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tivation toward learning

검색결과 112건 처리시간 0.023초

교양 프로그래밍 강좌에서 성별에 따른 학습동기 분석 (Analysis of Learning Motivation according to Gender in Liberal Arts Programming Lecture)

  • 최숙영;안진아;김세민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8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609-611
    • /
    • 2018
  • 최근 들어 각 대학에서는 4차 산업시대를 맞이하여 사회에서 필요한 창의융합 인재를 양성하기 위하여 교양과목에 프로그래밍 강좌를 많이 늘리고 있다. 하지만 학습자들은 프로그래밍 학습을 어려워하거나 부정적인 반응을 보이는 경우가 많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프로그래밍 학습에서의 학습동기를 분석하기 위하여 학습자들의 성별을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사전검사를 통하여 남학생과 여학생을 구분하여 각 성격유형별 학습동기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는 여학생이 프로그래밍 학습에 있어서 긍정적인 시선이 있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그 편차도 더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연구에서는 강의 후 사후검사를 통하여 프로그래밍 학습의 학습동기부여에 기여할 수 있는 연구를 기대한다.

  • PDF

일부지역 치위생과 학생들에 대한 치위생 교육과정의 팀기반학습이 학습동기와 자기주도 학습력에 미치는 효과 (A study on dental hygiene students effects of Team-Based Learning in the dental hygiene curriculum on learning motivation and self-directed learning capabilities)

  • 박인숙;김동기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127-140
    • /
    • 2010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pply team-based learning to dental hygiene students in theoretical oral prophylaxis class, one of required courses geared toward acquiring professional knowledge on preventive public health, as oral prophylaxis was counted among major duties of dental hygienists. It's ultimately meant to compare the effects of team- based learning and expository instruction on the learning motivation and self-directed learning capabilities of learners in order to discuss the effects of team-based learning in dental hygiene education. Methods :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60 dental hygiene students at C college. Out of them, 32 students who were freshmen as of 2007 were group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and 28 students who were freshmen as of 2006 were selected as a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was engaged in team-based learning from August 30 to December 6, 2007, and the control group took expository lessons from August 28 to December 8, 2006. Their learning motivation and self-directed learning capabilities were evaluated by using t-test, paired t-test and GLM analysis. Results :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The experimental group scored better in learning motivation than the control group after they were engaged in team-based learning (p<.001). According to GLM analysis, there was a significant intergroup gap in learning motivation, and the two group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different in its subfactors involving attention, relevance and confidence(p<.05). 2. The experimental group excelled the control group at self-directed learning capabilities(p<.05), and the team-based learning had a better effect on self-directed learning capabilities than the expository instruction. Conclusions : Given the findings of the study, the team-based learning was more effective than the expository instruction at boosting the learning motivation and self-directed learning capabilities of the students. Therefore revised teaching methods should be prepared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dental hygiene courses, and the development of new instructional models and educational programs is required as well.

과학 컴퓨터 보조 학습 프로그램의 효과분석에 관한 연구 (An Analysis of the Effectiveness of Tutorial CAI Programs According to the Learner's Characteristics in Science Teaching)

  • 양일호;정진우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37-50
    • /
    • 1991
  • The CAI (Computer-Assisted Instruction) system for science teaching has been increasing both in quantity and in quality during the last two decades. However, science learning by computer has not played a leading role in the science teaching proces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tutorial CAI programs according to the learner's characteristics such as sex, inquiry skills, attitudes toward science subject, logical thinking skills, achievement motivation, science content achievement in science teaching. One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was used as an experimental design. The three tutorial science CAI programs were used for thirty males and females selected in grade eight.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CAI achievement scores the female student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P<0.05) than the male students. Also, one-way analysis of variance was us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interaction between sex and achievement motivation. The significant difference on the effects of interaction between sex and achievement motivation has not found. The effects of tutorial CAI between logical thinking skills, attitudes toward science subject, inquiry skills, achievement motivation, science content achievement according to upper and lower levels were investigated by using the statistical analysis of one-way ANOVA. The results indicate that tutorial CAI might provides a good opportunities for the improvement of science achievement to the lower level students of attitudes toward science subject, inquiry skills, science content achievement.

  • PDF

과제 지향 보상을 활용한 협동학습에서 소집단 활동 점검 과정이 중학교 과학 수업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Group Processing on Science Instruction of Middle School in Cooperative Learning using Task-oriented Reward)

  • 노태희;김경순;윤선애;한재영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843-850
    • /
    • 2004
  • 이 연구에서는 과제 지향 보상 협동학습에서 소집단 활동 점검 과정이 학업 성취도, 학습 동기, 과학 수업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서울에 있는 중학교 2학년 58명을 처치 집단과 비교 집단으로 무선 할당한 후, "혼합물의 분리" 단원에 대하여 8차시 동안 수업하였다. 처치 집단에는 소집단 활동 점검 과정이 있는 과제 지향 보상 협동학습(GCL)을 실시하였고, 비교 집단에는 소집단 활동 점검 과정이 없는 과제 지향 보상 협동 학습(CL)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학업 성취도와 과학 수업에 대한 태도에서 수업 처치와 사전 성취 수준 사이에 상호작용 효과가 있었다. 상위 수준 학생들은 GCL 집단에서 학업 성취도와 태도에서 더 높은 점수를 받았으며, 하위 수준 학생들은 CL 집단에서 성취도와 태도에서 더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사이버대학의 교육서비스 품질이 학습 만족에 미친 영향 (Effect of Education Service Quality affecting Student Satisfaction in Cyber University)

  • 김준우;김용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8권3호
    • /
    • pp.115-127
    • /
    • 2010
  • 본 연구는 현재 사이버 대학에서 제공하고 있는 강의서비스 품질이 학습자의 학습동기에 따라 학습 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연구하였다. 강의서버스 품질은 기존의 서비스 품질 측정요인으로 사용되고 있는 SERVQUAL(유형성, 신뢰성, 반응성, 확신성, 공감성) 바탕으로 강의서비스 품질을 측정하였다. 분석결과 강의서비스 품질와 유형성, 확신성, 신뢰성, 공감성은 학습만족에 지지되었고 반응성은 기각되었다. 학습동기가 학습만족에 조절변수로서의 할 것이라는 가설을 검정하기 위하여 3단계 계층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강의서비스 품질의 각 구성요인과 학습동기가 상호작용할 때 전반적 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주고 있다는 3단계 모델의 설명력이 높게 나타남으로써 전체적으로 학습동기의 상호 작용 효과는 입증되었다.

  • PDF

플립드 러닝을 적용한 '임신, 분만 및 산욕간호' 수업경험: 혼합연구 (Class Experience of the Students on 『Pregnancy, Delivery and Puerperium』 Nursing Course through Flipped Learning: Mixed Method Research)

  • 이병주;황선영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221-232
    • /
    • 2016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pplicability of a flipped learning course in Women's Health Nursing for nursing students. Methods: A total of 200 senior nursing students participated in flipped learning class of pregnancy, delivery and postpartum area, which included team-based learning and self-reflection for 8 weeks. One group pre-post test design was adopted and the changes in learning motivation and satisfaction were examined. In addition, reflective journals of the students were analyzed by making a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Results: Students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in score of learning motivation in the posttest (t=-4.47, p<.001). They had a mean of 3.90 in learning satisfaction out of possible five points. As a result of content analysis, three themes were selected: 'Improved attitude toward active learning', 'Burden caused by excessive workload', and 'Valuing to the team-based activity' To be specific, six sub-themes were selected, with three positive and three negative categories: 'improved class attention and understanding', 'positive class participation by preparing lessons in advance', 'peer interactions through discussion', 'A lot of time and effort consuming', 'stress caused by the burden of preparing lessons', and 'difficulties in cooperative activities'. Conclusion: This study supports and confirms that the flipped learning can be a creative instructional model of positive teaching-learning strategy in clinical nursing courses to enhance students' learning motivation.

간호대학생의 학습동기 경로모형에 대한 융합적 연구 (A Convergence Study on the Path Analysis of Motivation toward Learning of Nursing Students)

  • 임정혜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10호
    • /
    • pp.323-332
    • /
    • 2017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자아존중감, 비판적사고성향, 문제해결능력과 학습동기 간의 인과관계와 경로를 파악하기 위한 융합연구이다. 대상은 일 대학 간호학과 학생 207명이었다. 자료는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수집하였고, PASW 18.0, AMO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학습동기에 대한 경로모형의 적합도 지수는 적합하였다(${\chi}^2/df=2.128$, GFI=.995, AGFI=.949, RMSEA=.074, CFI=.993, NFI=.988). 학습동기에 자아존중감(${\beta}=.205$), 문제해결능력(${\beta}=.420$)은 직접효과, 비판적사고는 간접효과(${\beta}=.182$)를 나타내었다. 또한 자아존중감은 비판적사고(${\beta}=.398$), 비판적사고는 문제해결능력(${\beta}=.433$)에 직접효과가 있었다. 즉, 간호대학생의 자아존중감이 높으면 비판적사고와 문제해결능력도 높아지고, 학습동기도 높아지므로, 학습동기 향상을 위해서는 자아존중감 강화 교육프로그램이 선행되어야 함을 확인하였다.

분자 수준에서의 그림 그리기를 활용한 수업 모형의 효과 (The Effect of Molecular Level Drawing-based Instruction)

  • 노태희;유지연;한재영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609-616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3단계의 체계적인 그림 그리기를 활용한 수업이 학업 성취도, 개념, 학습 동기, 수업 참여도에 대한 인식, 과학 수업에 대한 즐거움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 하였다. 서울시 남녀 공학 중학교 1학년 두 학급을 통제 집단과 처치 집단으로 선정하고, '물질의 세 가지 상태'와 '분자의 운동' 단원에 대하여 총 8차시 동안 수업을 실시하였다. 이원 공변량 분석 결과, 처치 집단의 학업 성취도, 개념, 학습 동기, 과학 수업에 대한 즐거움 검사 점수가 통제 집단에 비하여 유의미하게 높았다. 수업 창여도에 대한 인식에서는 두 집단 간 차이가 없었다.

일반고 학생들과의 비교 분석을 통한 자연과학고 학생들의 과학 동기 수준 및 구조 분석 (The Analysis of Level and Structure of Natural Science High School Students' Science Motivation Compared to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 하민수;김미영;박경화;이준기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866-878
    • /
    • 2012
  • 자연과학고는 자연과학과 관련된 직업 교육을 특성화한 고등학교이며 자연과학고 학생들은 높은 수준의 과학 동기가 요구된다. 이 연구는 자연과학고 학생들과 일반 고등학교의 학생들의 과학 동기의 수준과 구조를 비교 분석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이 연구를 위해서 자연과학고 학생 193명, 일반고 학생들은 208명이 참여하였다. 참여 학생을 대상으로 직업적 관심, 학습내용의 관련성 인식, 과학 점수 동기, 과학 수업의 필요성, 과학 수업에 대한 자기 의지, 자아 효능감, 과학수업의 즐거움의 7개 변인의 수준과 구조를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자연과학고 학생들은 일반 고등학교 학생들에 비하여 7개 동기 요소 모두 낮은 수준을 보였다. 특히 과학 점수 동기와 과학 수업의 즐거움에서 가장 큰 차이가 나타났다. 7개 변인간 경로 분석의 결과는 자연과학고 학생들의 일반 고등학교 학생들에 비하여 직업에 대한 관심이 수업에 대한 자기 의지에 대한 영향력이 더 높았으며, 과학 점수에 대한 동기가 수업의 대한 의지와 자아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력이 더 높았다. 자연과학고 학생들의 수업에 대한 자기 의지와 자아 효능감에 관련된 변인의 설명력은 일반 고등학교에 비하여 약 30%가 높았다. 이 결과는 자연과학고 학생들의 과학 동기 구조는 일반 학생들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보다 명확하며, 직업에 대한 관심과 과학 점수동기와 같은 외적 동기 요소에 큰 영향력이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