructus, Angelica acutiloba Radix, Cnidii Rhizoma, Paeoniae Radix, Rehmanniae Radix, has been traditionally used for allergic skin diseases such as atopic dermatitis and contact dermatitis in oriental countries. However, little is known about the effects of aqueous extract of HSTE on trimellitic anhydride (TMA)-induced contact hypersensitivity (CHS) in a mouse model. Methods : In this study, we investigate the pharmacological effects of HSTE on TMA-induced CHS in Balb/c mice. Contact hypersensitivity was induced in mice by topically sensitizing and challenging with TMA in flank skin and ears during oral administration (for 17 days) and topical treatment (30 min before challenge) with HSTE. We examined the effects of HSTE on IgE and IgG1 levels, inflammatory parameters in ear tissues, CD4+/CD8+ ratio, cytokine and chemokine production in sera, tissues, and immune cells from TMA-sensitized mice.Results : Oral and topical administration with HSTE reduced, in a dose dependent manner, thickness and leukocyte infiltration of ear tissues and IgE levels in serum from mice sensitized with TMA. In addition, auricula lymph node cells isolated from TMA-sensitized mice significantly elevated the expression ratio of CD4+/CD8+ as well as increased the production of IL-4, IL-5, IL-13 and IFN-γ by ex vivo stimulation with antibodies against CD3 and CD28, and these inflammatory indexes, except for IFN-γ, were significantly suppressed by orally and topically administration of HSTE. Furthermore, stimulation of auricula lymph node cells from TMA-sensitized mice with antibodies against CD3 and CD28 increased the production of MCP-1/CCL2 and MIP-1α/CCL3, and these effects were inhibited in a dose-dependent manner in cells from mice treated with HSTE. Conclusions : These results suggest that HSTE can be used for treating contact hypersensitivity by inhibiting leukocyte infiltration as well as production of serum IgE and chemokine/Th2 cytokine in an animal model.

귤피로부터 분리한 마우스의 장관면역 활성 다당류의 검색 (Isolation of Polysaccharides Modulating Mouse’s Intestinal Immune System from Peels of Citrus unshiu)

  • 양현석;유광원;최양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9호
    • /
    • pp.1476-1485
    • /
    • 2004
  • 90여종의 전통차 및 죽류용 식물로부터 조제된 다양한 용매추출물 중에서, 귤피(peels of C. unshiu)의 냉수추출물 (CUI-0)이 Peyer’s patch를 매개로 한 가장 높은 장관면역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다시마(L. japonica), 둥글레(P. japonicum), 탱자(P. trifoliata)의 냉수추출물과 구기자(L. chinense) 및 치자(G. jasminoides)의 열수추출물을 제외한 나머지 식물의 용매추출물은 거의 활성을 가지지 못하였다. CUI-0는 MeOH-가용성 획분(CUI-1), MeOH-불가용성이면서 EtOH-가용성 획분(CUI-2)과 조다당 획분(CUI-3)으로 분획되었다. 이러한 획분들 중 CUI-3은 Peyer’s patch 세포를 매개로 하는 골수세포 증식의 자극활성이 가장 높았으며 arabinose, galacturonic acid, galactose, glucose, glucuronic acid와 rhmanose(molar ratio; 1.00:0.53:0.45:0.28:0.28:0.19) 등을 주요 구성당으로 함유하고 있었으며 소량의 단백질(9.4%)도 구성물질로 포함된 활성 획분임이 밝혀졌다. CUI-3의 장관면역 활성은 pronase 및 periodate 처리에 의해 감소되었으며 특히 periodate 산화는 CUI-3의 활성에 심각한 영향을 끼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활성 획분으로서 당 함량이 높은 CUI-3IIb-3-2는 DEAE-Sepharose FF, Sepharose CL-6B 및 Sephacryl S-200에 의해 귤피 냉수추출물의 조다당 획분으로부터 정제되었으며 HPLC에 의해 분자량 약 18,000 Da의 단일 peak임을 확인하였다. CUI-3IIb-3-2는 주로 arabinose, galactose, rhamnose, galacturonic acid와 glucuronic acid(molar ratio; 1.00:0.54:0.28:1.45:0.63) 등의 구성당으로 구성되어져 있었으며 소량의 단백질(3.2%)이 함유되어진 물질로 구성되어 있었다. 한편 CUI- 3IIb-3-2는 Peyer’s patch를 경유하였을 때만 골수세포 증식활성을 나타내었으며 활성물질 자체가 직접 골수세포 증식활성에 관여하지는 않는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귤피의 장관면역 활성은 측쇄에 arabinose와 galactose 등의 중성당이 결합된 polygalacturonan 구조를 갖는 펙틴계통의 다당류에 기인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맥엽 및 항산화 조성물의 생리 기능적 특성에 관한 연구 - 아질산염 소거능을 중심으로 - (Functional Characteristics from the Barley Leaves and its antioxidant mixture - Study on the Nitrite Scavenging Effect -)

  • 홍이진;박형근;주상섭;김경탁;이성희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6권4호
    • /
    • pp.333-337
    • /
    • 2003
  • 맥엽과 이를 이용한 항산화 조성물을 제조하여 이에 존재하는 nitrite scavenging효과와 이에 따른 발암원으로 부터의 보호 효과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맥엽과 항산화 조성물 모두 수층에 비하여 메탄올층에서 아질산염 소거능이 2배 이상 높게 나타나 M-BL50의 0.01 mg/ml 농도에서 약 64.3%, M-AM 0.01 mg/ml 처리군이 이보다 약간 높은 68.3% 정도로 나타내었다. 마우스 단핵구 기원인RAW 264.7(macrophage, mouse)에 맥엽과 항산화 조성물의 수층과 메탄올층을 처리하고 세포 생존율을 측정한 결과 수층 처리군에 비해 메탄올층 처리군에서 모두 세포 생존율이 더 낮게 측정되었으며 모든 시료에서 농도의존적으로 세포 증식이 억제되었다. 특히, M-AM을 처리한 군의 경우 모든 농도에서 가장 낮은 세포 생존율을 나타내어 항산화물 첨가에 의해 세포 증식 억제 효과가 상승됨을 알 수 있었으며 $IC_{50}$ 수치 또한 메탄올층과 A-AM시료 처리군에서 현저히 낮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또한 세포 내 아질산염 소거능을 측정한 결과 역시 마찬가지로 맥엽 입자 크기에 따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수층 처리군에 비해 메탄올층 처리군과 항산화물을 첨가한 군에서 모두 높은 소거능을 나타내어 맥엽 및 기타 항산화물을 섭취함으로써 체내에서의 니트로사민 생성을 억제시킬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저온 고압 추출에 의한 고로쇠 수피의 면역활성 증진 (Enhancement of Immuno Modulatory Activities of Acer mono Bark from Low Temperature High Pressure Extraction Process)

  • 정명훈;오성호;김승섭;권민철;최운용;서용창;이학주;강하영;이현용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9권1호
    • /
    • pp.16-23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인간 면역 세포인 B 세포와 T 세포 그리고 그들의 cytokinedml 분비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또한 일일 경구 투여량을 30 mg/mL 그리고 100 mg/mL의 농도로 조절하여 암컷 ICR 마우스에 투여하여 혈청에서의 항체 생성량을 조사하였다. 인간 정상 폐세포에 대한 세포독성 결과 모든 추출물이 24.15% 이하의 독성을 나타내었다. 인간 면역 세포인 B 세포와 T 세포 모두 초고압 추출공정에 의해 40% 이상 생육이 증진하였다. 인간 면역 세포인 B 세포와 T 세포에서 분비되는 cytokine(IL-6, TNF-${\alpha}$)의 양은 일반 열수 추출 공정과 비교하여 약 20-50% 증가하였다. 또한 고로쇠 추출물의 투여로 인해 총 항체 생성량도 증가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에서 고로쇠의 효과적인 최적의 추출 조건은 일반적인 공정 보다 $100^{\circ}C$이하의 온도에서 높은 압력과 함께 용매 추출공정을 이용하는 것이다.

왕불유행, 목통, 통초가 산후 생쥐의 유즙분비량과 유즙분비 관련 인자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elandrii Herba, Akebia Quinata Decaisne, and Tetrapanax Papyriferus on Milk Secretion and Lactation Related Factors in Postpartum Mice)

  • 이가위;이은희;이창현;김홍준
    •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17
    • /
    • 2018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elandrii Herba (MH), Akebia Quinata Decaisne (AQ), and Tetrapanax Papyriferus (TP) on milk secretion and aquaporin (AQP) expression in lactating mice. Methods: For the experiment, the mice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which were orally administered MH (2,720 mg/kg), TP (400 mg/kg) and AQ (2,800 mg/kg) extracts respectively for 3 weeks from Day 1 after the birth,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C group), which was administered distilled water. A group consisted of six infantile mice per postpartum mouse. For comparison with the C group, non-pregnant SKH-1 mice were used as the virgin group. Results: 1. When it comes to the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for prolactin receptors in the mammary glands, the AQ and MH groups showed a strong immune response to the secretory epithelial cells constituting the mammary alveoli, while the TP group represented a weaker immune response. 2. In the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for AQP in the mammary glands, AQP1 showed a strong immune response in the walls of capillaries and venules around the mammary alveoli, and AQP3 in the epithelial cells constituting the mammary alveoli, and AQP5 in some tissues between the mammary alveoli. AQP1 was expressed in the order of TP group>AQ group=C group>MH group, and AQP3 was MH group and AQ group>TP group=C group, and AQP5 was MH group>C group>AQ group and TP group. 3. In the Western blot, AQP1 was expressed in the order of TP group>AQ group>C group>MH group, and AQP3 was MH group>AQ group>C group>TP roup, and AQP5 was MH group>TP Group>C group>AQ group. All of AQP1, 3, 5 expression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C group than in the Virgin group. Conclusions: The administration of Akebia Quinata Decaisne, Tetrapanax Papyriferus and Melandrii Herba have the effect of improving prolactin levels in postpartum mice and increasing the expression of prolactin receptor and AQPs in the mammary glands, suggesting that lactation might be enhanced by the development of the mammary glands.

Immunological benefits by ginseng through reciprocal regulation of Th17 and Treg cells during cyclosporine-induced immunosuppression

  • Heo, Seong Beom;Lim, Sun Woo;Jhun, Joo Yeon;Cho, Mi La;Chung, Byung Ha;Yang, Chul Woo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40권1호
    • /
    • pp.18-27
    • /
    • 2016
  • Background: It is not clear whether ginseng affects cyclosporine A (CsA)-induced desirable immunosuppressive action.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immunological influence of combined treatment of ginseng with CsA. Methods: Using CD4+ T cells from mouse spleens stimulated with the T cell receptor (TCR) or allogeneic antigen-presenting cells (APCs), we examined the differentiation of naïve T cells into T helper 1 (Th1), Th2, Th17, and regulatory T cells (Tregs), and their cytokine production during treatment by Korean Red Ginseng extract (KRGE) and/or CsA. The influence of KRGE on the allogeneic T cell response was evaluated by mixed lymphocyte reaction (MLR). We also evaluated whether signal transducer and activator of transcription 3 (STAT3) and STAT5 are implicated in this regulation. Results: Under TCR stimulation, KRGE treatment did not affect the population of CD4+interferon gamma ($IFN{\gamma}$)+ and CD4+interleukin (IL)-4+ cells and their cytokine production compared with CsA alone. Under the Th17-polarizing condition, KRGE significantly reduced the number of CD4+IL-17+ cells and CD4+/phosphorylated STAT3 (p-STAT3)+ cells, but increased the number of CD4+CD25+forkhead box P3 (Foxp3)+ cells and CD4+/p-STAT5+ cells compared with CsA alone. In allogeneic APCs-stimulated CD4+ T cells, KRGE significantly decreased total allogeneic T cell proliferation. Consistent with the effects of TCR stimulation, KRGE reduced the number of CD4+IL-17+ cells and increased the number of CD4+CD25+Foxp3+ cells under the Th17-polarizing condition. Conclusion: KRGE has immunological benefits through the reciprocal regulation of Th17 and Treg cells during CsA-induced immunosuppres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