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thers of the gifted

검색결과 16건 처리시간 0.024초

영재아의 자아존중감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elf-esteem of the gifted children)

  • 송수지
    • 영재교육연구
    • /
    • 제10권2호
    • /
    • pp.87-108
    • /
    • 2000
  • This study analyzes the factors influencing self-esteem of the gifted children. The factors are divided into the environmental ones and innate on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is presented as follows. 1) To analyze the environmental factors influencing self-esteem of the gifted children (1) whether the education period affects self-esteem of the gifted children? (2) what influences do the manners of parental child-rearing behavior make? (3) what influences do peer relationships make on self-esteem of the gifted children? 2) To analyze the innate factors influencing self-esteem of the gifted children (1) does the gender make a difference to self-esteem of the gifted children? (2) does the level of intelligence make a difference to self-esteem of the gifted children? (3) what influences does the locus of control make on the self-esteem of the gifted children? To solve these questions 120 gifted children were selected, who were taking a special education program at C Korea Academy of Gifted Education located at Yangjae-dong Seocho-gu. They were 1st to 3rd grades at elementary school. We used Hare Self-Esteem Scale developed by Bruce R. Hare in 1985, the Index of Peer Relations developed by Hudson in 1986, and Nowicki & Strickland Locus of Control Scale developed by Nowicki and Strickland in 1973. At the other hand the nursing behaviors of 120 mothers of the gifted, were also investigated, based on the Korean Maternal Behavior Inventory, developed by Sungyeon Park in 1989 with some modifications. For statistical analysis we adopted SPSS, a computer software, and calaulated the coefficient of internal appropriateness and the frequencies and percentages of general aspects of the cases. We analysed the factors influencing the self-esteem of the gifted children by way of Pearson's product moment correlation coefficient, t-test,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Duncan for ex-post-facto approval.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Influences of the environmental factors on the self-esteem of the gifted children: (1) The duration of education period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self-esteem; the longer the duration were, the higher self-esteem they possessed. (2) Of parental child-rearing behaviors, active involvement had positive influence on the self-esteem; on the contrary, authoritarian control and overprotection had negative influences on the self-esteem. (3) An acceptable peer relationship had a positive influence on the self-esteem of the gifted children. 2) Influences of individual innate characteristics on the self-esteem of the gifted children: (1) The gender made no difference on the self-esteem of the gifted. (2) The intelligence did not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self-esteem of the gifted. (3) When the locus of control was external, the self-esteem of the gifted tended to be low.

  • PDF

과학영재학생들이 지각하는 부모의 양육행동, 자아존중감 및 정서지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cience Gifted Students' Perceived Parental Behavior, Self-Esteem, and Emotional Intelligence)

  • 채유정;이영주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695-707
    • /
    • 2013
  • 본 연구는 과학 영재학생이 지각한 부모 양육행동, 자아존중감 및 정서지능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이를 위해 광역시 소재 영재교육원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는 총 91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 응답의 결과를 분석하였다. 2012년 3월, 자아존중감, 정서지능, 부모양육행동 설문지를 학생들에게 배포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18.0을 사용해 분석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과학 영재학생들은 자아존중감에 해당하는 10개 문항 모두에서 4점 이상(그렇다)의 응답을 보였으며, 전체 평균이 4.36(SD= .546)으로 설문에 참여한 영재학생들은 긍정적인 자아존중감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정서지능 요소 중 정서의 사고촉진, 감정이입 영역에서는 4점에 매우 근사한 결과를 보여, 학생들이 이 영역에서 본인의 능력을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아버지 양육행동에 대한 문항에서는 전체 평균이 3.89로 나타났으며, 그 중 가르침, 신뢰(불신), 존중, 세 영역에서는 4.0(그렇다)에 근접하였으나 관심 영역에서는 평균3.57로 다른 영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점수를 보였다. 어머니의 양육행동에 대한 평균은 4.10이었으며, 영역별로는 관심 4.31, 가르침 4.20, 존중 4.01, 신뢰(불신) 3.96의 순서로 평균점수가 높았으며, 아버지와 어머니의 양육행동에 대한 지각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넷째, 자아존중감과 정서지능, 자아존중감과 아버지와 어머니의 양육행동에 해당하는 네 가지 영역(신뢰, 존중, 가르침, 관심) 모두에서 정적인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정서지능은 아버지, 어머니 양육행동의 네 개 요소 모두와 정적인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회기분석 결과, 아버지의 양육행동 중 '존중' (${\beta}$=.422, p<.001)과 어머니의 양육행동 중 '신뢰' (${\beta}$=.450, p<.001)는 영재학생의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아버지의 양육행동 중 '가르침' (${\beta}$=.414, p<.001)과 '신뢰' (${\beta}$=.280, p<.01), 그리고 어머니의 양육행동 중 '가르침' (${\beta}$=.450, p<.001)'과 '존중' (${\beta}$=.331, p<.01)이 영재학생의 정서지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의의 및 한계, 후속 연구에 대한 제안이 결론 및 논의에 제시되었다.

과학 영재와 일반 학생의 진로 상담 네트워크 특성 (The Characteristics of a Career Counseling Network on Gifted Students of Science and general students)

  • 정덕호;박선옥;유효현
    • 영재교육연구
    • /
    • 제25권1호
    • /
    • pp.21-36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과학 영재와 일반 학생이 진로 상담을 위해 구성하는 네트워크에서 상담자들 사이의 사회적 영향력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과학 영재 151명과 일반 학생 212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사회연결망 분석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고, 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두 집단의 진로 상담 네트워크에서 모두 어머니의 중심성 지표가 가장 높았고, 선생님이 가장 낮았다. 또한, 진로 상담 네트워크에서 어머니로부터 선생님에 이르는 최대 흐름 지표가 가장 낮았고, 과학 영재에 비해 일반 학생의 지표가 현저히 낮았다. 둘째, 진로 상담 네트워크에서 어머니의 역할을 가장 쉽게 대신할 수 있는 상담자는 아버지이고, 선생님은 그 역할을 대신하기에 가장 곤란하다. 그리고 그 정도는 일반 학생 집단 보다는 과학 영재집단에서 작게 나타났다. 진로 상담 네트워크에서 정보 교환의 제약성은 두 집단에서 모두 선생님이 가장 높고, 어머니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과학 영재와 일반 학생들의 진로 상담 네트워크에서 어머니가 가장 중심적인 역할을 하는 반면, 선생님들은 학생들의 진로상담 네트워크에서 가장 소외되고 있었다. 그러므로 학생들에게 효율적인 진로 지도를 위해서는 부모님과 선생님의 체계적인 연결이 절실히 필요하며, 이를 위한 진로 상담 시스템의 구축이 요구된다.

어머니의 양육유형 및 민감성이 영아의 발달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Maternal Parenting Style and Sensitivity on Infant Development)

  • 이형민;박성연;서소정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97-111
    • /
    • 2008
  • A total of 31 mothers of 5-month-old infants(18 boys and 13 girls) were observed and interviewed at home via a questionnaire format. Results revealed that perceived maternal parenting style had an effect on general infant general development. As mother exhibited more didactic and limit setting behaviors, the infants showed more receptive, expressive, and language development characteristics. Furthermore, the effects of maternal sensitivity on infant general development and language skills were also ascertained. The infants who showed more positive general development had mothers who interacted sensitively with them. Maternal sensitivity was the only factor that had a major effect on infant general development. The overall finding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perceived maternal parenting style and observed maternal sensitivity were found to have positive effects on general infant general development and language skills.

유아의 사고능력에 대한 부모 양육태도의 영향 (Effects of the Parenting Attitude on Children's Thinking Ability)

  • 임호찬
    • 영재교육연구
    • /
    • 제18권3호
    • /
    • pp.613-634
    • /
    • 2008
  • 본 연구는 영재성의 기초인 유아의 사고능력이 연령 별로 모의 양육태도와 어떤 연관이 있는 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5시에 소재한 유치원에 등원하는 4$\sim$6세 유아 401명과 어머니를 대상으로 하였다. 측정도구로는 영재성 평가검사로 활용되는 레이쌀 검사 시리즈에서 가장 난이도가 낮은 유아의 사고능력을 알아볼 수 있는 레이븐 CPM 검사와 부모의 양육태도에 관한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부모양육태도 검사는 지지표현, 합리적 설명, 성취압력, 간섭, 처벌, 감독, 과잉기대, 비일관성 등 8개 하위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연구결과는 먼저 부모의 양육태도는 연령대에 따라 다르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4세 유아는 합리적 설명, 성취압력, 처벌, 감독 요인이 문제해결능력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밝혀졌고, 5세는 지지표현과 감독이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6세는 지지표현, 합리적 설명, 처벌, 과잉기대가 사고력 문제 해결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양육태도 영역별 정적 혹은 부적 효과를 논의하였다. 이 결과는 부모가 자녀의 연령에 따라 양육태도를 변화시켜 대응하는 것이 사고력 발달에 효과적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유아의 지능과 다중지능 및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Mother's Child-Rearing Attitudes on Young Children's Intelligence, Multiple Intelligence, and Emotional Intelligence)

  • 추성경
    • 영재교육연구
    • /
    • 제23권3호
    • /
    • pp.479-499
    • /
    • 2013
  • 본 연구는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유아의 지능과 다중지능 및 정서지능 간의 관계와 그 상대적 영향력을 분석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만 3~5세 유아 215명과 그들의 어머니와 담임교사 15명을 대상으로 양육태도, 지능, 다중지능과 정서지능 검사를 실시하였다. 자료처리는 단순적률상관분석을 이용하여 각 변인간의 상관계수를 산출하였으며, 후진(backward)방법을 활용한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지능, 다중지능 간의 관계는 상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난 반면에 정서지능과의 관계는 상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거부적 태도와 자율적 태도가 유아의 지능 전체를, 거부적 태도가 다중지능 전체를, 애정적 태도와 자율적 태도가 정서지능 전체를 가장 잘 설명해 주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지능, 다중지능, 정서지능의 발달에 있어 어머니의 양육태도는 획일적으로 특정 태도를 보여주기보다는 자율적 태도를 중심으로 상황에 따라 애정적 태도를 보여주고 거부적 태도는 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