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thers' Society-economy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22초

어머니의 구강보건지식과 행동에 관한 연구 (Study on Dental Health Knowledge and Behavior of Mothers)

  • 장분자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53-164
    • /
    • 2006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level of dental health knowledge and behavior of mothers, health educators should encourage mother to have continuous dental care habits for lifelong dental health with practical education. Method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490 mothers of four-year, fifth-year and sixth-year from elementary school in Daegu areas. The data was collected through a structured questionnaire from 26, June to 27, June 2006.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into frequency and Chi-square test using SPSS 10.0 program. Result: First,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 were found between mothers, knowledge with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age, degree of education, yes or no of occupation, subjective economy). Second, mothers, number of toothbrushing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 with degree of education, yes or no of occupation as over three times a day. Thir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 were between visiting frequency of dental clinic for one years with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age, degree of education, yes or no of occupation, subjective economy). Fourth, yes or no of use in auxiliary oral hygiene devic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 with degree of education, yes or no of occupation, subjective economy. Fifth, mothers, knowledg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 with auxiliary oral hygiene device.

  • PDF

어머니가 인지한 유아의 식품기호도 형성 요인, 식사 섭취 개선 노력과 식품선택 신념에 관한 연구 (Mothers' Perceptions on Preschool Children's Food Preference, Efforts in Improving Food Intake and Their Beliefs in Food Selection)

  • 정영혜;윤진숙;박동연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11권6호
    • /
    • pp.714-724
    • /
    • 2006
  • In an attempt to investigate mothers' perceptions of factors affecting preschool children's food preferences, their policy improving food intake and belief in food selection, in-depth interviews with 30 mothers who had preschool children were conducted in Daegu and Busan. The interviews were tape-recorded and the contents of interviews were analysed by researchers. Most mothers and children liked meats. It was found that children usually disliked vegetables such as onions, carrots, and green onions. Mothers perceived that many factors affected their children's food preferences: mothers' and fathers' food preferences, food offering at meals. mothers' food intake during pregnancy, children's food intake during weaning period, heredity peer pressure, and advertisements on television. Mothers made efforts to improve childrens food intakes in many ways: change of cooking method, emphasizing function of nutrients and food for health, conciliation and enforcement, and comparison to other children. The most affecting belief for mothers in food selection was family members' food preference. Health, balance in nutrient intake degree of food processes food additives, chemicals, convenience, diversity, and economy were also important beliefs to select food. Convenience was especially the primary belief in choosing and preparing children's snacks. Mothers offered frozen dumplings and meat, instant noodles, tuna, and ham for snacks for convenience. These results showed that mothers understood many aspects affecting children's food preference tried to improve children s food intakes and had several beliefs in food selection. We concluded that it is necessary to give information for mothers to make healthy snacks in a short time and chance to learn cooking skills.

고등학교 가정과 교육을 위한 교과과정 영역별 필요도 (A study on the Need for Curriculum Contents in each Sub-area of High School Home Economics Education)

  • 이금남;김행자;안영희;이남기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1-10
    • /
    • 1996
  • This study aims at finding a new home economics education which will include male and female students as its teaching objects, and then providing home economics teachers with useful materials. For this purpose I examined analized male and female the upper secondary school students’and parents’recognition and demand to the home economics education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summarized as follows: 1.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ale students(73.7%) and female students(89.8%) in the necessity for studying Home Economics(P<.001). In the necessity of Home Economics education, male students emphasized the spiritual part but female students emphasized the functional part. In part of paren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fathers(95.5%) and mothers(96.4%). 2. The necessity of each part in the contents of Home Economics 1) In the part of family,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 in the true nature of family, the role and responsibility of family, and the laws relating to family(P<.001).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others and fathers in the true nature of family and the role and responsibility of family. Fathers and male students emphasized the true nature of family and the role and responsibility of family more than mothers and female students did. 2) In the Home management and economy parts,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 in the significance of home management(P<.001), the relation of family to society(P<.001), and fluctuating measures for home economy.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fathers and mothers in the relation of family to society(P<.05). Fathers and male students emphasized the relation of family to society more than mothers and female students did. Mothers, male and female students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the protection of consumers. 3) In the clothes part, male students emphasized the role of clothes, the disign and making of clothes(P<.001), the present situation of the resources of clothing and the distribution of clothes (P<.05) more than female students did. 4) In the part of foo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 in the kinds and function of nutritive elements(P<.05). Parents and students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selecting good food. 5) In the part of housing, male students emphasized home planning, and arrangements and facilities of house more than female students did. Female students emphasized the interior of the house(P<.05). Fathers emphasized the planning of a residential space and arrangements and facilities of a house(P<.05) more than mothers did. 6) In the parts of human development and upbringing, and upbringing, male students emphasized the significance of being parents, family planning and the population problem(P<.001), pregnancy and delivery(P<.01), and the chracteristic of juvenile development(P<.05) more than female students did. Parents and students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prevention and countermeasures for diseases and the significance of being parents.

  • PDF

경주시 일부 어린이집 아동의 간식섭취 양상에 관한 조사연구 (A Study on Pattern of Between-meal Intake in Preschool Children of Gyeong-Ju City)

  • 최성숙;최미숙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213-217
    • /
    • 2006
  • 본 연구는 2006년 4월 3일부터 2006년 5월 30일 까지 경북 경주시 일부 유치원(어린이집)에 다니고 있는 만4세, 만5세, 만6세 (남자어린이 102명, 여자어린이 99명) 총 201명의 어린이 및 어머니들을 대상으로 스스로 답변을 기재하는 자기기입방식으로 설문지를 작성케 하여 수합한 설문지를 통하여 연구한 결과 다음과 같다. 1. 아동의 간식섭취빈도에서 비스켓, 스넥은 1주일1회가 54.2%로 가장 높았고, 과일은 매일 1회이상이 60.2%로 가장 높았으며, 우유도 매일 1회이상이 80.1%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2. 어머니의 사회경제적 요인에 따른 유치원생의 간식섭취빈도에서는 청량음료의 섭취빈도와 어머니의 나이에서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게 나타났고(p < 0.001), 우유의 섭취빈도와 어머니의 직업 유무에서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게 나타났다(p < 0.05). 3. 어머니교육 수준이 높을수록 간식섭취빈도가 높게 나타났고, 직업의 유무에서는 직장을 다니고 있는 경우 보다 직장을 다니고 있지 않은 경우 간식섭취빈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어머니의 나이에서는 31-39세가 가장 간식섭취 빈도가 높게 나타났다.

  • PDF

미취학 아동 어머니의 양육특성과 건강 특성이 경제활동 참가에 미치는 융합적 요인 분석 (Analysis of Convergence Factors of Preschool children's Parenting and Health Characteristics on Economic Participation)

  • 김성민;송혜영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9호
    • /
    • pp.285-293
    • /
    • 2021
  • 본 연구는 제7차 여성 가족 패널 조사자료를 2차 분석하여, 직장군과 비직장군의 양육 특성과 건강 특성을 비교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만19세 이상 64세 이하의 여성 중에서 미취학 아동 어머니를 대상 총 697명을 대상으로 교차분석과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아이돌보미가 있는 경우, 이용하는 보육 시설개수가 많을수록, 시부모나 친정부모 돌봄을 받는 경우, 신체활동을 주 3회 미만으로 하는 경우가 경제활동을 많이 하였다. 반면, 미취학 자녀 수가 많을수록 경제활동을 안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취학 아동 어머니의 신체활동 확보와 일과 가정 양립을 뒷받침할 수 있는 양육 친화적 가족 및 직장문화 조성이 필요하다.

A Study on the Mental Health and Parental Efficacy of Mothers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Focusing on Latent Profile Analysis

  • Hyoung-Ha, Lee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8권3호
    • /
    • pp.137-148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잠재프로파일분석(Latent Profile Analysis)을 적용하여 다문화청소년 어머니의 정신건강의 잠재유형을 분류하고 예측변인의 영향력을 분석한 후 잠재유형의 차이가 부모효능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규명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다문화청소년 패널조사(MAPS) 9차년도(2019년) 패널데이터를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다문화청소년 어머니의 정신건강 유형은 '정신건강 중간 위험형'(class3) > '자아존중감 상위형'(class1) > '정신건강 고 위험형'(class4) > '문화적응과 일상생활 스트레스 상위형'(class2) 순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자아존중감 상위형'(class1) 집단과 비교해 다문화청소년 어머니의 가정경제 수준이 낮을수록, 다문화청소년 아버지(남편)의 학력이 중학교졸업 이하일수록, 한국어 수준이 낮을수록, 자녀와의 의사소통 정도가 낮을수록 '정신건강 중간 위험형'(class3) 집단에 속할 승산(Odds)은 높아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정신건강 중간 위험형'(class3) 집단과 '정신건강 고 위험형'(class4) 집단과 비교해 '자아존중감 상위형'(class1) 집단이 부모효능감에 유의미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위치기반서비스를 이용한 엄마들의 커뮤니티 플랫폼 '온리맘' (a community platform for mothers using location-based services, 'Only Mom')

  • 고광훈;김민지;서지유;유성주;차현수;최진성;김병완;이병권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1년도 제64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29권2호
    • /
    • pp.641-642
    • /
    • 2021
  • PC와 스마트 디바이스가 보급화 되면서 현대인들은 온라인 활동이 많아지고 있다. 온라인상의 커뮤니티는 '육아여성'들이 사회적 고립을 벗어날 수 있는 새로운 기회이다. 삶의 질 증진을 위한 온라인 커뮤니티를 제공하고, 인터넷 속 카페로만 구성되어 있는 육아여성만의 공간을 앱 기반으로 확장시켜 위치기반서비스를 통해 실시간 소통과 가까운 주변 육아여성의 커뮤니티를 형성해 사용자들에게 편리함을 제공을 목표로 한다. 더하여 육아여성의 지역 경제 참여를 유도하여 소상공인에 도움을 주고 지역경제를 활성화한다.

  • PDF

여자 고등학생의 시판김치 섭취 실태 및 평가와 김치 담그기 교육에 대한 견해 (Intake and Evaluation of Commercial Kimchi and Perception of Learning Methods Making Kimchi among Female High School Students)

  • 이경희;박은숙
    • 한국가정과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89-98
    • /
    • 1999
  • Kimchi is a traditional food in Korea. It is a fermented food made by several vegetables. Kimchies have traditionally made at home, but the use of commercial Kimchies is increas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intake and evaluation of commercial Kimchies and the perception of desirable learning methods making Kimchies among female high-school students. Three hundred and seventy one female high-school students living in Chonbuk province were participated in the survey.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The percentage of subjects who had consumed commercial Kimchies at least once was 49.7%. It was higher in the subjects living in the rural area(65.6%) than in the urban area(37.9%) at p${\le}$0.001. 2. Positive reasons for the consume of commercial Kimchies was: ‘saving time($4.11{\pm}0.74$)’, ‘convenience to buy when it is needed($4.03{\pm}0.78$)’, ‘variety($3.59{\pm}0.86$)’ and ‘looking good($3.21{\pm}0.98$)’. However, commercial Kimchi received low scores for: ‘sanitation($2.24{\pm}0.96$)’, ‘taste($2.84{\pm}0.96$)’, and ‘economy($2.89{\pm}1.02$)’. 90.5% of the subjects believed that the use of commercial Kimchi will be increased. 3. 24.3% of the subjects had an experience of making Kimchi alone, and 88.7% of the subjects had assisted their mother making Kimchi. 88.9% of the subjects reported that they would like to learn how to make Kimchi from their mothers. 84.0% of the subjects want to make Kimchi by themselves at home when they will be housewives. In conclusion, this report suggests that commercial Kimchi should be produced under more sanitary conditions and Kimchi producers should also develop a variety of tastes to match consumer's preferences. There is also a need for education for making high quality Kimchies in school programs of Home Economics. (Korean J of Human Ecology 2(1) : 89-98, 1999)

  • PDF

한국 사회와 사람에 대한 사회적 표상과 신뢰: 청소년과 성인의 지각을 통해 본 토착심리 분석 (The social representation and trust of Korean society and people: Indigenous psychological analysis of the perception of Korean adolescents and adults)

  • 김의철;박영신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10권3호
    • /
    • pp.103-129
    • /
    • 2004
  • 이 연구에서는 한국 청소년과 성인의 한국 사회와 사람에 대한 사회적 표상과, 신뢰의식의 기저에 있는 심리 문화적 토대를 토착심리학적 시각에서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첫째, 한국에 대한 사회적 표상을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사람에 대한 인식의 다섯 가지 측면에서 접근하였다. 둘째, 한국에 대한 신뢰와 불신의 이유를 분석함으로써, 한국 사람 신뢰의식의 토착심리를 이해하고자 시도하였다. 분석대상은 총 1,064명으로서, 학생 418명(중학생 218명, 대학생 200명), 성인 646명(중학생의 부 218명, 중학생의 모 218명, 교사 210명)이었다. 질문지는 연구자에 의해 제작되었으며, 자료는 2003년 4월-6월에 수집되었다. 한국에 대한 사회적 표상을 분석한 결과, 첫째, 한국 정치에 대해 응답자의 94.5%가 부정적인 지각(불신, 정치인 자질부족, 부정부패, 파벌주의, 후진성, 변화필요성)을, 한국 경제에 대해 84.9%가 부정적인 지각(불안, 불경기, 구조적 문제, 불평등, 비관적)을, 한국 사회에 대해 78.2%가 부정적인 지각(부정부패, 급격한 변화, 불안, 빈부격차, 이기주의, 보수적, 연고주의)을 하였다. 한국 문화에 대해서는 긍정적 지각(자부심, 오랜 전통, 아름다움, 독창적)이 54.3%, 부정적 지각(주체성 상실, 문화사대주의, 자긍심 부족, 보수적)이 45.7%를 차지했다. 한국 사람에 대해서는 부정적 지각(이기적, 도덕성 결여, 조급성, 체면/권력지향)이 58.6%, 긍정적 지각(인정, 착함, 단결력, 근면)이 41,4%였다. 둘째, 한국에 대한 신뢰 이유로는 우리나라(30.2%)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고, 이외에 가능성, 한국인의 인간미, 한국인의 노력 등이 지적되었다. 한국에 대한 불신 이유로는 정치인 불신(30.3%) 부정부패/비리(22.7%)가 가장 대표적이었으며, 이외에 공공기관 불신, 경제적 불안 등이 포함되었다. 이러한 결과에 토대하여 두 측면이 논의되었다: 1) 한국에 대한 부정적인 표상 변화를 위한 효능적 신념의 필요, 2) 신뢰와 불신의 심리적 기반으로서 관계지향 문화와 도덕성.

  • PDF

IMF시대 이후 한국 학생과 성인의 성공에 대한 의식: 토착심리학적 분석 (The effect of economic crisis on success attribution among Korean students and adults: An indigenous psychological analysis)

  • 박영신;김의철;탁수연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8권1호
    • /
    • pp.103-139
    • /
    • 2002
  • 한국사회는 IMF로부터 지원을 받는 경제불황기를 경험하면서 많은 변화를 겪어왔다.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급격한 사회변동 이후에 한국사람의 성공에 대한 의식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IMF시대 이전의 선행연구(김의철, 박영신, 1998)와 비교하므로써, 한국사람의 성공에 관련된 사회적 표상을 토착심리학적 시각에서 분석하고 종합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분석대상은 총 988명으로, 초 중 고 대학생 481명과 그들의 부(236명) 모(271명)로 구성된 성인 507명이었다. 분석결과, 가장 자랑스러운 성공경험으로 학생은 학업성취를, 성인은 성공적인 가정생활을 지적하였다. 한국사람들에게 성공적인 가정생활이란, 자녀의 교육적 성취와 자녀의 발전 및 화목한 가정을 주로 의미하였다. 성공에 가장 큰 도움을 준 사람은 가족이었는데, 학생의 경우는 부모, 성인의 경우는 배우자가 가장 많았다. 초 중학생에서는 부모가 특히 중요하고, 고등학생 이후는 친구의 중요성이 증가하였다. 어떠한 분야에서든 성공하기 위해 다른 사람으로부터 받은 도움으로서, 학생과 성인 모두 정서적 지원을 가장 중요하게 인식하였다. 성공의 가장 중요한 원인으로서 과반수 정도의 청소년이 자기조절을 지적하였고, 성인 남자는 자기조절을, 성인 여자는 가정환경을 더욱 중요한 것으로 보았다. 이 연구의 결과를 IMF시대 이전의 선행연구 결과와 비교해 볼 때, 국가적인 경제 위기상황 이후에 가족의 중요성에 대한 지각이 더욱 증가하였지만, 학업성취 및 성공적인 가정생활의 중요성, 사회적 지원의 제공자로서 부모와 배우자, 이러한 가족으로부터 정서적 지원의 중요성, 성공의 원인으로서 자기조절에 대한 강조와 같은 핵심적인 결과가 일치하였다. 이와같이 반복적으로 나타난 유사한 결과를 통해, 한국인의 토착적인 성공의식을 종합하고, 이러한 의식의 기저에 있는 신념 및 가치체계에 대해 논의하였다.

  • PDF